• 제목/요약/키워드: 한반도산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7초

한라산의 지형 특성을 활용한 자연해설 탐방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Trip Programs with Nature Interpretation Using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Mt. Hall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9
    • /
    • 2012
  • 정상 등반만 지향하는 한라산에서의 탐방 문화를 개선하고, 한라산의 자연 보존과 탐방객의 질적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한반도 산지와는 구별되는 한라산의 지형 특성을 활용한 자연해설 탐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윗세오름 대피소부터 장구목오름 사이의 1.5km 구간에서 진행되는 아고산대 탐방 프로그램은 아고산 생태계에 관한 전문 지식의 습득뿐 아니라 아고산 생태계의 취약성을 이해시킴으로써 소중한 자연 자원으로서 한라산 아고산대의 보존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올릴 수 있다. 관음사 탐방로 입구부터 구린굴 상류 협곡 지대 사이의 1.5km 구간에서 탐방로를 따라 흐르는 병문천에서 진행되는 산지하천 탐방 프로그램은 병문천의 지형 및 수문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반도 하천과는 상이한 제주도 하천의 지역성을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다. 두 자연해설 탐방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는 한라산의 아고산 초지대와 건천은 한반도에서는 체험하기 어려운 탐방 장소로서, 탐방 활동을 통하여 한라산 더 나아가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탐방객에게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동위효소와 체액단백질 분석에 의한 한국산 멧누에나방의 지역적 특성 (Phylogeny of Bombyx mandarina inhabiting Korea analysing the isozyme and hemolymph protein polymorphism)

  • 이재만;김경아;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8-24
    • /
    • 2003
  • 한반도에 서식하는 멧누에나방의 서식지역에 따른 유전적 변이와 집누에나방과의 종간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멧누에나방의 isozyme 및 체액단백질을 대상으로 유전자 빈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 중 경북 칠곡과 경남 진주집단 사이의 유전적 유사도가 가장 높았으며, 경남 진주와 강원 고성집단 사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서식집단 상호간의 유사도는 매우 높았다. 한국산 멧누에나방과 집누에나방의 isozyme 유전자형은 대부분이 동일하게 발현되었으나, 집누에나방의 한국종에서만 발현된다고 알려진 Bes의 B형, Amy-hc의 F형, Ict-E의 n형 및 Ict-h의 M형과 S형 등의 유전자형이 한반도에 서식하는 멧누에나방에서 발현되었다. 따라서, 한반도 내에서 멧누에나방의 서식지역간 유전적 변이는 인정되지 않으며, 지금까지는 고려되지 않았던 집누에 한국종과 한국산 멧누에나방의 종간 유연관계에 대해 새로운 의문이 야기된다.

한국산 솜다리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Leontopodium R. Br. ex Cassini (Asteraceae))

  • 이동혁;박종수;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9-162
    • /
    • 2016
  • 한국산 솜다리속 (Leontopodium R. Br. ex Cassini)은 5종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였다. 이들의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자 건조표본과 야외관찰등을 근거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식물체의 높이, 경생엽 기부의 형태, 화서의 위치 및 형태, 털의 형태, 개화기 잎의 유무, 총포편 털의 형태 등은 한국산 솜다리속 분류군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외부형태 형질을 바탕으로 왜솜다리 (L. japonicum) 및 근연분류군들 (L. coreanum, L. hallaisanense)의 분류학적 관계를 논의하였다. 또한 설악솜다리 (L. seorakensis)는 산솜다리 (L. leiolepis)의 형태적인 변이폭에 포함되므로,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솜다리속은 솜다리, 한라솜다리, 산솜다리, 들떡쑥(L. leontopodioides) 4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한국산 분류군의 검색표 및 각 종의 형질 기재와 도해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황기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Astragalus L. (Fabaceae) in Korea)

  • 최인수;김소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7-238
    • /
    • 2015
  • 표본과 야외조사를 기초로 한국산 황기속의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 졌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다음과 같은 8종 1변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 laxmannii subsp. laxmannii (자주개황기), A. dahuricus (자주황기), A. sikokianus (강화황기), A. uliginosus (개황기), A. schelichowii (긴꽃대황기), A. setsureianus (설령황기), A. mongholicus var. dahuricus (황기), A. mongholicus var. nakaianus (제주황기), A. sinicus (자운영). 최근의 황기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결과들을 참조하여 한국산 종들의 학명이 재정리 되었다. 기존에 탐라황기를 포함한 자주개황기의 학명으로 쓰이던 A. adsurgens를 A. laxmannii subsp. laxmannii에 포함시켰다. 한반도 특산으로 강원도에서 처음 기재된 정선황기는 강화황기와 동종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한국산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설령황기와 긴꽃대황기에 대해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징을 자세히 밝혔다. 또한 한국산 종들의 이명을 포함한 학명 정리와 분류학적 견해를 기술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백두대간 조령산의 관속식물과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and vascular plants on Joryeongsan Mountain in Baekdudaegan, Korea)

  • 김중현;김진숙;신수경;박성애;박성혁;한성경;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95-126
    • /
    • 2024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조령산의 관속식물과 고도별 수직분포 조사를 조사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1과 314속 491종 10아종 43변종 6품종 2교잡종의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는 관속식물 360분류군에 대해 고도별 분포범위를 구축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9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0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25분류군, II등급에 33분류군, I등급에 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78분류군, 외래식물은 29분류군이며, 귀화율 5.3%, 도시화지수 7.4%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종 풍부도는 저지대와 중간 고도, 정상부에서 높은 패턴이 나타났다. 고도별 종 조성의 유사도는 저지대인 해발 200~300 m를 제외하고 인접한 고도구간일수록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조령산은 고도에 따라 62.1~92.9℃·month의 온도 범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조령산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의 분포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두께 연구

  • 박종찬;함인경;김우한;최광선
    • IUGG한국위원회:학술대회논문집
    • /
    • IUGG한국위원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03
  • 국내 지진관측망에 기록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를 추정한다. 모호면으로부터 반사된 파형인 PmP파의 주행시간은 지각두께와 속도구조에 의존한다. 만약 실제 지각의 평균속도와 모델속도 사이의 차이가 작다고 가정하면, 계산한 주행시간과 실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는 반사점에서 지각의 상대적인 두께차이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PmP파가 반사된 지점에서의 지각두께는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가 표본추출간격보다 작은 값을 가질 때까지 지각두께를 변화시켜줌으로서 계산되어진다. 계산결과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는 지리산 부근 지역이 가장 두껍고 경상분지 지역이 가장 얇으며 호남지역은 중간 두께를 나타낸다.

  • PDF

한반도 분포가 불확실했던 Sominella속(딱정벌레목: 잎벌레과: 뿌리잎벌레아과)의 확인 (Confirma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Genus Sominella Jacobson, 1908 (Coleoptera: Chrysomelidae: Donaciinae) from Korea)

  • 조희욱;하야시 마사카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79-81
    • /
    • 2023
  • 한반도 분포 여부가 불확실했던 뿌리잎벌레류 Sominella Jacobson, 1908 속이 북한산 S. macrocnemia (Fischer von Waldheim, 1824) 표본의 발견으로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종의 표본사진, 진단형질 및 한반도 분포지도를 제공하였다.

한국산 인도볼록진딧물속 Indomegoura (매미목, 진딧물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the Genus Indomegoura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Lee, Seung-Hwa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21-28
    • /
    • 2001
  • 한국산 인도볼록진딧물속 (Indomegoura)을 정리하여 2종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꼬마볼록진딧물 (I. nigrotibiae)을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각 종에 대한 형태적 기술과 더불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기주식물 및 생활사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 홍시환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4년도 제 6차 국제학술회 ASIA 동굴 SIMPOSIUM
    • /
    • pp.76-77
    • /
    • 1994
  • 한반도는 지질적으로 안정된 지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활화산이 없고 화산지형도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질사적으로 중생대 이전의 화산활동을 제외하면, 주로 현지 표면상에 나타나는 화산활동의 흔적에 의한 지형들은 대개 신생대 제3기의 주요 화산활동으로써 백두산(2744m), 무두봉(1930m), 대연시봉(2360m), 북포태산(2289m), 남포태산(2435m), 소연지봉(2123m), 관모봉(1387m), 소배산(2174m), 두류산(2309m), 칠보산(906m) 등이 백두산 화산대(그림 1)의 열하를 따라 남동쪽 설령(2442m), 만탑산(2205m) 과거의 일직선상의 수많은 분출공에서 유동성이 큰 현무암의 분출이 있었다.(중략)

  • PDF

Ultrathin Window EPMA를 이용한 제주도 고산과 한라산 1100 고지에서의 입자상 물질 특성 분석

  • 오근영;노철언;김혜경;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5-3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청정지역인 제주도 고산과 한라산 1100 고지에서의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였다.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 중에 EPMA(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단일 입자 분석법(Single Particle Analysis)은 개개 입자의 형상과 크기 그리고 화학 조성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개개 입자의 생성, 이동, 반응성, 소멸 그리고 환경에의 영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