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재래 닭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재래닭의 산란형질에 대한 능력변이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김상호;장병귀;서옥석;이상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7-98
    • /
    • 2004
  • 한국 재래닭의 중요 산란형질에 대한 각 계통의 세대별 시산일령, 시산난중, 270일령 난중 및 산란수의 평균능력은 각각 147.1$\pm$1.9일, 32.3$\pm$0.9 g, 49.4$\pm$0.7 g 및 76.2$\pm$1.7개이었고, 세대당 평균 능력 변이는 각각 -0.75$\pm$0.01 일, 0.33$\pm$0.08 g, 0.19$\pm$0.05 g 및 0.47$\pm$0.3개였다.

  • PDF

한국 재래닭의 난형에 관한 연구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김상호;장병귀;서옥석;이상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9-100
    • /
    • 2004
  • 한국 재래닭의 각 계통별 세대간 계란의 장경, 단경 및 난형지수는 각각 53.0$\pm$0.6~55.6$\pm$0.8 mm, 39.1$\pm$0.8~40.9$\pm$0.2 mm 및 72.7$\pm$1.5~75.9$\pm$0.5이었고 회귀방정식에 의한 회귀계수로 표현된 능력변화 추세를 보면 적갈색, 황갈색, 회갈색, 흑색 및 백색 계통의 계란 장경은 각각 -0.01, 0.20, -0.02, -0.01 및 0.03 mm, 단경은 각각 0.10, 0.48, 0.52, 0.25 및 0.25 mm, 난형지수는 0.19, 0.62, 1.00, 0.32 및 0.33이었다.

  • PDF

한국 재래닭의 난각질에 관한 연구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김상호;장병귀;서옥석;이상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1-102
    • /
    • 2004
  • 한국 재래닭의 각 계통별 세대간 계란의 난각강도, 난각두께 및 난각색은 각각 3.8$\pm$0.2~4.2$\pm$0.1 kg/$\textrm{cm}^2$, 356.4$\pm$4.9~368.8$\pm$6.5$\mu\textrm{m}$ 및 47.0$\pm$1.7~50.0$\pm$3.3%이었고, 회귀방정식에 의한 회귀계수로 표현된 능력변화 추세를 보면 적갈색. 황갈색, 회갈색, 흑색 및 백색 계통의 계란 난각강도는 -0.03, 0.00, 0.03, 0.03 및 0.00 kg/$\textrm{cm}^2$, 난각두께는 -0.84, 0036, 1.05, 3.58 및 4.40 $\mu\textrm{m}$, 난각색은 -0.75, -0.55, -0.88, -0.47 및 -0.36 %이었다.

  • PDF

한국 재래닭의 경제형질에 미치는 계통의 효과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이상진;유동조;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5-116
    • /
    • 2003
  • 재래닭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계통의 효과는 모든 형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계통별 최소자승 평균치는 150일령 및 270일령 체중에서 흑색계통이 각각 1,594.38 및 1,911.57 g으로 가장 무거웠고, 시산일령은 백색계통이 146.88일로 가장 빨랐으며, 시산난중 및 270일령 난중은 적갈색계통이 각각 33.20 및 50.74 g으로 가장 무거웠고, 산란수는 황갈색 계통이 79.50개로 가장 많았다.

  • PDF

Development of Expressed Sequence Tags(ESTs) from Korean Native Chicken cDNA Libraries

  • Shin, Sang-Su;Song, Ki-Duk;Shin, Jee-Hye;Lee, Sun-Duck;Lee, Young-Mok;Kim, Jin-Kyu;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7-68
    • /
    • 2003
  • 한국 재래 닭의 유전적 특성 규명 및 기능 유전체 연구의 기초재료를 확보하고자 대량 EST 염기서열 결정 및 생물정보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량 EST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재래 닭의 뇌, 비장, 정소, 배아 생식기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library로부터 총 15,121개의 클론을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생물정보학 분석결과 15,121개의 염기서열은 총 10,353개의 contig로 정리되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tBlastX(http://www.ncbi.nlm.nih.gov/BLAST)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염기서열 중 56 %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보였다. 상동성을 보이는 유전자들은 유전자의 구조 및 기능 분석에 이용될 것이고, 상동성을 보이지 않는 유전자들은 microarray와 같은 대량 유전자 발현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별한 후 기능분석이 실시될 것이다.

  • PDF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한 한국 재래닭의 주요 경제형질의 유전력

  • 최철환;상병돈;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유동조;이상진;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7-128
    • /
    • 2003
  • 재래닭 5계통의 체중에 대한 유전력 추정치는 150일령에서 0.25∼0.61, 270일령에서 0.32∼0.59의 범위로 대체로 높은 추정치였으며, 150일령보다는 270일령 체중에서 계통별로 비교적 높은 유전력을 보였다. 산란능력에 대한 유전력 추정치는 시산일령에서 0.15∼0.31, 시산난중에서 0.06∼0.09, 270일령 난중에서 0.24∼0.41, 산란수에서는 0.09∼0.26의 범위로서 시산난중에서 매우 낮은 추정치를 보인 반면 시산일령과 산란수에서는 저도 및 중도의 유전력 추정치였으며, 270일령 난중에서는 중도의 유전력 추정치를 보였다.

  • PDF

한국 재래닭의 유전적 개량량의 추정

  • 최철환;상병돈;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이상진;유동조;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5-126
    • /
    • 2003
  • 축산기술연구소에서 1995부터 7세대 동안의 재래닭 5계통 11,583수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한 결과 150일령 및 270일령 체중은 각각 -5.292 ∼ 3.682 및 -6.184 ∼ 4.591 g 범위였으며, 시산일령은 -0.399 ∼ -0.102일, 시산난중 및 270일령 난중은 각각 -0.026 ∼ -0.016 및 -0.039 ∼ 0.068 g, 270일령 산란수는 0.222 ∼ 0.587개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토종닭 모색 변이와 TYR 유전자형 간의 상관관계 분석 (Genetic Variations of Chicken TYR Gene and Associations with Feather Color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 최진애;이준헌;장현준;이경태;김태헌;이현정;허강녕;김종대;한재용;박미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4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토종닭의 모색 변이와 TYR 유전자형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우리맛닭' 실용계 부계로 이용되는 토종닭 순계 H 계통 암탉 207수, 수탉 40수와 '우리 맛닭' 실용계 60수, 육질형으로 많이 이용되는 흑색 모색을 가진 재래닭 L계통, 흰색 모색을 가진 재래닭 W 계통 토종닭 각각 50수, 총 407수 혈액을 채취하고 DNA를 분리하였다. 모색 표현형과 유전자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색 관련 후보 유전자 TYR의 sequencing 결과를 분석하여 유전자 변이를 살펴보았다. L/W 계통 간의 모색 표현형과 유전자형을 비교한 결과, W 계통의 경우, 유전자형은 GG, AA, TT, CC, GG, AA type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우리맛닭' 실용계에서 TYR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두 개체 간의 유전자형의 빈도 차이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SNP는 갈색 이모색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재래닭 L/W 계통과 달리 토종닭 순계 H 계통 간의 경우, 유전자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모색 표현형과 유전자형과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또한, 모색의 관련된 후보 유전자들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해 멜라닌 생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PMEL17(premelanosome protein 17)(Kerje et al., 2004) 유전자와 성 결정 유전자인 SOX10(sex determining region Y, BOX 10)(Gunnarsson et al., 2010), MC1R(melanocortin 1 receptor)유전자의 상반된 기능을 가진 ASIP 유전자(agouti signaling protein)(Yoshihara et al., 2012) 등 모색 관련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본 연구는 토종닭의 품종 구분을 위한 분자유전학적 기초 마커 개발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토종닭 품종의 대상으로 실용계 개발 및 토종닭 보존 계획 방법에 있어서 가치 있는 정보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재래 닭 고환 간질세포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The Ultrastructure of Leydig Cells in the Testi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장병귀;태현진;최철환;박영재;양홍현;김남수;박상열;강형섭;박병용;이영훈;안동춘;김인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1-188
    • /
    • 2006
  • 한국 재래 닭에서 부화 후부터 성숙에 이르는 시기까지 고환 발달동안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부화 후 1, 2, 4, 6, 8, 10, 12, 14, 16, 18, 21, 28, 32, 44, 52 및 64주령(n=13마리/일령)의 한국 재래 닭을 이용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재래닭의 고환은 2.5%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전신관류고정하고 조직 처리 과정을 거쳐 Epon-araldite에 포매하였다. 초박절편기를 사용하여 $1{\mu}m$로 절편한 다음 methylene blue로 염색하여 일반적인 조직의 변화상을 관찰하였고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는 초박 절편을 제작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간질세포내에서 테스토스테론과 연관성이 있는 미세구조인 사립체, 평활형질내세망 및 지방방울의 변화에 따라 간질세포의 발달 유형을 분류하면, 1) 간질세포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고 세포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으며 핵이 간질세포 용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기로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유형과 희박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고, 또한 세포질 내에는 많은 양의 지방방울, 소량의 사립체 및 평활형질내세망을 갖고 있는 시기, 2) 세포질 내에 큰 폭으로 확장된 평활형질내세망, 풍부한 사립체 및 감소된 지방방울을 갖고 있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한국 재래닭의 경제형질 개량을 위한 apoVLDL-II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Genotype Analysis of apoVLDL-II Gene in Korean Chicken Breeds)

  • 정기철;이유주;;장병귀;최강덕;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5-339
    • /
    • 2009
  • 초저밀도 아포지단백(Very Low Density Apolipoprotein-II)은 조직의 지방단백질 분비 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유전자로서 최근 닭에서 성장 및 체구성과 매우 높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닭의 3품종에서 PCR-RFLP 방법을 통해 apoVLDL-II 유전자의 유전자형을 분석하고 Broiler 형(B)과 Fayoumi 형(F)을 결정하였다. 각 품종간 유전자형 빈도는 한국 재래계에서 BB가 0.37, BF가 0.43, FF가 0.2로 검출되었고, 오계에서 BB가 0.2, BF가 0.6, FF가 0.2로 검출되었으며, 백색레그혼에서 BB가 0.16, BF가 0.84로 검출되었다. Broiler 형은 성장이나 체구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기존의 보고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집단내 다양한 유전자형 분포는 재검증 작업을 거쳐 육종에 의해 이 형질들을 개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