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사진

검색결과 4,154건 처리시간 0.031초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에 대한 소고 (A Study on 'Fur eine philosophie der Fortografie' by Vilem Flusser)

  • 김주환
    • 동굴
    • /
    • 제64호
    • /
    • pp.61-80
    • /
    • 2004
  • 저자는 이 책에서 사진의 기교적 예술적 측면에 대해 다루기 보다는 사진술을 미학적 과학적 그리고 정치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저자는 사진술 속에서 20세기 말 우리 문화가 당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위기를 성찰하면서 그 원인과 해결책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진과 관련된 제 현상들, 프로그래밍된 자동 사진기의 작동원리, 사진의 생산과 배포 과정 등을 철학적 정신에 입각해서 분석, 사진을 현재 유행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고전적$\cdot$선구적 형태로 파악함으로써 ,사진의 역사로부터 오늘날 디지털 혁명의 뿌리를 캐고 있다.

사진지리학의 역할과 범위 (A Study on the Problem for discussion about Photogeography)

  • 김주환
    • 동굴
    • /
    • 제74호
    • /
    • pp.33-43
    • /
    • 2006
  • 지리학(地理學)은 장소에 관한 학문이며, 장소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연구가 시작된다. 지리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그 기록을 연구자료로서 축적하고,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지리학(寫眞地理學)은 사진의 기록성(記錄性)과 예술성(藝術性)을 지리학에 접목시킨 것이다. 즉 사진지리학은 지리학연구(地理學硏究)나 지리교육(地理敎育)에 있어 영상매체(映像媒體)로서의 제사진(諸寫眞)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해 가는 것이다. 지리학에 있어 이용되는 사진은 그 성격상 크게 지리사진(地理寫眞)과 일반사진(一般寫眞)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형태상으로 크게 정사진(靜寫眞)과 동사진(動寫眞)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단사진(單寫眞), 슬라이드, 항공사진(航空寫眞), 위성사진(衛星寫眞) 등은 정사진에 해당되며, 비디오, 영화 등은 동사진에 속하는 것이다. 지리사진(地理寫眞)은 결과적으로 지리적인 정보가 찍혀 들어간 것만이 아니라, 처음부터 확실히 그러한 정보를 찍으려고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사진지리학자(寫眞地理學者)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진을 지리학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 보다 효과적인 지리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 같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예술적 감각 등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곧 사진지리학이 풀어가야 할 과제가 된다.

직선 성분을 이용하는 구도가 유사한 사진 검색 방법 (Retrieving of Compositionally Similar Images Using Straight Line Elements)

  • 황주연;임동섭;백두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539-1546
    • /
    • 2009
  • 사진이론에 따르면 선은 사진의 구도와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직선 성분을 이용하여 두 사진의 구도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의 어떤 패턴이 구도를 구분 짓는지 파악하기 위해 구도가 동일한 사진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다른 구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특징을 반영하여 구도차이 측정방법을 설계하였고 제안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쿼리 사진과 구도가 유사한 사진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검색 시스템은 상위 10개 내의 결과에서 최고 85%정도의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사진 내에 물체가 포함되어도 유사한 구도의 사진을 검색하는 성능을 유지하였다.

  • PDF

수치지도를 이용한 정사사진지도제작 (Orthophoto Image Mapping from NGI′s Digital Topographic Map)

  • 김감래;김욱남;이호남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207-217
    • /
    • 2002
  • 수치정사사진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기반 자료로 스캐닝한 수치항공사진영상과 항공사진의 왜곡 보정을 위한 표정, DEM의 추출과 편집 및 편위 수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처리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영상과 벡티 자료의 중첩을 통해 생선한 영상지도의 편집과 지도제작 작업에는 다양한 미적 요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에 내포하는 기하학적 변위를 3차원 모델링 결과와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소거하고, 수치정사사진을 제작한 후에, 1/5,000 수치지도에서 필요한 레이어와 중첩시킨 수치정사사진지도를 제작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처리 단계별 문제점의 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칩 타일 사진들의 자동적인 스티칭 방법에 관한 연구 (Automatic Stitching of Tiled Chip Photographs)

  • 고병철;장경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358-360
    • /
    • 2012
  • 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칩 전체를 타일 형태로 나누어서 사진을 찍어 분석할 한 장의 사진을 완성하게 된다. 본 논문은, 타일형태로 부분 부분 찍은 사진들을 조립하여 한 장의 전체 사진을 완성하는 스티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수작업으로 일일이 사진들을 붙이려면 시간과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스티칭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사진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제거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pplication that removes moving objects from pictures)

  • 변주성;김민호;신병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3-994
    • /
    • 2017
  •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식별하고 이를 지울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 후 첫 번째 사진을 기준으로 나머지 사진들에 와핑(warping) 변환을 적용하고, 최적의 패치(patch)들을 변환된 사진 속에서 골라내어 이동 객체로 가려진 배경을 복원한다.

사진을 이용한 건축물의 곡면 요소의 모델링 및 렌더링 (Modeling and Rendering Curved Architectures from Photographs)

  • 이지은;김정현;박찬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594-59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젼의 사진측량학적 방법과 대상물의 기하학적 정보를 결합하여, 사진으로부터 건축물의 정확한 값을 복원해 내는 새로운 모델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사용자의 간단한 프로토타입핑으로 얻은 대략의 모델 정보를 시스템이 사진 이미지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모델 정보를 복원해 내며, 사진에서 최선의 텍스쳐 맵을 생성해 내므로, 세밀한 모델링 없이도 사진 수준의 사실적인(photo-realistic)모델을 얻을 수 있다.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실재 대상의 효과적인 모델을 얻을 수 있는 이 연구의 성과는 가상현실 분야의 모델링 작업에서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므로, 가상현실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알맞은 대상에 적용을 통해 실질적인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 PDF

선형 사진트리의 둘레 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RMESH 알고리즘 (A RMESH Algorithm for Computing Perimeter of Linear Quadtrees)

  • 김기원;우진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658-660
    • /
    • 1998
  • 계층적 자료구조인 사진트리는 이진 영상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구조이다. 선형 사진트리는 사진트리를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므로 사진트리와 관련된 연산의 수행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RMESH(Reconfigurable MESH) 구조에서 3-차원 n$\times$n$\times$n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선형 사진트리로 표현된 이진 영상의 둘레 길이를 계산하는 상수 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현미경 사진, 그리고 감추어진 방법 (Microphotographs and the Invisible Method of Specimen Preparation)

  • 성한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67-96
    • /
    • 2011
  • 그동안 시각 이미지 연구들은 풍부한 세부 사항을 담은 사진으로부터 특정한 과학자의 주장을 담은 다이어그램까지 이어지는 시각적 연쇄(visual chain)에 주목해왔다. 이 때 시각적 연쇄의 양 끝에 위치한 사진과 다이어그램은 서로 다른 종류의, 다른 성격을 지닌 시각 이미지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글에서 소개할 현미경 사진은 제작 과정에서 불필요한 세부 사항이 제거되고, 특정한 정보를 담은 다이어그램과 같은 성격을 띠게 된다. 사례로 다룬 현미경 사진은 풍부한 세부사항을 담기 때문에 객관적이라 여겨지는 시각적 연쇄의 사진에 대입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현미경 사진이 사진으로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이 글은 국내의 한 실험실이 겪었던 현미경 사진의 변화를 추적한다. 후발 그룹인 실험실이 경험한 현미경 사진 향상은 선도 그룹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달받은 표본 제작법 때문이었다. 표본 제작법은 암묵지로서 논문에서 상당 부분 감추어지며, 이 때문에 현미경 사진은 자신에게 특정한 의미를 부여했던 탄생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례로 다룬 현미경 사진이 다이어그램과 같은 성격을 지니며 동시에 사진으로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표본 제작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글은 표본 제작법에 주목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강조되지 못했던 현미경 사진의 새로운 측면을 드러내고 있다.

  • PDF

사진저작물의 창작성 판단 기준 (Standard of Creativity in the Copyrightable Photographic Works)

  • 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3-105
    • /
    • 2015
  • 최근 동일 풍경을 대상으로 촬영한 두 사진이 실질적으로 유사하지 않다는 법원 판결을 놓고 사진의 창작성 기준 및 저작권 보호 수준에 대한 논란이 뜨거웠다. 이에 본 연구는 풍경 사진을 비롯한 각종 사진 저작권 관련 국내외 판례 및 관련 법령, 각종 선행 연구 등을 중심으로 사진의 창작성 및 저작권 보호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진저작물에서 표현 부분은 사진의 구성 요소 중 피사체의 선정, 구도의 설정, 빛의 방향과 양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셔터의 속도, 셔터찬스의 포착, 기타 촬영 방법, 현상 및 인화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반면 위에 언급한 부분 중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존재한다고 보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디어'라 할 수 있는데, 사진의 주제 콘셉트 느낌, 피사체 특히 공중 영역에 있거나 자연에 존재하는 물체의 외관, 계절이나 시간 등 촬영 시점, 사진이 가장 멋있게 나올 수 있는 촬영 장소, 가로나 세로 앵글의 선택 여부는 일종의 아이디어로 볼 수 있다. 사진의 경우 예외적으로 사진촬영에 들인 노력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저작권법은 사진저작물에 있어서도 일관되게 '아이디어'가 아닌 '창작적 표현'만을 보호해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