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blem for discussion about Photogeography

사진지리학의 역할과 범위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establish the concepts of photogeography, an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ursuit of photogeography in Korea. Photogeography is to effectively utilize the documentary and artistic nature of the photo, as an image medium, in the geographic study. The concept of photogeography, along with the term photogeology, is already known widely in foreign countries, and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However, here in Korea, nobody knows the concept of photogeography. Since photogeography has not been systemized as a science, and interest in photography is being minimal, photography, in reality, has in no way been utilized effectively. The photographs used in Photogeograph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 into two major categories, geographic photographs and general photographs, and, according to subject and camera, into still photographs and dynamic photographs. Photographs, such single photographs, slides, air photographs and satellite photographs are in the category of still photographs, while pictures like video and movie pictures are dynamic photographs.

지리학(地理學)은 장소에 관한 학문이며, 장소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연구가 시작된다. 지리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그 기록을 연구자료로서 축적하고,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지리학(寫眞地理學)은 사진의 기록성(記錄性)과 예술성(藝術性)을 지리학에 접목시킨 것이다. 즉 사진지리학은 지리학연구(地理學硏究)나 지리교육(地理敎育)에 있어 영상매체(映像媒體)로서의 제사진(諸寫眞)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해 가는 것이다. 지리학에 있어 이용되는 사진은 그 성격상 크게 지리사진(地理寫眞)과 일반사진(一般寫眞)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형태상으로 크게 정사진(靜寫眞)과 동사진(動寫眞)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단사진(單寫眞), 슬라이드, 항공사진(航空寫眞), 위성사진(衛星寫眞) 등은 정사진에 해당되며, 비디오, 영화 등은 동사진에 속하는 것이다. 지리사진(地理寫眞)은 결과적으로 지리적인 정보가 찍혀 들어간 것만이 아니라, 처음부터 확실히 그러한 정보를 찍으려고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사진지리학자(寫眞地理學者)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진을 지리학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 보다 효과적인 지리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 같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예술적 감각 등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곧 사진지리학이 풀어가야 할 과제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金蓮玉, 1992, 地理数育研究, 敎育科學社
  2. 金周換. 差永幅, 1990, 地圖學, 新羅出版社
  3. 朴達根, 1970, 寫眞数室, 松園文化社
  4. 한국사진작가협회, 사협, 1987년 4월호
  5. 한국사진작가협회, 사협, 1987년 6월호
  6. 한국사진작가협회, 사협, 1991년 5월호
  7. 한국사진작가협회, 한국사협, 1990년 10월호
  8. 한국사진작가협회, 한국사협, 1990년 2월호
  9. 한국사진작가협회, 한국사협, 1991년 7월호
  10. 한국사진작가협회, 한국사협, 1992년 3월호
  11. 한국사진작가협회, 한국사협, 67호(1985년 l월)
  12. 石井 貫, 1988, 地理寫眞, 古今書院
  13. J.A.E.Allum, 1966, Photogeology and Regional Mapping, PERGAMON PRESS
  14.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y, 1960, Manual of Photographic Interpreation, The George Benta Company, Inc.Menasha, Wiscon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