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대학생활 적응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3초

공과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공학흥미,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지속의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engineering interest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in first yea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이명화;이정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13-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engineering interest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in first yea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74 freshma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SPSS and SmartPL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key findings revealed we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engineering interest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engineering interest and adjustment to colle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adjustment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education.

간호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 이현주;김덕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2-102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involved 250 nursing freshmen at two local universities and analyzed data from the final 170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the Kruskal-Wallis test, the Mann-Whitney U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assessed following Baron and Kenny's three-step verification procedur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determined by bootstrapping. Results: Academic adjustment (β=.24, p<.001)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β=.20, p=.004),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were ident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β=.47, p<.001). Conclusion: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could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and counseling, which include content to promote self-leadership and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과 진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Adaptation and Career of College Students Chosen by Admissions Officers System)

  • 김헌주;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69-178
    • /
    • 2017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입학사정관제가 잘 정착되어지고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제도와 기존의 입학제도로 입학한 학생들 사이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졸업 후 진로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으로 졸업한 09학번과 10학번들 중에서 세가지 영역에 대한 자료를 모두 가지고 있는 404명을 대상으로 평균차이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업 후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입학사정관제 선발 유무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부터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속적으로 시행한 H대학이 그동안 입학사정관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고 볼 수 있다.

기회균형 선발전형 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 최윤희;임준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88-803
    • /
    • 2022
  • 본 연구는 H대학교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기회균형 선발전형 수립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입학성적과 대학성적간의 관계를 상관분석하였다. 둘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과 재학생들간의 만족도 비교를 위해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 및 진로에 대해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고교 내신 성적과 대학성적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통해 학업수준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대학만족도가 전체 재학생 만족도 보다 높음을 통해 대학이 학생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실천 행동이 양극화되어 있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성향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면 대학만족도 등을 고려할 때 기회균형 선발전형에 대한 확대가 대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기 어머니에 대한 애착, 성인기 자아존중감이 성인 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tachment to the Mother in Childhood and Self-Esteem in Adulthood on Adult Students' School Adjustment)

  • 이사라;송승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5-386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child attachment across the child's life from a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child's attachment to his or her mother in childhood on his or her school attachment as an adult student and explores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 total of 529 S Cyber University students taking social welfar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their present level of self-esteem, attachment to their mother in childhood,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M results, adult students'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child attachment in childhood and their school adjustment in adulthood. Attachment security for the mother in childhood was related to the child's own internal working model, and positive self-esteem wa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중국인 유학생의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of major courses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임체리;;박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89-402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7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의 국제화로 한국에 체류하며 학위과정에 있는 외국인 수는 이미 10만 명을 돌파하였으나, 이들은 대학생활의 부적응으로 중도탈락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학업에서 강의내용의 이해부족, 연구수행과 발표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학업 성취도 저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원 과정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전공학습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Caffarella와 Daffron의 상호 작용모델을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학업 측면에서의 어려움과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요구(전공지식, 의사소통, 과제작성, 발표)를 반영하여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단순한 한국어 능력 향상이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전공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대학원생이 전공에 대한 학업을 잘 수행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유학생활을 원만하게 이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구체적인 교과목 및 교육과정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73명에게 진로결정 여부와 진로 관련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성별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이 아니었다. 둘째,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학년, 전공만족도, 진로개발역량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적응, 진로적응성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2배 이상 컸으며, 전공만족도가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1.9배 커졌고 진로개발역량이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5.1배 커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개발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학과 편입생의 대학생활 경험 (University lif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 transfer student)

  • 여형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03-5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간호학과 편입생의 대학생활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있는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사학위를 소지한 자가 다시 4년제 대학교의 3학년으로 편입한 학사편입 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로 녹음테이프를 사용하여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4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이질감을 느끼게 됨, 부담감 체험, 학과에 적응됨, 선택에 대한 책임. 결론으로 간호학과에 편입한 편입생들이 기존 재학생들과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함께 할 수 있는 해당 학과 차원의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고 편입생들이 학과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들어주기 위해 편입 초기에 선수과목 수강이나 보충지도 등을 통해 전공지식을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주는 등 편입생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식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Life Stress Factors and Eating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성민;손애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45-954
    • /
    • 2018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수준과 생활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식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대전지역 치위생과 각 1개교를 선정하여 재학 중인 38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생활스트레스 중 학업요인이 3.16점으로 가장 높았고, 진로요인 3.04점, 경제요인 2.97점 등이 뒤를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체질량지수, 경제수준, 가족과의 대화시간 그리고 본인의 건강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인 스트레스 자각 정도가 높은 군에서 올바르지 못한 식행동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후 식행동의 변화에서는 매운맛 선호가 44.0% 가장 많았고, 평소보다 식사량 증가 47.7%,를 보였으며, 선호하는 음식은 매운 음식 42.5%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수준과 그에 따른 식행동 변화를 확인하였고, 연구 결과는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과 상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간호대학생의 지역 간 대학생활 적응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difference of Campus Life Adapt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 최선하;임난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5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f effective student guidance in nursing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03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Seoul and 143 students in Cholla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about personnal campus life and their majo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on nursing students between Seoul and local areas. 2. In Seou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In local are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academic years. The score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pos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years. 3. The variables which can be explained in the regional difference were social recognition of nursing and a family atmosphe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Seoul and local areas, the pers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equalized.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ounselling on choice of major should be provided to high school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