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해양환경공학회

Search Result 5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선박거주구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기준개선 연구

  • 강영훈;도근영;임덕민;†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75-377
    • /
    • 2022
  • 선박거주구는 선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육상의 일반적인 거주공간과 달리 거주자의 거주성 보다는 선박의 목적에 충실하게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다. 최근 거주자들이 거주구에 대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으며, 신체적 변화에 따라 기존 기준으로 설계된 거주구의 환경에 대한 불만이 높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박 거주구에 적용되는 거주구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실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구에 대한 거주성 조사를 바탕으로 거주구 설계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유사사례와 거주자의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여 거주구 개선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The prospect and the State of the Art for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from a Point of view of Marine Biotechnology (해양생명공학관점에서의 해양환경공학 현황분석과 전망)

  • Kim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3
    • /
    • pp.111-115
    • /
    • 2004
  • In this manuscript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was depicted in the aspect of marine biotechnology, and the prospect of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were suggested. Firstly definitions and main features of marine biotechnology and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were mentioned, and the long-term trends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technology and the role of marine biotechnology to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were described. The present state of the art for domestic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s of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was reviewed and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were suggested and discussed through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solving those problems.

  • PDF

Cleaner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in Marine Environment (청정생산과 해양에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Song Mu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3
    • /
    • pp.3-15
    • /
    • 2003
  • The concept of 'Cleaner Production(CP)' and various activities aiming at promoting CP a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applicabilities of CP to marine environment. Although the conventional approaches dealing with the marine pollutions can be absorbed in CP, the whole activities of Production and conservation in the ocean must be projected into a new Paradigm, 'Sustainable Development.' Renewable energy is the first key to a complete CP and the ocean can provide us with the clew. In order to introduce CP system more effectively to marine environment opinion collection, environment monitoring, problem identification, resolution proposition, state-of-the-art evaluation, policy development, communication,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are to be Planned and followed up systematically KOSMEE is believed to be a good structure to stand at the center of the upcoming CP activities in the ocean.

  • PDF

on the Study of Nonlinear Scattering Phenomena around the Breakwaters (방파제 주위에서의 비선형 산란 현상에 대한 연구)

  • 조일형;김장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45-50
    • /
    • 1993
  • 항만과 방파제와 같은 해양시설물은 해양의 자연환경에서 사용하는 구조물이므로 당연히 설치해역의 평상시의 자연환경 하중을 받으면서 기능유지가 가능하여야 하며, 또한 극한 자연환경 하중에도 견딜 것이 요구된다. 해양시설물 설계시에 고려해야할 자연환경조건으로는 바람, 파랑, 조류, 해류, 지진, 해저지반 등이다. (중략)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afety of Underwater Sewage Outfall (실험에 의한 해양방류관거의 안정성 고찰)

  • 김국태;정동호;박한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65-70
    • /
    • 2000
  • 최근까지 주변이 해양으로 둘러싸인 연안국가에서는 오·폐수를 인접한 연안으로 그대로 방류하여 왔다. 그 결과, 연안의 환경오염이 상당히 심각해졌다. 이에 따라 연안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오·폐수를 해양방류관거를 통해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방류하는 방법이 널리 채택하고 있다. Fig. 1은 호주의 연안도시 시드니에 연안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 해양방류 관거의 형상을 나타낸다. (중략)

  • PDF

세계 해양관측 시스템 구축 계획과 국지 연안 모니터링 시스템

  • 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86-188
    • /
    • 1993
  • 90년대에 와서 지구규모의 환경변동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해양의 계속적인 관측과 연구에 국제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구 환경 변화 연구와 관련하여 1992년 여름 세계해양 관측시스템(GOOS) 계획이 제안되어 이를 여러 전문가의 검토를 거처 보완하여 1993년 봄 UNESCO의 정부간 해양 위원회(IOC) 총회에서 채택 되었고 작년에 환경과 개발에 관한 국제 회의(UNCED)에서도 “21세기를 향한 행동 계획”으로 채택되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Marine Structure on the Ambient Wind (해양구조물이 주변 바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재설;오병철;전인식;황종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56-161
    • /
    • 2002
  • 21세기 해양시대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해양자원의 탐사 및 개발과 해양환경 보존 및 해 ㆍ기 상예측에 대한 기술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양자원 및 환경 에 관련된 정보를 상시 관측할 수 있는 시설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가지는 위상은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MOMAF's Strategies for Marine Biotechnology R&D

  • Im, Hyeon-Cheol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57-61
    • /
    • 2003
  •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하고 있는 해양은 평균 수심이 4,000 m, 염분 농도가 35%$_{o}$, 해수의 $90{\sim}95%$의 평균온도가 $5^{\circ}C$ 이하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높은 수압, 고염도, 저온 등 육상에 비해 극한 환경에 속한다 할 수 있는 해양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해양생물은 육상생물과는 다른 특성을 발전시켜왔다. 이러한 육상 생물과는 다른 물질이나 기능을 바이오산업에 이용하려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어 해양생물은 생명공학의 주요 자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좋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한 해양바이오 독자기술의 확립과 특화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아직 타부처에 비해 미미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해양바이오 산업을 미래 첨단 국가기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양바이오 연구사업의 현황과 신규 대형 장기 연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마린바이오 21 사업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안전한 승하선을 위한 선착장 승강 환경 연구 - 부산시 유선장을 중심으로-

  • 김경준;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90-2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승선환경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승선 및 유람선 터미널의 공간 및 시설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상대중교통의 탑승과 관련된 법령과 규정에 비해 시설별 세부규정이 미흡하고, 유람선터미널 역시 탑승객 수용능력별 시설기준이 요구된다. 2) 터미널의 대기공간과 승강장은 법에 따라 기본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곳으로 탑승능력을 수용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이다. 3) 현측 접안과 선수측 접안을 유람선 선착장의 승강 공간과 사용 시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해야한다.

  • PDF

한반도 동남부 연안해역의 저서성유공충 분포특성

  • 정규귀;김귀영;강소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1-212
    • /
    • 2000
  • 유공충은 껍질(test)을 가지는 원생동물로 기수역(brackish) 내지는 해양에 널게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석회질 혹은 사질(arenaceous)의 껍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양퇴적물의 중요한 생물원 요소가 되고 있다(Matoba, 1975). 유공충은 서식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거나 종내변이(variety 혹은 ecophenotype)를 보이며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동남부 연안해역의 내 대륙붕 니질대(nearshore mud belt) 및 영일만에 분포하는 저서성유공충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저질환경인자에 대한 반응 종을 탐색함으로써 연안환경에 서식하는 유공충의 환경지시자를 밝히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