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콘크리트 학회

Search Result 17,69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Nonlinear Material Model for Concrete Compression Strength Considering Confining Effect (30-40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고려한 비선형 재료모델의 적용성 검토)

  • Lee, Heon-Min;Park, Jae-Guen;Hwang, Jae-Min;Yun, Hee-Tack;Shin, Hyun-Moc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79-382
    • /
    • 2009
  • 횡방향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거동은 구속되지 않은 콘크리트와는 다른 거동을 한다. 보통강도 콘크리트에서 구속효과를 고려한 콘크리트 재료모델로는 Mander 모델이 대표적이며 고강도 콘크리트의 구속효과의 경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된 모델 중 공시체 수준의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Sakino-Sun 모델을 사용하였다. 보통강도에서는 Mander모델을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Sakino-Sun 모델을 사용하였으나 중간 강도인 30-40MPa의 강도에서 Mander 모델과 Sakino-Sun 모델의 적용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가 다소 차이를 보이며 또한 두 모델은 적용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소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한계범위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30-40MPa의 강도의 횡방향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비선형 재료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30-40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공시체의 일축압축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IT Technology for Concrete Industry in US (미국 콘크리트 산업에서의 IT 기술 동향과 전망)

  • 강승민;채숙희;양성철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3
    • /
    • pp.51-56
    • /
    • 2002
  • 최근 건설 관련 기업체나 학회 등은 컴퓨터와 IT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의 이용으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였고, 또한 연구결과의 교류는 콘크리트기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현재의 콘크리트 산업은 이러한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콘크리트와 관련된 통신규약의 결핍, 콘크리트 지식의 교류와 표현에 대한 기준의 불분명 등이 컴퓨터 사용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한다. 콘크리트 기술을 적용하는 수단의 향상, 자료의 교환방법, 표현법 등의 지침이 콘크리트 산업에서 컴퓨터 적용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다른 건설재료에 대하여 경쟁력도 증가시킬 것이다.(중략)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s of Concrete Products in Japan (일본의 콘크리트 제품 현황과 전망)

  • 복택공부;삼정아일;김무한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6
    • /
    • pp.32-40
    • /
    • 2002
  • 콘크리트 제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일종이며,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되는 무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말한다. 본고는 일본에서의 콘크리트 제품에 대한 기술적 동향을 소개하는 것으로서 일본에서는 콘크리트제품마다 관계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은 곤란하며 되도록 광범위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지만 필자들의 지식부족으로 소개할 수 없는 부분도 많이 존재하는 점에 대해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또한 신기술의 소개에 있어서 그 기술이 어느 정도 새로운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경위에 대해서도 약간 다루기로 한다.(중략)

Statistical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Field-Cast Concrete (현장타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확률적 분석)

  • 김상효;배규웅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 no.2
    • /
    • pp.93-100
    • /
    • 1989
  • 철근콘크리트부재의 강도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변이를 보이고 있다. 주요 요인들은 콘크리트나 철근의 강도 및 역학적 특성의 변이, 시공오차등이다. 이들중 콘크리트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불확실성을 가지며, 다양한 요인(배합, 운반, 타설, 양생등)에 의해 변화정도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가지는 신뢰도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로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설계강도별로 직접채취하여 습윤양생과 현장조건양생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의 확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현장타설 부재내에서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였다.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 이진용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6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Literature Review on Materi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EMP Shielding Concrete (EMP 차폐 콘크리트 개발 및 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문헌 연구)

  • Lee, Woong-Jong;Lee, Hwan;Kim,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67-7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directionality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power electromagnetic pulse (EMP) shielding concrete and standardization of a shield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Because the EMP shielding mechanism of concrete has not been identified clearly, and the verification method for EMP shielding performance has not been standardized,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research results between researche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MP shielding concrete was derived from a consid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loss mechanism of metal. The standardization direction for verifying the EMP shielding performance of concrete was derived from a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concrete and the shield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ly conductive concrete is required, and test methods classifi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loss mechanism should be applied. For quality verification, the development of EMP shielding concrete will be feasible and its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if a test method referencing the generalized shielding evaluation method (MIL-STD, etc.) is applied.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ed by high Calcium Sulfate Cement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승범;임창덕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1992.10a
    • /
    • pp.11-18
    • /
    • 1992
  •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콘크리트 말뚝(KS F430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800kg/$\textrm{cm}^2$이상인 고강도콘크리트를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500kg/$\textrm{cm}^2$ 이상의 콘크리트 말뚝제조가 불가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황산염시멘트를 이용한 고강도콘크리트 말뚝제조에 관한 공학적 특성 연구의 일환으로써 고황산염시멘트의 수화특성 및 고강도 발현기구 구명과 공학적 특성중에서 압축.휨강도의 내동해성, 건조수축 특성 및 화학저항성등을 비교 고찰하여 보통 시멘트보다 품질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시제품 제조를 위하여 2개 공장에서 현장 실험한 결과 94.7kg/$\textrm{cm}^2$의 양호한고강도콘크리트를 얻었다. 향후 고강도콘크리트 말뚝 제조의 공업화 및 양산회가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