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제분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효소처리에 따른 밀 배아 추출물의 2,6-dimethoxy-1,4-benzoquinone과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 변화 (Changes in 2,6-dimethoxy-1,4-benzoquinone and Water Extractable Arabinoxylan Content of Wheat Germ Extract by Enzyme Treatment)

  • 이재강;이정훈;최용현;최용석;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19
  • 본 연구는 밀 배아의 기능성 물질인 2,6-DMBQ와 아라비노자일란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업용 효소인 Celluclast 1.5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온도는 30, 45, 60℃였고, 추출 시간은 0, 6, 12, 18, 24, 30시간 추출 후 상등액 pH 변화와 건조물을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pH는 WEWG와 ETWG 모두 추출 온도 30℃에서는 18시간 추출 시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45℃는 12시간부터 감소하였고, 60℃는 다른 추출 온도와 비교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2,6-DMBQ는 WEWG와 ETWG 모두 추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추출 온도 30℃에서 가장 높은 함량으로 추출되었으며, 30시간 추출할 때 2,6-DMBQ 함량은 ETWG에서 WEWG 보다 추출 온도 30℃에서 27.60%, 45℃에서 65.03%, 60℃에서 151.05% 증가하였다.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은 WEWG와 비교하여 ETWG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효소 처리 후 60℃에서 15.23±0.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30시간 추출 시 ETWG와 WEWG에서의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을 비교했을 때 30℃에서 7.92%, 45℃에서 31.20%, 60℃에서 54.38%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에 항염 활성을 보유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조건에 따른 현미쌀가루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Produced under Different Drying and Milling Conditions)

  • 박종대;최봉규;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5-50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분기, 건조방법별 등 다양한 조건별로 현미쌀가루 제조하여 각 쌀가루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건조조건에 따른 roll mill 제분한 현미쌀가루의 수분함량은 열풍건조 10.7% 마이크로파건조 13.7%로 측정되었다. 대조구인 백미쌀가루의 수분함량은 10.0%였다. Zet mill 분쇄 후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8.0-8.6%로 측정되었다. WAI는 전분손상도가 높을수록 흡수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여 전분손상도가 가장 높은 Zet mill로 분쇄한 현미쌀가루가 0.58-0.79g/g으로 높았고, 전분손상도가 낮은 roll mill 분쇄한 대조구와 BrWRH 쌀가루가 각각 0.45, 0.40g/g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WSI 역시 WAI와 같이 전분손상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입자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대조구 백미 쌀가루 L, a, b는 97.1, -0.4, 4.2로 측정되었고, 현미쌀가루는 분쇄과정에서 생성된 미강층 때문에 L값은 대조구보다 낮고 반면에 b값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분방법에 따른 L값, b값은 roll mill로 분쇄한 현미쌀가루의 L, b값은 각각 91.3-91.9, 9.2-10.1이었고, zet mill로 제분한 현미쌀가루의 L, b값은 각각 94.1-96.8, 5.8-6.8로 측정되어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L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감소하였다. 전분손상도는 대조구가 8.2%로 가장 낮았고, 마이크로파 건조 시 열품건조보다 4-10%정도 높은 전분손상도 값을 보였다. 제분기 종류에 따른 전분손상도는 roll mill 15.5%, zet mill 28.2% 그리고 micro mill 51.9%로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전분손상도는 증가하였다. RVA 측정결과 대조구 호화개시온도는 $65.4^{\circ}C$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제분방법에 따른 대조구, BrWRH, BrWZH, HBrZMU 쌀가루의 호화특성 측정결과 최고점도(peak), 최저점도(trough)는 각각 321, 255, 221, 162 RVU와 217, 185, 175, 113 RVU로 측정되어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호화액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breakdown 값은 대조구가 105 RVU, 현미 쌀가루가 37-96 RVU로 측정되어다 DSC 분석결과 호화엔탈피$({\Delta}H)$는 대조구가 10.4 J/g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나타낸 HBrZMU가 6.1 J/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가공제품으로 현미쌀가루 이용 시 침지, 건조방법 보다는 제분방법 즉 입도분포가 현미쌀가루의 품질특성에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리가루의 영양성분조성에 관하여(노오트)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arley Flours)

  • 최홍식;이남숙;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0-262
    • /
    • 1976
  • 한국산 쌀보리 2개품종 및 겉보리 2개품종을 Buhler test mill에 의하여 제분(제분수율은 쌀보리 약 70%, 겉보리 61%) 한 후 주요 무기질 및 비타민,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기질성분중 P의 함량(0.19-0.27%)이 높았고 K 는 0.18-0.27%, 그리고 미량의 Ca 및 Fe가 함유되고 있었다. 비타민중 A 및 C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B_1,\;B_2$ 및 niacin은 각각 3.6-5.7, 0.9-1.6 및 $27-39{\mu}g/g$의 범위를 보였다. 보리가루류의 아미노산조성은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제한아미노산은 lysine으로서 보리가루 단백질의 amino acid score(FAO 아미노산 표준구성 기준)는 부흥이 61.7, 기타는 모두 58 내외를 보이고 있었다.

  • PDF

켄사스 경질 붉은밀의 소규모 시험 제분 및 페리나 제분 특성과 이들로부터 제조된 스파게티의 조리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miling, Farina Milling, and Cooling Quality of Farina Spaghetti from Kansas Hard Red Winter Wheat)

  • 김혁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86-697
    • /
    • 1994
  • The hardness of hard red winter (HRW) wheat had an effect on the yield of farina , as i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arse fraction (over 34W)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lour fraction from farina milling. But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s on flour milling from the micromilling process. The flour yields was better correlated with the break flour fraction (r=0.730 than with reduction flour (r=0.27). The farina yield was controlled by a fraction over 34W (coarse granule0. Protein was the most important single factor for the quality of cooked farina spaghetti, but not for flour milling or farina milling. On the other hand, hardness was important in the production of farina milling , whereas it did not govern spaghetti cooking qualit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the quality of cooked spaghetti as much as varieties of HRW wheats. The quality of cooked farina spaghetti generally correlated with the protein in the location composites of wheats. Higher protein content wheats showed better spaghetti cooking quality.

  • PDF

내외국산 소맥의 주요품종별 제분성 비교연구 (Studies on the milling quality of major varieties of domestic and foreign produced wheat)

  • 김희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57-60
    • /
    • 1971
  • 한국산 소맥 5품종과 미국산소맥 3품종을 밀과 밀가루의 성분ㆍ회분ㆍ조단백질함량 및 제분율을 조사하였는데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은 한국산밀이 미국산밀보다 품종과 시료에 따른 차가 컸다. 2. 밀의 회분함량이 미국산 밀에서는 경질과 연질에 따라 차가 현저했는데 한국산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3. 제분율은 한국밀중에서는 육성 003 한 품종만이 비교적 높고 기타는 미국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4. 밀가루의 회분함량은 품종간의 차를 인정할수 없었다. 5. 밀가루의 조단백질함량은 한국밀보다 미국밀중에 현저히 높은 것이 있었다. 6. 밀의 조단백질함량과 밀가루의 조단백질함량과의 상관은 한국밀에서 보다 미국밀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 PDF

한국산(韓國産) 밀품종(品種)"조광"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과 전밀빵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Whole Wheat Bread-Baking Test of Wheat Variety 'Cho-Kwang')

  • 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5-21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제분(製紛)된 밀을 입도별(別), 즉 wheat shorts, grits, 및 flour(粉) 등(等)으로 분리(分離)하여, 그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더불어 입도의 크기가 전밀빵(whole wheat bread)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시료(試料)로는 한국산(韓國産) 밀품종(品種)인 ${\ulcorner}$조광${\lrcorner}$을 사용(使用)하였다. 제분(製粉)된 밀의 조회분 및 조단백질의 함량(含量)은 각각 2.3% 및 13.7%이었다. wheat shorts, wheat grits 및 wheat flour의 믹소그라프 높이(mixograph peak-height)는 각각 4.8, 5.6 및 7.3이었으며 Fraction 1(직경 : 0.2mm이하)의 반죽의 안정도(dough stability)는 100mesh이하의 밀가루에 크게 뒤떨어지지 않았다. 제빵 실험(實驗) 결과(結果)로 보아 제분(製粉)된 밀 가운데 직경 $0.2{\sim}0.5mm$ 크기의 wheat grits가 전밀빵을 제조(製造)하는 데 한계(限界) 입도된 듯 하며, 최적(最適)의 전밀빵의 부피 및 빵의 내부(內部)상태는 80% wheat grits/20% wheat flour의 시료구(試料區)에서 얻었다.

  • PDF

소맥육성계통의 품질특성과 변이에 관하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Wheat Breeding Lines)

  • Chang, H.G.;Ryu, I.S.;Cho, C.H.;Bae, S.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5
    • /
    • 1979
  • 소맥의 품질특성규명 및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연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분율은 품종에 따라 49~72%으로서 평균60.3%였으며 한국 재래종의 전체 평균은 62.6%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S.son, Caproch 그리고 CI 12703이 교배된 조합이 제분율이 높았다. 단백질 함량의 평균은 11.4%으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7-17%의 범위에 있고 한국 재래종의 평균 9.34%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수원 210호는 전체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침전가는 20cc 이하에서 70cc의 범위고 평균 43.6cc 였으며 한국 재래종은 낮았으나 수인210호는 높은 침전가를 보였다. Bb#1 \times Sturdy, 중국81 \times Atlas66 등 6개의 교배조합은 15.0% 이상의 단백질함량과 60.0cc 이상의 침전가를 보였으며 일반적으고 Bb#1 이 교배된 조합이 단백질함량과 침전가가 다른 조합보다 높았다. Pelshenke value의 분포는 20분 이하에서 180분 이상으로 평균 89.9분이었고 한국 재래종의 평균은 31.7분으로 극히 낮았다. 비침전가에 의하면 8.1%가 경질소맥인 반면 54.4%가 연질소맥, 37.5%가 중간질로 분류되었다. 329 공시계통(또는 품종)중 제분율, 단백질함량 및 침전가가 높은 교배조합은 Strampelli \times 69D-3607/Jogwang, S.son \times Caproch, Suweon #185 \times Toropi 그리고 Suweon #185 \times Ciano 였으며 Pribog, CT 14496 및 Sturdy \times Rcout/St rampelli \times Bb-Cno는 제분율은 높으나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가 각각 9%, 30cc 이하로 낮았다.

  • PDF

보리의 전분 Isogenic line들의 취반 및 제분 특성 (Cooking and Milling Characteristics of Several Barley Starch Isogenic Lines)

  • 송현숙;이홍석;정태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2
    • /
    • 1994
  • 보리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찰성 부정형 Shrunken endosperm 유전자를 결합하여 육성한 Isogenic line을 이용하여, 취반 및 제분에 대한 제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배유 전분 특성이 다른 Isogenic type 간에 정곡 천립중, 회분, 단백질 함량은 별차이가 없었으나 Amylose함량, $\beta$-glucan viscosity와 취반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취반특성중 흡수율과 퍼짐성은 천립중, Amylose 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용출고형물량과 점도간에도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흡수율과 퍼짐성은 배유 전분 특성과 입의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 찰성 Isogenic type이 높았고 부정형 전분 Isogenic type이 가장 낮았으며 종실의 크기가 작은 것이 큰 것에 비해 높았다. 4. 보리밥의 Mixogram pattern은 전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정형 전분이 가장 많이 으깨어졌다. 5. 제분 특성은 메성이면서 부정형인 Isogenic type이 좋았고 찰성의 Shrunken endosperm Isogenic type은 대단히 불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