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인의 영어 발음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yllabus Design for Teaching Pronunciation in Korean EFL Classroom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지도안 개발)

  • Park Jookyung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42-148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영어교육을 하기 위하여 특별히 한국인들이 영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보다 정확한 영어발음을 낼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지도안을 작성해 보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인을 위한 영어발음교육의 특성과 제문제를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발음지도를 위해 구체적인 발음지도 목표와 그 목표에 맞는 발음지도 법을 알아보았다. 발음지도 목표로는 우선,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발음을 갖추도록 하며, 이를 위해 (1)영어자,모음 식별 청취 및 발음, (2)올바른 강세와 억양 식별 및 구사, (3)연음 및 기타 주요 발음 현상 식별 및 구사 등을 지도하되, (1)보다 (2)와 (3)을 보다 집중적으로 지도 할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지도법과 학습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교육한 내용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였고, 보다 실용적인 발음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한 교사교육과 작성된 발음지도안의 활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영어발음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

  • 박주경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256-256
    • /
    • 1997
  • 1. 초등학교 영어지도교사 연수프로그램 현황 1) 교육과정 2) 교육방법 3) 교사들의 인지도 및 배경지식 수준 4 4) 교사들의 요구 2.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역할 1)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활 2) 영어원어민 교사의 역할 3. 영어지도교사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1) 영어교육의 목표 2) 발음지도상 주요내용 3) 발음지도법 4) 교사자신의 발음교정 및 향상을 위한 내용 4.제안 및 결론 1) 한국인 아동특유의 영어발음상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할 것. 2) 과적인 발음교수법 개발 3) 적절한 교재 및 교수자료 개발 4) 실용적인 교사교육을 통한 우수 교사 양성

  • PDF

/l/ and /r/ production by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of English : What factors are influential for the production\ulcorner (한국인과 일본인의 /l/과 /r/ 발음: 발음에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가\ulcorner)

  • Park See-Gyoon
    • MALSORI
    • /
    • no.37
    • /
    • pp.87-118
    • /
    • 1999
  • 본 논문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영어 유음 /l/과 /r/을 발음하는데 있어서 어떤 요소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Park & Ingram (1995)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발음인지(perception) 실험을 통해 동 문제에 대해 분석을 해보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같은 주제를 발음 실험을 통해 그 해답을 찾고 있다. 실험의 결과는 언어 의존적인 요소인 모국어 음운 체계의 영향뿐만 아니라 언어 독립적인 요소인 화자(speaker), 유음이 나타나는 위치(position), 유음의 유형(type) 그리고 영어 유음을 발음하는 각 개인 등의 요소들이 모두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유음 /l/과 /r/ 발음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인지 실험에서도 드러난 바로 인지와 발음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기제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A Survey or The Korean Learner's Problems in Mastering English Pronunciation (한국인의 영어 발음 학습상 문제점 개관)

  • Youe Hansa MahnGunn
    • MALSORI
    • /
    • no.42
    • /
    • pp.47-56
    • /
    • 2001
  • 이 글은 제2회 서울 국제 음성학 학술대회(SICOPS 2000) 기조강연 내용을 조금 손질한 것인데,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저지르기 쉬운 발음상 잘못을 모음, 자음별로 관찰하고 그 대책을 논의한다. 모음에서는 주로 i:l, u:$-\sigma$, (equation omitted) 흔동이 문제이며, 또한 90종이 넘는 여러 철자로 나타나는 쭉정모음(schwa) 식별과 정복한 발음도 큰 문제다. 자음에서는 음소 연결방식에서 생기는 자음접변 둥 한 국어 특유 현상을 영어에까지 연장하는 바람에 많은 오류가 생긴다는 것과 영어 sp-, st-, sk-에서 /p t k/는 연한소리(lenis)로 [(equation omitted)]인데, 된소리로 잘못알고 있는 수가 많다는 것도 지적된다. 무룻 영어학습자는 철자만 보고 발음을 속단하지 말고 단어마다 반드시 발음을 사전에서 확인할 것과 아울러 거기에 음성학적 훈련이 수반되어야 함을 역설하며, 정확한 발음을 아는 것은 실제 영어 청취i구사에 뿐 아니라 또한 언어연구 기초확립에 필수적이라는 말로 글을 맺는다.

  • PDF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Consonant Clusters by Koreans (한국인의 영어 자음군 발음)

  • Lee Ho-Young
    • MALSORI
    • /
    • no.40
    • /
    • pp.79-89
    • /
    • 2000
  • 한국어와 영어는 서로 다른 음소 배열 제약과 음운 규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어 학습자들은 특정 영어 자음군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어 학습자들이 어떤 영어 자음군을 배우기 어려워 하고 왜 이러한 어려움이 생겨나는지 한국어와 영어의 음소 배열 제약과 음운 규칙을 비교해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Influence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따른 영어 모음 발음의 영향에 대한 연구)

  • Jang, Soo-Yeo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4
    • /
    • pp.1-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nhance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students by examining the impact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articulation of English vowels.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Seven Korean words and ten English mono-syllabic words were uttered by adult, male speakers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particular, speakers with little to no experience living abroad were selected. Formant frequencies of the recorded corpus data were measured using spectrograms, provided by the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rticulatory graph for formants. The results show that in comparison with speakers using standard Korean, those using the Gyeongsang regional dialect articulated both Korean and English vowels in the back. Moreover, the contrast between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s (/으/, /어/) affected how the corresponding English vowels (/ə/, /ʊ/) were articulated. Regardless of the use of regional dialect, a general feature of vowel pronunciation among Korean people is that they show more narrow articulatory movements, compared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Korean people generally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discriminating tense and lax vowels, whereas native English speakers have clear distinctions in vowel articulation.

A Study on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liquids by Korean native speakers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영어유음 발성과 인지 연구)

  • 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13-316
    • /
    • 2000
  • 원어민이 발성한 영어유음 시료를 사용하여 한국인 영문과와 타학과(비 영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실험을 하였고, 시료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어민을 또 하나의 피험자 그룹으로 선택하였다. 영문과 피험자의 영어유음 인지결과를 살펴보면 어두$(70\%)$ < 어말$(75\%)$ < 어중$(80\%)$ glt; 연속음$(86\%)$의 순서로 인지율이 높아졌다. 타학과 피험자의 영어유음 인지에서는 어두$(59\%)$< 어말$(66\%)$ glt; 어중$(70\%)$ < 연속음$(72\%)$의 순서로 인지율의 증가를 보였다. 원어민의 영어유음 인지에서는 녹음에 참가하지 않은 다른 원어민을 대상으로 해서 총 평균 $99.6\%$로 거의 완벽한 인지율을 보였다. 그 만금 녹음된 시료가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피험자별 그룹에 대한 결과 비교에서는 원어민이 녹음한 발음으로 인지실험을 할 때 타학과$(66.8\%)$ < 영문과$(77.4\%)$< 원어민$(99.6\%)$의 순서로 점차 좋은 인지율을 보였다. 한국인이 발성한 영어유음에 대한 원어민의 인지실험에서는 한국인 영어유음 발음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인 발성시료에 대한 원어민의 총인지율은 $68\%$로 원어민의 발성시료에 대한 인지율 $99.6\%$와 비교해볼 때 영문과 녹음자들의 발음 정확도가 높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평균/1/ $(79\%)$과 평균/r/$(58\%)$의 인지율을 보게 되면 한국인의 영어유음 발성에 있어서 /r/의 발성이 /1/의 경우보다 문제가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험결과는 어두/1/$(87\%)$과 어두/r/$(43\%)$에서 뚜렷한 인지율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lish Vowel Lengths Using the Praat Software Program (Praat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어모음 길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Hee-Su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3
    • /
    • pp.279-29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vowel lengths of the English diphthongs, /eɪ/ and /aɪ/, and the front low vowel /æ/ among English-speaking natives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the Praat software program. To do this English sentences were uttered and recorded by twelve subjects, six Korean subjects and six English-speaking native subjects. All the subjects are female and their age ranges from 23 to 35. Acoustic features(duration) were measured from a sound spectrogram with the help of the Praat software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vowel lengths of the English diphthongs and the front low vowel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collegians were different. In the pronunciation of the diphthongs /eɪ/ and /aɪ/, Korean subjects pronounced longer than native subjects di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front low vowel /æ/, native subjects pronounced significantly longer than Korean subjects did. From the data of the overall sum of words and vowel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 differences of lengths of both the three words and the two diphthongs /eɪ/ and /aɪ/ were not significant, but those of /æ/ were significant.

A Study on the English Pronunciation for English-related Industry (교육산업 활성화를 위한 영어발음 연구)

  • Park, Hee-Su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37-42
    • /
    • 2018
  •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lengths of the five words, vowels,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vowels to that of words among the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the English native speaker. English sentences were read and recorded by Korean subjects to do this experiment. The vowel lengths were measured from a sound spectrogram, the Praat software program,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 could easily tell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they were significant. In the English front low vowel /${\ae}$/, I was able to find out that native subjects pronounced differently from Korean subject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diphthong /ai/, native subjects pronounced significantly shorter than Korean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