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모음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Korean Vowels and Japanese Vowels by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에 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포먼트값 대조 분석)

  • 이재강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03.2-408
    • /
    • 1998
  • 한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모음 포먼트값 차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어 [이]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가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어 [에, 애, 오] 모음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론되었다. 후설 모음 [오, 우, 으]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 위치는 보다 후설성으로, 한국어 [어]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하여 혀 위치가 전설성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일본어 모음 포먼트값 차이 비교 연구에서, 일본어 [이]를 제외한 모든 모음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는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어, [오, 우]에서 혀 위치에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보다 후설성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추론 가능했다.

  • PDF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the Phoneme (음소를 이용한 한국어의 인식)

  • 김영일;차일환;조문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35-45
    • /
    • 1984
  • 본 연구는 한국어의 발음상의 특징과 구조에 의해서 한국어를 음소별로 분리할 수 있음에 착안 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한국어 단음을 자음의 음소와 모음의 음소로 각각 분리하여 인식하는 새 로운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특정 화자 2명에 대하여 한국어 단음 84자를 모음의 음소와 자음의 음소로 각각 분리하여 인삭한 실험결과 모음을 인식한 경우에는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면 인식률이 95.2%이 고, 편자기 상관계수로 92.5%, 폴만트로 97.6%의 인식률을 얻었고, 자음을 인식한 경우에는 선형 예측 계수로 88.7%, 편자기 상관계수로 92.9%의 인식률을 얻었다. 또, 자음의 음소와 모음의 음소를 결합시킨 단음을 인식한 경우에는 선형 예측 계수로 83.9%, 편자기 상관계수로 86.3%의 인식률을 얻었다. 이 때, 각 음소들의 데이터의 수는 256개이고, 선형 예측 계수와 편자기 상관 계수와의 예측차는 15차이다. 이 와 같이 한국어를 자음의 음소와 모음의 음소로 분리하면 작은 데이터 양으로 처리 시간을 단축 시켜 한국어의 모든 단음, 단어, 연속음, 문장 등을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각 음소들을 원칙적으로 결합시켜 모든 한국어의 합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vowels by Egyptian learners (이집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

  • Benjamin, Sarah;Lee, Ho-Yo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4
    • /
    • pp.23-3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Egyptian learners of Korean perceive and categorize Korean vowels, how Koreans perceive Korean vowels they pronounce, and how Egyptian learners' Korean vowel categorization affects their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vowels. In Experiment 1, 53 Egyptian learners were asked to listen to Korean test words pronounced by Koreans and choose the words they had listened to among 4 confusable words. In Experiment 2, 117 sound files (13 test words×9 Egyptian learners) recorded by Egyptian learners were given to Koreans and asked to select the words they had heard among 4 confusable word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new" Korean vowels that do not have categorizable ones in Egyptian Arabic easily formed new categories and were therefore well identified in perception and relatively well pronounced, but some of them were poorly produced. However, Egyptian learners poorly distinguished "similar" Korean vowels in perception, but their pronunciation was relatively well identified by native Kore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gued that the Speech Learning Model (SLM) and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 explain the L2 speech perception well,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explain L2 speech production and therefore need to be revised and extended to L2 speech production.

Effects of Speaking Rate on Korean Vowels (발화속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향적 특성)

  • 이숙향;고현주;한양구;김종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14-22
    • /
    • 2003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owels through a production test under three conditions of speaking rates (slow, normal, fast). The effects of a change in speaking .ate on vowel duration were found to be very strong. The faster speaking rate was, the shorter the total duration of vowels was. But the duration ratio of two components of diphthong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hanges in speaking rate. But unlike the temporal aspects, the formant value of vowels at their steady-state and change ratio of formant of semivowels were not affected strongly by the change in speaking rate.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By Korean Learners: Comparisons between New and Similar L2 Vowel Categories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모음 인지: 새로운 L2 모음 범주와 비슷한 L2 모음 범주의 비교)

  • Lee, Kye-Youn;Cho, Mi-Hu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8
    • /
    • pp.579-58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English vowels and further to test SLM which claims that new L2 vowel categories are more easily acquired than similar L2 vowel categories. Twenty Korean learners participated in English-to-Korean mapping test and English vowel identification test with target vowels /i, ɪ, u, ʊ, ɛ, æ/. The result revealed that Korean participants mapped the English pairs /i/-/ɪ/ and /u/-/ʊ/ onto single Korean vowel /i/ and /u/,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of English /ɛ/ and /æ/ were simultaneously mapped onto Korean /e/ and /ɛ/. This indicated that the Korean participants seemed to have perceptual difficulty for the pairs /i-ɪ/, /u-ʊ/, and /ɛ-æ/. The result of the forced-choice identification test showed that the accuracy of /ɪ, ʊ, æ/(ɪ: 81.3%, ʊ: 62.5%, æ: 6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 u, ɛ/(i: 28,8%, u: 28.8%, ɛ: 32.4%). Thus, the claim of SLM is confirmed given that /ɪ, ʊ, æ/ are new vowel categories whereas /i, u, ɛ/ are similar vowel categories. Further, the conspicuously low accuracy of the similar L2 vowel categories /i, u, ɛ/ was accounted for by over-generalization whereby the Korean participants excessively replaced L2 similar /i, u, ɛ/ with L2 new /ɪ, ʊ, æ/ as the participants were learning the L2 new vowel categories in the process of acquisi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edagog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한국어의 모음음가

  • 이현복
    • MALSORI
    • /
    • no.1
    • /
    • pp.56-70
    • /
    • 1980
  • 이 글은 현대 한국어의 모음 음가를 음성학적으로 기술한다. 여기서 한국어란 서울 지역을 근거로 하는 표준말을 뜻한다. 한국어 모음의 소리값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일부 방언 및 외국어의 음가와 비교 설명하는 일이 있으므로 이들 방언이나 외국어와 한국 표준말의 소리 차이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의 본문은 "음성 반풀어 쓰기"로 적는다. "반풀어 쓰기"란 받침을 아래에 두지 않고 오른쪽 옆으로 적는 것을 말하며 "음성"이란 맞춤법을 따르지 않고 한글 글자를 음성기호로 활용하여 소리나는 대로 적는 법을 뜻한다. 그러므로 각 모음 기호마다 올바른 소리값을 주면서 음성 반풀어 쓰기로 적은 본문을 읽는다면 틀림없이 한국 표준 발음을 하게 될 것이다. 본문에서 긴소리는 같은 글자를 두 번 겹쳐서 나타냈다.

  • PDF

A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POLISH AND KOREAN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음성$\cdot$음운 대조)

  • KIM JI YO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55-360
    • /
    • 1999
  • 이 연구는 폴란드어의 음성. 음운 체계를 조음 음성학에 기초를 두어 살펴보고, 한국어의 음성. 음운과 대조한다 모음은 한국어가 많고, 자음은 폴란드어가 더 많다. 한국인이 구별하기 힘든 모음 /i/와 /y/의 차이점과 슬라브어에서 유일하게 폴란드어에만 있는 비모음을 알아보고, 한국어에 없는 자음 $/\'{3}/$와, 중설연구개음 $/\'{k},\;\'{g},\;\'{s},\;\'{z},\;\'{c},\;\'{3},\;\'{n}/$과 기본적으로 자음에서 일어나는 음운 규칙들을 살펴본다. 모음 변화는 형태론과 연관지어 살펴보아야 하므로 여기에서는 제외한다.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음성. 음운 대조는 첫째, 모음과 자음 분절음의 대조, 둘째, 음운 현상의 대조, 셋째, 음절구조상의 대조로 분류하고, 분절음의 대조에 초점을 두고 조음표상에 대조를 이음과 함께 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Korean Grapheme Phonetic Value Classification (한국어 자소 음가 분류에 관한 연구)

  • Yu Seung-Duk;Kim Hack-Jin;Kim Soon-Hyo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89-9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음성인식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자소(grapheme)가 지니는 음가를 분류하였다. 한국어 자소를 음성-음운학적으로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그 음가 분석에 관한 연구와 함께 한국어 음성인식에서 앞으로 많이 논의될 청음음성학(auditory phonetics)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어는 발음상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음소 분리가 가능하여 초성, 중성, 종성 자소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초성은 자음음소 18개, 중성은 모음 음소(단모음, 이중모음) 17개, 그리고 'ㅅ' 추가 8종성체계의 자음음소로 하였다. 청음음성학적 PLU(Phoneme Like Unit)의 구분 근거는 우리가 맞춤법 표기에서 주로 많이 틀리는 자소(특히, 모음)는 그 음가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을 하였으며, 그 유사음소를 기반으로 작성한 PLU는 자음에 'ㅅ' 종성을 추가하였고, 모음에 (ㅔ, ㅐ)를 하나로, (ㅒ, ㅖ)를 하나로, 그리고 모음(ㅚ, ㅙ, ㅞ)를 하나의 자소로 분류하였다. 혀의 위치와 조음 방법과 위치에 따라 분류한 자음과 모음의 자소를 HTK를 이용하여 HMM(Hidden Markov Model)의 자소 Clustering하여 그것의 음가를 찾는 결정트리를 검색하여 고립어인식과 핵심어 검출 시스템에 적용 실험한 결과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Data Collection (KTSET) for Korean Information Retrieval Studies (한국어 정보검색연구를 위한 시험용 데이터 모음 (KTSET) 개발)

  • Kim, Jai-Gun;Kim, Young-Whan;Kim, Sung-Hy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378-385
    • /
    • 1994
  • 정보검색분야의 여러 기술들을 연구하고 이 결과들을 실험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든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험용 데이터 모음(Test Data Collection)이 필요하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각 분야별 시험용 데이터 모음들을 준비하여 검색시스팀의 개발 및 객관적인 성능평가에 이용하여 왔는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시험용 데이터 모음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정보검색 기술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한국어정보검색 기술 연구결과의 성능평가에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시험용 데이터 모음인 KTSET을 개발하였다. KTSET은 정보과학회와 정보관리학회지의 논문지 및 학술대회 논문집으로부터 추출된 1,053개의 논문과 이를 검색대상으로 한 50개의 자연어질의어로 구성되었으며 대상문서들과 질의어 각각에 대한 색인결과와 질의어와 대상문서들간의 적합도 정보를 제공한다.

  • PDF

Influence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따른 영어 모음 발음의 영향에 대한 연구)

  • Jang, Soo-Yeo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4
    • /
    • pp.1-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nhance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students by examining the impact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articulation of English vowels.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Seven Korean words and ten English mono-syllabic words were uttered by adult, male speakers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particular, speakers with little to no experience living abroad were selected. Formant frequencies of the recorded corpus data were measured using spectrograms, provided by the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rticulatory graph for formants. The results show that in comparison with speakers using standard Korean, those using the Gyeongsang regional dialect articulated both Korean and English vowels in the back. Moreover, the contrast between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s (/으/, /어/) affected how the corresponding English vowels (/ə/, /ʊ/) were articulated. Regardless of the use of regional dialect, a general feature of vowel pronunciation among Korean people is that they show more narrow articulatory movements, compared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Korean people generally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discriminating tense and lax vowels, whereas native English speakers have clear distinctions in vowel arti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