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어버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을 위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 개발 (A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for Construction of Semantically Tagged Korean Corpus)

  • 조정현;정현기;김유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1호
    • /
    • pp.43-52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의 각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분야로써 어휘 중의성 해소와 더불어 자연언어처리에서의 의미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에는 의미 역 결정에 필요한 언어 자원이 구축되지 못하여 연구의 진행이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 역 결정에 필요한 언어 자원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PropBank의 한국어 버전의 구축을 위한 시작 단계로써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를 개발하였다.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는 크게 의미 어휘 사전과 자동 술어-논항 추출기로 구성된다. 의미 어휘 사전은 한국어 동사의 격틀 정보를 구축한 사전이며 자동 술어-논항 추출기는 구문 표지 부착된 말뭉치로부터 특정 술어와 관련있는 논항의 의미 부류를 결정하는 모듈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는 향후 한국어 PropBank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의미 역 결정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한글 Common Lisp에서 한글 함수 기능

  • 이창열;오승준;임영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0년도 제2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2-179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한글(한국어) ascii 코드와 4가지 한글 표현 원리에 만들어지는 한글음절을 정의한다. Common Lisp(CL)의 확장된 버전으로 한글이 사용 가능한 한글 CL(HCL)의 소개하고 CL에 추가되는 새로운 한글 함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HCL의 모든 함수는 한글을 다루는 방법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1) 타입 0 - 한글을 입출력 값으로 취하지 않는 전형적인 CL 함수, 2) 타입 1 - 원래 CL 함수정의의 변경없이 입력으로 한글을 받아들이는 함수, 3) 타입 2 - 한글을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의 정의를 확장해야하는 CL 함수, 4) 타입 3 - 한글 처리를 하기 위하여 새로 설계한 새로운 함수. 위의 타입에 의해 분류되는 각 함수에 대한 정의를 제안하고 한글 편집기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한국어 수분류사 어휘의미망 KorLexClas 1.5 (KorLexClas 1.5: A Lexical Semantic Network for Korean Numeral Classifiers)

  • 황순희;권혁철;윤애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호
    • /
    • pp.60-7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수분류사 체계를 설정하고, 수분류사와 공기명사 간 의미관계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어 수분류사 어휘의미망 "KorLexClas 1.5"의 정보구조와 구축방식을 소개하는 데 있다. KorLex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영어 워드넷(Princeton WordNet)을 기반으로 참고구축 방식으로 개발된 것에 비해, KorLexClas 1.0버전과 이를 확장한 1.5버전은 직접구축 방식으로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수분류사의 계층구조와 언어단위 간 의미관계 설정은 매우 방대한 시간과 정교한 구축 방식을 요구한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기함과 동시에, 구축된 어휘의미망의 신뢰성 및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1) 다양한 기구축 언어자원을 활용하되 상호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고, (2) 부분문장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수분류사 및 공기명사 목록을 확장하며, (3) 언어학적 준거를 기준으로 수분류사의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4) 수분류사와 공기명사 간 의미관계 정보를 제공하되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KorLexNoun 1.5에 '최하위 공통상 위노드(LUB : Least Upper Bound)'를 설정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KorLexClas 1.5는 기계번역을 비롯한 한국어정보처리의 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남성 간경변 환자의 성기능, 수면의 질,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xual Functi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Male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 김도희;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1-320
    • /
    • 2019
  • 본 연구는 남성 간경변 환자의 성기능, 수면의 질, 우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간경변을 진단 받고 외래 추적 관찰 중인 환자 144명으로,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8월 16일부터 2018년 1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성기능은 Rosen 등이 개발한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의 한국어 번안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면의 질은 Buysse 등이 피츠버그 수면센터에서 개발한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의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은 Beck Depression Inventory-I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어판 BDI-II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 간경변 환자들의 성기능이 낮을수록 수면의 질이 낮고(r=-.232, p=.005) 우울 점수가 높았으며(r=-.381, p<.001),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r=.561, p<.001)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성기능, 수면의 질,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간경변 환자를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MARC의 이해:서지용을 중심으로

  • 오동근
    • 도서관문화
    • /
    • 제42권2호통권327호
    • /
    • pp.4-20
    • /
    • 2001
  • 이 글은 미국의회도서관에서 발행한 Understanding MARC Bibliographic: Machine-Readable Cataloging의 온라인 버전 최신판(제5판)을 미국의회도서관의 공식적인 번역 허락을 얻어 그 제1편을 한국어로 완역한 것이다. 이 글은 원래 Betty Furrie가 The Follett Software Company의 Data Base Development Department와의 협력으로 작성한 것이다. 제5판은 미국의회도서관의 Network Development and MARC Standards Office의 검토와 편집을 거쳐, The Follett Software Company의 협력으로, Cataloging Distribution Service에 의해 발행되었다. LCMARC과 USMARC을 거쳐, 새로이 태어난 MARC 21의 최신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있어, MARC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MARC에 관련된 업무는 물론 일반 편목 업무의 적지 않은 관례들이 왜곡되어 있는 측면이 없지 않은 한국 도서관계의 현실에서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는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움직이는 데이터 그림 (Moving Data Pictures)

  • 허명회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6호
    • /
    • pp.999-1007
    • /
    • 2013
  • 이 연구는 다음 몇 가지 경우에 적용 가능한 '움직이는 데이터 그림(moving data pictures)'을 제안 한다: 1) 한국어 텍스트의 단어 구름(word cloud), 2) n ${\times}$ p 행렬의 시각화(matrix visualization), 3) p ${\times}$ p 산점도 행렬의 동영상 버전, 4) k개 개체 군집의 동적 시각화 등. 이들 기법은 데이터에 내재된 숨은 정보와 시각적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정보 소비자들의 흥미를 점화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한글쓰기 교육용 앱 개발 (App. Development to support Learning Korean-Writing for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주현;남기원;김건영;배준우;김성석;장영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91-192
    • /
    • 2018
  • 최근 우리 사회에도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만약 부모가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다면, 그 자녀들도 유아기 한글 학습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을 반영한 한글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초기 단계의 연구 결과물을 담고 있다. 즉, 학습 콘텐츠 개발자-서버 관리자-학습자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지금까지 개발된 한글쓰기 교육용 앱의 초기 버전을 개발 완료하였다.

학습 및 게임 기능을 갖는 자소모아한글단어맞추기(자모한) 안드로이드 앱 개발 (An Android App Development for JAMOHAN with Learning and Game Facilities)

  • 김가영;이효은;김혜수;양창근;강현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1-194
    • /
    • 2012
  • 본 논문은 뜻풀이를 통해 한글단어를 맞추는 앱 어플리케이션인 자모한(자소 모아 한글단어 맞추기)의 구현에 대하여 논한다. 학습 형태의 게임방식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한글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앱 어플리케이션이다. 자모한은 3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는 '한글'로, 평소 뜻을 제대로 알고 쓰지 못했던 단어나 잊혀져 가는 순수 우리말과 같은 한글단어의 뜻을 학습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자소'로 한글에서 하나하나의 자소가 모여 단어가 됨을 보여주며 각 단어의 자소 구성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세 번째는 '획수'이다. 게임에서 간접적으로 자소의 획수를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교육적 측면으로서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자모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중심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파일의 구조와 입력 정보를 변경하여 여러 버전(햇갈리기 쉬운 단어, 순수우리말, 사자성어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산업 및 기술적 측면의 모습도 볼 수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버전 학생 프리젠티즘 측정도구(K-PSS)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resenteeism Scale for Students (K-PSS) in Nursing Students)

  • 김진희;전재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1-28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Presenteeism Scale for Students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20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ttending nursing departments at three univers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from June 1 to August 31, 2017. Results: The Cronbach's α of K-PSS was .70 indicating high reliability. As a result of testing the content validity of K-PS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Item level-Content Validity Index (I-CVI) of .87. The correlation between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score and Work Impairment Score (WIS), Work Output Score (WOS), Hours of absenteeism (HA) was analyz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K-PSS. SF-36 score was correlated with WIS, WOS, HA. To test the differentiated validity of K-PSS, a total of 38 subjects were assessed by the paired t-test. As a result, only WIS sc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 Si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PS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have been verifie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esenteeism of students.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한 당뇨 자가 관리 측정도구(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SDSCA) 한국어 버전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장선주;송미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4
    • /
    • 2009
  • Purpo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SDSCA) for Korea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were perfor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DSCA. Then the Korean version SDSCA was applied to a sample of 112 older adults who had participated in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ion in Seoul.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examined to test th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measured with Cronbach's alpha was .77 and the total test-retest reliability was .68 with items ranging from .21 to 1.00.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foot care, diet, exercise, blood sugar test, medication, and smoking- were revealed as the original instrument subcategories. These six factors explained 81.17% of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SDSCA Questionnaire was supported for use in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