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숲모기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squito population density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areas and old city and new city)

  •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62-373
    • /
    • 2021
  •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2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2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2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비티플러스 살충제의 모기 방제 효과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Mosquito Control Efficacy of a BtPlus Insecticide and Its Safety Assessment to Aquatic Environment)

  • 박영진;유성민;권보원;박찬;김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8
    • /
    • 2016
  • 비티플러스는 Bacillus thurigiensis와 면역억제가 혼합된 생물농약의 총칭이다. 본 연구는 모기류에 살충력이 높은 새로운 비티플러스 생물농약에 대해서 야외포장 조건에서 약효와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관해 수행되었다. 모기 유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를 위해 두 가지 살포 처리에 따라 비티플러스의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티플러스의 공중살포 ($3.3m^2$ 당 100 mL)에 따른 수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서는 최소 50%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가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논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의 간이모형 조건에서 비티플러스를 수중살포한 경우 모기유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방제효과는 0.1%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나타냈고, 0.2% 처리에서는 완전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충에 비해서는 다소 낮지만 10% 설탕물에 포함된 0.1%의 비티플러스는 성충에 대해서도 4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서는 잉어 (Cyprinus carpio), 큰물벼룩(Daphnia magna), 꿀벌(Apis mellifera)을 대상으로 비티플러스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급성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생태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방제에 비티플러스의 수중살포 처리가 유효한 방제 처리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모기유충에 활성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Isolate against Mosquito Larva)

  • 길미라;김다아;백승경;김진수;최수연;김대용;윤영남;황인천;;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57-465
    • /
    • 2008
  • 본 연구는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에서 생산된 내독소결정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는 위상차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일반적으로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spherical type의 내독소결정 성단백질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서식하는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이집트숲모기(Aedes aegyti)에 대한 이 균주의 살충활성검정은 각각 173, 190, 580 ng/ml의 $LC_{50}$ 값으로 각각 활성을 보였다.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에서 생산된 내독소결정성단백질의 SDS-PAGE를 통해 135, 80, 49와 28-kDa의 주요한 4개의 밴드를 나타냈다. 내독소결정성단백질의 소화에 영향을 미치는 곤충중장액과 유사한 trypsin효소를 처리하여 72와 63-kDa의 단백질이 새롭게 생성하였다. 파리목 위생해충인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다른 7개의 B. thuringiensis 균주들의 내독소 결정성단백질과 혈청학적인 비교실험에서 독소단백질이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숲모기 Aedes (Aedimorphus) alboscutellatus에 대한 분류학적 기술 (Description of Aedes (Aedimorphus) alboscutellatus occuring in Korea)

  • 이관우;알렌 엔 헌트;필립 이 후레이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111-117
    • /
    • 1983
  • 1979∼1980연 칠월초에 서부 비무장지대 (DMZ)에서 모기 유충채집을 실시한 바 Aedes alboscutellatus의 유충을 제집하여 사육한 결과 성충(♀,♂), 완전유충, 유충 및 편의 탈피각등 분류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이 종은 Reisen등(1971)에 의하여 한국에서 처음 성충(♀)채집을 기록하였으나 이를 확증할 만한 표본이나 분류학적인 기재가 없어 분류상의 오독으로 간주되어 왔었다. 저자등은 본 채집을 통하여 분류상 필요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기에 성충(♀, ♂), 유충, 항, 자충생식기등의 특징을 Reinert(1973)의 기재와 상세히 비교 검토한 결과 웅충에서 gonostylar claw와 basal mesal lobe에 있는 강모의 수가 다르고 자웅충에서는 subspiracular area에 횐 비늘들이 모여있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들 차이점을 여기에서는 단지 지리적 변화로 간주하였으므로 더 많은 수의 채집을 통하여 보다 확실한 구각이 요구된다 이 표본의 장기보관을 위하여 암수 각 한개섹의 표본과 그에 수반되는 유충 및 편의 탈피곡 표본을 미국 Smithonian연구소에 보냈으며 나머지는 미 8군 예방의무부 곤충연구실에 보관되어 있다.

  • PDF

흰줄숲모기에 대한 기피제의 지속성 평가 (Persistence Evaluation of Mosquito Repellents against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 강신호;장선아;한종빈;서동규;송치훈;김민기;김영림;최선희;김인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1-336
    • /
    • 2005
  • 본 연구는 장기간 지속효과가 강조된 미국 T사의 C제품(에어로졸)과 D제품(로션) 대비 국내5사의 A 제품(에어로졸)과 B 제품(액제)에 대하여, 사람 손에 처리 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의 기피지속성에 대한 생물검정을 평가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기피 주성분인 DEET의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기피제 처리 후 8시간 조사에서 A제품은 8시간까지 95%의 기피효과를 나타냈으며, B제품, C 제품, D 제품은 각각 5, 6, 6시간까지 기피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면포를 이용한 16일까지의 장기간 지속성 평가에서, A 제품과 C 제품은 각각 10일까지 100%의 기피 지속성을 나타냈고, 시간 경과에 따른 기피 주성분인 DEET의 잔존량 분석에서도 동일한 양상으로 감소하였다.

토고숲 모기 (Aedes togoi)의 난황립 및 난황막 형성에 따른 미세구조적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Formation of Yolk Granules and Vitelline Envelope in Aedes togoi)

  • 이양림;설태민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1호
    • /
    • pp.114-122
    • /
    • 1994
  • Drastic changes were observed in egg chamber during oogenesis of Aedes togoi immediately after blood meal. The egg chamber, in which the oocyte remains at previtellogenic stage before blood meal, shows very little change in size even for 3 days after emergence but increased 25 folds in volume within 60 hours after blood meal, presumably due to rapid yolk formation. Upto 6 hours after blood meal structures considered to be the precursor of the yolk granules were not observed in the space between follicle cells and oocyte. Vitelline bodies, which are similar to dense bodies secreted from follicle cells, appeared in the space at 10 hours after blood meal. Although vitelline bodies were fused to form vitelline layer, these bodies seem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yolk granules. Nurse cells are connected to oocytes by cytoplasmic bridge before blood meal, but the cells are absorbed into oocyte at 6 hours after blood meal.

  • PDF

친환경 살충제로서의 곤충 유충호르몬 길항제 (Insect Juvenile Hormone Antagonists as Eco-friendly Insecticides)

  • 최재영;제연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01-108
    • /
    • 2022
  • 곤충생장조절제(IGR)은 대상 해충에 대한 특이성이 높고 환경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으로 유기합성 살충제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현재 시판되는 곤충생장조절제는 작용 기작에 따라 유충호르몬 작용제(JHA), 탈피호르몬 작용제(EA) 및 키틴 합성 저해제(CSI)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최근 들어, 이집트숲모기의 Met과 FISC/CYC 유전자를 yeast two-hybrid system에 도입하여 유충호르몬에 의해 매개되는 Met과 FISC/CYC의 결합을 in vitro에서 구현하였으며, yeast two-hybrid β-galactosidase assay를 통하여 식물과 미생물 및 화합물 library로부터 다양한 유충호르몬 길항제(JHAN)가 분리되고 있다. 유충호르몬은 곤충의 발달, 생식, 휴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 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유충호르몬 길항제는 대상 해충의 내분비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비정상적인 발달 및 유충 단계에서의 치사를 초래하며, 이는 유충호르몬 길항제가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진 살충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충호르몬 길항제의 작용점인 Met에 의해 매개되는 유충호르몬의 신호 전달 체계와 친환경 살충제로서의 유충호르몬 길항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