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숲모기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피제의 효과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Mosquito Repellents against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 강신호;장선아;한종빈;서동규;송치훈;김민기;김영림;최선희;김인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49
    • /
    • 2005
  •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서식환경에 따른 모기 분포조사(2016-2018) (Seasonal Distribution of Mosquitoe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2016-2018))

  • 박근호;김성일;조성우;조선란;이승주;김현경;구현나;이욱교;조신형;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1-392
    • /
    • 2018
  • 3년간(2016-2018년)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발생분포를 채집지 3곳(주거지와 철새도래지, 축사)에서 2종의 트랩(BL트랩과 BG트랩)을 이용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주거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모기 종은 빨간집모기였으며, 철새도래지와 축사에서는 금빛숲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철새도래지와 주거지에서는 BG트랩이 BL트랩보다 모기가 더 많이 채집되었으나 축사에서는 BL트랩에서 더 많은 모기가 채집되었다.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 큰검정들모기는 BG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고 금빛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동양집모기는 비교적 BL트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모기를 분류 동정한 결과 2016년에는 10종 22,679개체가 채집되었고, 2017년에는 8종 6,502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49배 감소하였다. 2018년에는 6,803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33배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강수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상조건과 여러 변인들(채집지역과 모기종류, 트랩종류)에 의한 모기밀도와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특정 관련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채집된 모기의 병원체 감염을 확인한 결과, 2016년도 축사에서 채집한 금빛숲모기 2개 pool, 2018년에 축사에서 채집한 빨간집모기 1개의 pool에서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가 검출되어 각각 0.088와 0.147의 최소감염율(MIR)을 보였다. 2017년에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도시열섬 현상에 의한 기온차이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rban Heat Island-induced Temperature Differences on the Hatching Rates of Aedes albopictus)

  • 류지훈;최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77-80
    • /
    • 2024
  • 한국에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일반적으로 매우 흔한 종으로 여기지지만, 해외에서는 주요 질병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도심 지역의 기후변화와 열섬 현상에 따른 곤충의 대발생이 보고되면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모기의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내 25개의 기상청 자동관측장비(AWS)에서 수집된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열섬 현상이 강한 도심 지역과 열섬 현상이 약한 교외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의의 사이구간을 생성하여 총 9개의 열섬 조건에서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열섬 현상이 강할수록 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열섬 강도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추세가 더욱 빨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시열섬 현상에 따른 기온 변화가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물정보학기반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항원결정부위의 예측 (Prediction of Epitope for Chikungunya Virus based on Bioinformatics)

  • 이지후;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6
    • /
    • 2014
  • 치쿤구니아열은 치쿤구니아 바이러스(chikungu- nya virus)에 감염된 매개 모기(열대숲모기 및 흰줄숲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잠복기가 짧고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한 급성전염병이다. 아열대기후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에서도 흰줄숲모기가 자주 발견되기 때문에 이 질병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가 않다.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타깃 유전자 부위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정보학을 기반으로 이 바이러스 만을 검출할 수 있는 epitope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 바이러스의 capsid 유전자를 찾고 유사한 바이러스의 유전자들과 multiple alignment를 수행하여 이 바이러스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부위를 추출하였다. 이후 ProtScale Tool 프로그램으로 선택한 단백질의 친수성(hydrophilicity), 접근성(accessi- bility), 유연성(flexibility), 회전(${\beta}$-turns) 등의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부위를 선별하여 진단키트 제작을 위한 epitope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에 대한 비티플러스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BtPlus against two mosquitoes, Aedes koreicus and Culex vagans)

  • 김용균;사자디안 민우;샤비르 아메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1-54
    • /
    • 2020
  • 안동지역 농가 주변의 정수에서 두 종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들이 한국숲모기(Aedes koreicus)와 줄다리집모기(Culex vagans)로 각각 동정되었다. 또한, DNA 바코드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들 모기류 유충에 대해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tI)가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유사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에 비해 우수하였다. 한편 곤충의 면역억제를 유발하여 B. thuringiensis의 병원력을 높인다고 알려진 Xenorhabdus 세균류의 배양액을 BtI에 첨가하여 이들 모기류에 대한 살충력 증가 효과 유무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3 종류의 Xenorhabdus 세균배양액 가운데 X. ehlersii (Xe)의 배양액이 비교적 다른 세균배양액에 비해 두 종의 모기류에 대해서 BtI의 살충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Xe 세균배양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물의 생물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기의 혈구 활착행동을 뚜렷이 억제시키는 면역억제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BtI와 Xe의 두 세균을 혼합한 비티플러스 미생물제제가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의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자생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이 흰줄숲모기 및 바퀴에 대한 기피효과 (Repelle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native plants against Aedes albopictus and Blateria germanica)

  • 경석헌;윤영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20
    • /
    • 2000
  • 민들레(Teraxacum platycerpum leaf), 소나무(Pinus densiflora leaf), 쑥(Artemisia prinseps, leaf), 부추(Allium tuberosum leaf), 결명초(Cassia obtussifolia, whole plant), 고삼(Sophora angestifolia, root), 백부근(Stemonae sessilifolia, root), 인동(Lonicera japonica, stem, leaf, flower) 및 귤(Clivia miniata, left)등 9종의 자생식물(시료11종)의 메탄올 추출물이 흰줄숲모기와 바퀴에 대한 기피효과 실험을 실행하였다. 그결과 흰줄숲모기에 대해서는 소나무잎 민들레잎 부추 잎 및 인동꽃 등의 메탄올 추출물이 기피효과가 우수하였다. 한편 바퀴에 대한 이들의 기피효과에서는 인동잎이 좋았으나 일반적으로 흰줄숲모기에 비해 기피효과가 떨어졌다.

  • PDF

유문등 채집에 의한 모기 자충의 개체군 밀도와 분포(1981-1982)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dult Female Mosquitoes Collected Using New Jersey Light Traps in the Republic of Korea, 1981-1982)

  • A, Wildie-John;Yi, Song-Chu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5
    • /
    • 1984
  • 韓國內 9個道別 地域 가운데 5個道의 駐韓美軍事地域에서 39個의 誘蚊燈에 의하여 2,114 Trap night를 稼動하여 2년동안 채집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屬, 14種, 65,847마리의 암모기가 收集되었으며 금빛 숲모기, 중국 얼룩날개 모기, 빨간 집모기, 작은 빨간 집모기가 가장 넓게 분포되어 主種을 이루었다. 2. 작은 빨간 집모기가 수집된 전체 암모기의 55.4%를 차지하였으며 5개도 전역에 걸쳐 분포되었으나 90% 이상이 평택지역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7월부터 수집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나타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2년 채집된 모기수는 1981년 모기수의 5배에 達했다. 3. 중국 얼룩 날개 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28.2%를 나타냈고 5월부터 散發的으로 나타나서 7,8월에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1년과 1982년의 채집된 모기수는 큰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금빛 숲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8.8%를 나타냈고 5개도 전역에 걸쳐 발생하나 주로 지방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5월부터 나타나서 6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그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8월에 다시 조금 높은 발생을 나타내나 6월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 5. 빨간 집모기는 전체 암모기수의 5.3%를 차지하였고 5개도 전역에 여름에 걸쳐 고루 분포되었다. 6. Anopheles lesteri는 평택지역에서 네마리가 채집되었으나 이 종은 중국 얼룩 날개 모기와 형태학적인 區分이 어려워서 더욱 면밀한 考察이 필요되어지며 나머지 9종의 모기는 매우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7. 살충제와 모기 驅除法에 관하여 간락하게 논의되었다.

  • PDF

흰줄숲모기에 대한 5종 식물추출물의 기피효능 평가 (Repellent Activity of Five Different Plant Extracts Against Aedes albopictus)

  • 박성익;박정주;김단비;문나영;신지윤;차성경;김사라;김종식;손동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69-3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기기피 효과 실험을 진행하고 누드 쥐를 모델로 하여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피제의 유효용량 및 유효시간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휘발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용량은 개박하가 10, 50, 100, 200 ㎍/mL에서 72.9, 83.7, 86.4, 97.3%의 효율로 가장 높았다. 누드 쥐를 대상으로 한 유효시간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 중 개박하, 개다래 및 개똥쑥이 90.5%로, 30분까지만 지속하였다. 각 식물의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애플민트 28개 성분, 개다래 19개 성분, 개똥쑥 27개 성분, 개박하 26개 성분, 민들레 19개 성분이 확인 되었다. 특히 모기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 알려진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이 개박하의 휘발성분 중 한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27.95 mg/Kg).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휘발성분을 함유한 식물을 이용한 모기기피제 재료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Hydrophilidae, Coleoptera) 유충의 모기 2종(Culex pipiens molestus 및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실내조건에서의 섭식효율 및 선호도 (Predation Efficiency and Preference of the Hydrophilid Water Beetle Hydrochara affinis (Coleoptera: Hydrophilidae) Larvae on Two Mosquitos Culex pipiens molestus and Ochlerotatus togo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백학명;김동건;백민정;이차영;강효정;김명철;유재승;배연재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12-117
    • /
    • 2014
  •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유충의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와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포식효율과 먹이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포식실험에는 투명한 원통형 용기(지름 100 mm, 높이 40 mm, 수심 15 mm)가 사용되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16L : 8D)동안 진행되었다. 잔물땡땡이 개체당 모기 섭식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각 잔물땡땡이 유충에 대해 서로 다른 먹이조건(1, 2, 4, 8, 16, 32, 64 및 128개체)을 주었고, 각 조건별로 5회씩 반복실험 하였다. 모기유충 2종에 대한 먹이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잔물땡땡이 1령 유충에 지하집모기와 토고숲모기 유충 32개체씩을 동시에 투여하여 5회 반복실험 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기유충 2종에 대한 잔물땡땡이 유충의 포식곡선은 로그함수의 곡선으로 나타났으며,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기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식곡선으로부터 잔물땡땡이 3령 유충의 1일 최대 포식수를 산출한 결과, 지하집모기는 926개체를, 토고숲모기는 304개체를 포식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Holling's disk equation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간, 그리고 모기유충의 종간에 모기유충 포식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Attack rate보다는 Handling time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Handling time은 잔물땡땡이 유충이 성장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토고숲모기가 지하집모기에 비해 2배가량 길게 나타났다.

제주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Real Time RT-PCR을 이용한 Flavivirus 감염조사(2017) (Mosquito Distribution and Detection of Flavivirus Using Real Time RT-PCR in Jeju Island, 2017)

  • 이제욱;황규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77-183
    • /
    • 2018
  • 기후온난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환경적으로 다른 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시의 국제공항, 항만구역과 축사 그리고 서귀포 도심지의 11지점을 선정하여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2회씩 Black light trap과 BG sentinel trap을 이용하여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는 5속 7종. 6,042마리였으며, 이 중 빨간집모기(Culex pipiens)가 4,159마리(68.8%)로 우점종이었으며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1,348마리(24.4%)였다. Black light trap를 이용한 채집에서 중앙동주민센터는 트랩당 72.8마리를 채집하여 모기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국제공항은 트랩당 1.4마리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G sentinel trap을 이용한 채집에서는 항만에서 트랩당 71.7마리로 가장 많았고 도심지의 걸매생태공원에서 28.3마리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로 모기의 밀도는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1,156마리(19.1%)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암컷모기를 종별, 시기별, 지점별로 나누어 pool당 50마리 이하로 설정하여 총 364 pools에서 flavivirus 존재여부를 real time RT-PCR로 검사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