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산 무

Search Result 8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onformaldehyde-Nonphosphorus Durable Press Finishing of Cotton with Carbodiimide and Eutanetetracarboxylic Acid (카보다이이마이드와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을 이용한 면의 무포름알데히드-무인 방추 가공)

  • 신인수;홍경옥;김혜경;최형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7
    • /
    • pp.911-919
    • /
    • 1998
  • 부탄테트라카르복실 산을 이용한 면직물의 DP 가공에서 가장 효과적인 촉매로 알려진 sodium hypophosphite(SHP)를 대체하기 위하여 carbodiimide 촉매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Carbo야-imide 촉매로는 cyanamide(CY), dicyandiamide(DCY)와 disodium cyanamide(DSC)를 사용하였다. DCY와 DSC가 일반적으로 CY보다 좋은 방추도와 방축도 등을 보였고 또한 독성이 낮고 저장시 안정도 등이 우수하므로 산업적인 응용이 가능하다. 필요한 방추도와 물리적성질의 균형을 위해서 가공욕의 pH 조절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촉매존재시에 면과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의 에스터화 가교 반응 메커니즘을 제아하였다. 또한 황화 염료로 염색된 염색포에 대한 가공 효과 분석시 carbodiimide 촉매가 SHP 보다 대체로 작은 색상 변화를 유발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양화와 여러 염료의 색상 변화를 유발시키는 SHP를 사용하지 않고 부탄테트라카르복실 산과 carbodiimide 촉매를 이용한 무포름알데히드, 무인 가공제의 면직물 DP 가공의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th Pesticide Free Wild Grape (Vitis amurensis) Juice (무농약 산머루 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 Kang, Chang-Soo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3 no.2
    • /
    • pp.301-30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ld grape (Vitis amurensis) juice. The yanggeng was prepared with pesticide-free wild grape juice, agar, sugar and salt. The yanggeng was made with various levels (0, 50, 100, 150, 200 g of wild grape juice in yanggeng,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ater. It was estimated on Hunter's color value,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Yanggeng. As the content of wild grape juice increased, The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decreased and redness (a) increased. In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was increased; however,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wild grape juice.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Yanggeng containing the 150 g level of wild grape juic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in terms of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yanggeng containing 150 g of wild grape juice is the better.

키토산을 이용한 김치의 숙성 지연과 보존기간 연장에 관한 연구

  • 서정숙;방병호;정은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3.07a
    • /
    • pp.84-84
    • /
    • 2003
  • 고분자 키토산(분자량 약 800,000)을 농도별(0%, 0.1%, 0.2%, 0.3%)로 김치를 제조하여, pH, 적정산도, 총균수, 젖산균 수, 대장균군 수 및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키토산 무첨가 김치는 발효 후 6일경에 pH가 초기 5.4에서 4.1로 급격히 떨어졌으며 그 후부터는 천천히 떨어져 발효 후 약 15일 경과 후에는 3.9로 나타났다. 그러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김치에서는 초기 pH 5.38, 5.30 및 5.28에서 6일경에는 pH가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에서 4.23, 4.34 및 4.47로 각각 나타났다. 15일 경과 후에는 0.1% 고분자 키토산 김치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와 거의 같은 pH인 3.9로 나타났으나 0.2%와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pH는 3.90보다 높은 4.10, 4.10으로 각각 나타났다. 2. 각 김치 종류별 적정산도를 측정한 결과는 발효초기에 모든 구가 0.72%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 6일 경에서는 키토산 무첨가,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적정산도는 각각 2.16%, 2.00%, 1.70% 및 1.30%로 나타났다. 그리고 15일 경과 후에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의 적정산도가 2.25%이였으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는 각각 2.26%, 2.24 및 2.22%로 나타났다. 3. 발효가 진행 중에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시간과 더불어 총균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서서히 증가하였고 발효초기의 모든 김치구의 총균수는 2.5X105∼5.4X106 cfu/g 범위였으며, 김치 맛이 들기 시작한 6일경에서의 각 구별 총균수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2.4X109 cfu/g이였구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총균수는 각각 1.2X109 cfu/g, 4.0X108 cfu/g 및 1.1X107 cfu/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치가 완전히 익은 15일 후에는 무첨가 김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총균수는 5.4X107 cfu/g, 3.3X107 cfu/g, 1.8X108cfu/g 및 4.2X108 cfu/g로 나타났다. 4. 발효가 진행 중에 젖산균 수를 측정한 결과 시간과 더불어 젖산균 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발효초기의 모든 김치구의 젖산균 수는 2.0X104∼2.7X106 cfu/g 범위였으며 김치 맛이 들기 시작한 6일경에서의 각 구별 젖산균 수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3.2X108 cfu/g이었고,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젖산균 수는 각각 1.6X108 cfu/g, 13X108 cfu/g 및 9.6X107 cfu/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치가 완전히 익은 15일 후에는 무첨가 김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젖산균 수는 5.4X107 cfu/g, 3.3X107 cfu/g, 8.6X106 cfu/g 및 2.6X106 cfu/g로 나타났다. 5. 발효가 진행 중에 대장균 군 수가 시간과 더불어 대장균군 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6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부터는 대장균 군 수가 감소하였다. 즉, 발효초기에는 모든 구가 2.0X104∼4.0X105 cfu/g이었고, 6일 경에는 8.9X104∼4.5X105 cfu/g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15일후에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2.0X102 cfu/g이었으며,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대장균군 수는 각각 2.0X102 cfu/g, 1.1X102 cfu/g 및 4.0X101 cfu/g로 점점 감소하였다. 6. 관능검사 결과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와 0.1% 첨가 김치는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내어 0.1% 첨가 김치가 기능성과 보존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선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lucose Determination by Using Korean Radish Anionic Peroxidase (한국산 무 (Raphanus sativus L.) anionic peroxidase를 이용한 당 정량법 연구)

  • Kim, Jae-Hong;Kim, Sung-Ho;Lee, Mi-Yo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3 no.2
    • /
    • pp.100-105
    • /
    • 2000
  • Anionic peroxidases (POD) were isolated from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root by using fractionation with $(NH_4)_2SO_4$ and CM-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used as the colorimetric enzyme for glucose determination. The chromogen used in this work was o-tolidine or 4-aminoantipyrine/diethylaniline (4AA/DEA) and the colored products were measured at 630 nm. Korean radish anionic POD showed much better colorimetric reaction of glucose determination with 4AA/DEA than with o-tolidine. The r values of calibration curve for glucose determination by o-tolidine and 4AA/DEA were 0.9983 and 0.9963, respectively. In order to compare the reactivity for substrate oxidation by Korean radish POD and horseradish POD, the Km values against o-dianisidine and guaiacol were measured. Korean radish POD had about 40 fold higher affinity for o-dianisidine and 2 fold higher affinity for guaiacol as revealed by Km values. These results showed that Korean radish POD could be developed as the colorimetric diagnosis reagent for glucose determination with high sensitivity.

  • PD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f Sliced, Dried Radish Kimchi with Flying Fish Roe (날치알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의 이화학적 성분 및 발효양상)

  • Jang, Mi-Soon;Park, Hee-Yeon;Nam, Ki-Ho;Kim, Min Je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5
    • /
    • pp.566-57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f sliced, dried radish kimchi with flying fish roe (DFFR). The levels of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in DFFR were higher than those in sliced, dried radish kimchi without flying fish roe (control). DFFR also contained higher levels of Fe and Ca, compared to the control. The inosine monophosphate (IMP) content of DFFR and control was 5.63 and 2.64 mg/100 g, respectively.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DHA contents in DFFR were approximately 5 and 2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respectively. The major free amino acids contained in these samples were arginine, proline, alanine, leucine, and valine. The number of cells belonging to the Leuconostoc species in DFF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In sensory evaluation studies, DFFR scored the highest in terms of appearance, flavor, taste, and texture.

Effects of Chitosan on Growth Responses of Creeping Bentgrass (Agrotis palustris H.) (키토산 처리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tis palustris H.)의 생장 효과)

  • Yoon, Ok-Soon;Kim, Soo-Bong;Kim, Kwang-Sik;Lee, Joon-Soo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0 no.2
    • /
    • pp.167-174
    • /
    • 2006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on creeping bentgrass growth. Chitosan was applied several times in dilution of 300, 500 and 800 times at ten-day intervals after transplanting. Such growth characteristics as leaf length, root length, numbers of leave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observed. Treatment of 500 times diluted chitosan resulted in the longest root length, being 31.5cm while the control the shortest root of 25.1cm. Leaf numbers were 27.9 and 45.5, respectively for the control and the 300 times treatment.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was associated with treatment of 300 times diluted chitosan and the lowest one with the control, resulting in 11.9 and $18.4mg/100cm^2$, respectively. We found that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 fresh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500 times than the other treatments.

Changes in the Free Sugars and Amino Acids Components of Chicory Roots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유리당과 아미노산의 변화)

  • Park Chae-Kyu;Jeon Byeong-Seon;Kim Na-Mi;Kwon Oh-Geun;Shim Ki-Hwan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9 no.3
    • /
    • pp.45-52
    • /
    • 2004
  • 볶음조건에 따라 치커리의 유리당 함량은 무처리구에서는 sucrose 4.78%, fructose 0.81% 및 glucose 0.53%이었는데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여 16$0^{\circ}C$ 40분 볶음처리구에서는 sucrose 2.21%, fructose 0.35% 및 glucose 0.20%로 전체 유리당 함량으로는 약 45.10% 잔존하였다 아미노산은 18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arginine이 504.49 mg%, asparagine이 500.78 mg%, glutamic acid가 97.82 mg%이었고, 충아미노산 함량은 arginine이 676.7 mg%, glutamic acid가 583.9 mg%, aspartic acid가 319.2 mg%, prolineol 297.4 mg%로 다른 것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함량으로 보면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무처리구에서는 1728.6 mg%이었던 것이 16$0^{\circ}C$ 40분 처리구에서 4.37 mg%로 약 0.25%만 잔존하였고, 총아미노산의 경우 무처리구에서 3159.4 mg%이었던 것이 16$0^{\circ}C$ 40분 볶음처리구에서는 1732.5 mg%이었다.

  • PDF

Effect of Organic Materials on Yiel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유기자재 처리가 자소엽 수량성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 Saeng, Yeom;Se 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9-69
    • /
    • 2020
  •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은 흔히 차조기, 자소엽 등으로 불리며, 식재료나 약재로 이용된다. 최근 들어 자소엽을 향장 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유기자재 처리를 통해 향장원료 자소엽의 고품질 생산을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북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육묘한 종묘를 2020년 5월 노지 포장에 주간 간격 50cm 한줄 재배로 정식하였다. 처리는 규산염(성분량 20%), 키토산(성분량 5%)가 함유된 자재를 각각 500배, 1,000배 희석하여 6월 21일, 8월 3일, 8월 23일 총 3회에 걸쳐 압축 분무기를 이용해 작물이 충분히 적셔지도록 살포하였으며, 무처리구는 물을 살포하였다. 초장, 초폭, SPAD,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으며 잎과 꽃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FRAP(철환원 항산화력) 활성 ABTS+ 라디칼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육특성 중 초장과 초폭은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무처리, 규산염 500배, 키토산 1,000배 처리에서 대체로 높았으며, SPAD는 키토산 1,000배가 가장 양호하였다. 수량성은 모든 자재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많았으며,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리 대비 키토산 1,000배는 14.1%, 건물중은 무처리 대비 11.9%로 키토산 1,000배 처리가 수량성이 가장 많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보다 잎에서 더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잎의 폴리페놀 함량은 규산염 500배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꽃은 1,000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이 잎보다 높았으며, 잎은 규산염 500배 처리, 꽃은 키토산 1,000배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많았다. FRAP 활성은 잎의 경우 규산염 500배 처리에서 높았으며, 꽃의 FRAP 활성은 키토산 1,000배에서 좋았으나 처리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자소엽 잎의 ABTS+ 라디칼 저해 활성은 규산염 500배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꽃은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자재 처리가 높았으며, 500배보다 1,000배 처리에서 높은 라디칼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자소엽 유기자재 처리는 무처리보다 대체로 수량성과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나 추가적으로 적정농도 구명 후 경제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무와 비교한 콜라비의 성분분석)

  • Choi, Seung-Hyun;Ryu, Dong-Kul;Park, Su-Hyoung;Ahn, Kyoung-Gu;Lim, Yong-Pyo;An, Gil-Hwa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 /
    • pp.469-475
    • /
    • 2010
  • The major deterring factor of radish consumption is bitter and pungent tastes caused by glucosinolates. Recently kohlrabi was introduced in Korea and mainly cultivated in Jeju Island during winter. Since the texture and taste of kohlrabi are similar to radish, the kohlrabi is expected to substitute radish.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compositional quality between kohlrabi and radish. The kohlrabi contained less reducing sugars, cellulose and pectin than the radish. The kohlrabi had harder texture than the radish.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n the kohlrabi was 2.7-fold higher than that in the radish. Especially hydrophilic amino acids including aspartate, glutamate and arginine, were about 3-fold higher in the kohlrabi, suggesting that the kohlrabi was more palatable than the radish. The total contents of glucosinolates in the radish in inner and outer section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kohlrabi by 12.4- and 28.5-fold, respectively. In a sensory test, the kohlrabi was evaluated less bitter and pungent than the radish. The kohlrabi contained more glucoraphanin, an anticancer compound, than the radish. Furthermore, the sweetness of the kohlrabi was evaluated higher than that of the radish, though kohlrabi contained less reducing sugars, probably due to high contents of hydrophilic amino acids. In conclusion, the kohlrabi was evaluated as more favorable in taste and contained more functional compounds than the radish, and thus it can be a good replacement vegetable for radish.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꽃의 화학적 성분조성비교

  • 박금순;박어진;김향희;이선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100-100
    • /
    • 2003
  • 홍화꽃의 식품재료적 가치를 높이는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산과 중국산의 화학적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화꽃의 일반성분은 한국산 홍화꽃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무질소물의 함량이 14.70%, 3.10%, 6.90%, 18.20%, 57.10%이었으며 중국산 홍화꽃은 12.60%, 2.70%, 5.80%, 16.40%, 62.50%로 나타나 무기질소물을 제외하고 한국산 홍화꽃이 중국산 홍화꽃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