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기업혁신조사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1초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 간 혁신역량의 차이와 정책적 시사점

  • 이병헌;강원진;김영근;김선영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9-371
    • /
    • 2007
  •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대한 세 개의 독립적인 조사-광운대학교의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STEPI의 기술혁신활동조사, 중소기업청의 기술통계조사-를 활용하여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을 비교해 보았다. 이는 현행 벤처 및 이노비즈 인증 제도의 효과성을 평가해 보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 중기청의 기술 통계조사를 제외하고는 혁신형 증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 간 혁신활동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혁신형 중소기업 발굴 및 인증시스템이 혁신적인 중소기업들을 선별해 내는데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벤처 및 이노비즈 기업 발굴 육성 정책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 김재영;황정재;박재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3-497
    • /
    • 2017
  • a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 한국기술혁신조사(KIS 2016)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저해요인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KIS 2016 데이터의 제조업 기업 수는 4000개였는데 이 중 혁신 설문에서 제시한 혁신 저해요인 중 아무것도 겪지 않았다고 답한 기업과 응답이 누락된 기업을 제외한 3159개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혁신 저해요인으로 자금 문제, 기업 역량 요인, 필요 요인 총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자금 문제와 기업 역량 요인의 경우 혁신 제품의 시장 출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 요인의 경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혁신 성공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지역산업정책이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전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cal Industry Policy on the Corporate Innovation Capabilities - Focusing on the Daejeon Techno Park -)

  • 김민석;안기돈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3-603
    • /
    • 2017
  • 한국정부는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이 시작되는 1999년부터 연평균 약4,970억원을 지역산업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속적인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강화에 기여했는지 알아보기 보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에서 2016년 조사한 '대전지역 혁신자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테크노파크와 기술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 측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기술혁신정량지표인 특허의 결정요인과 슘페터가설 모형에 기초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종속변수로 특허수를 선택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변수(매출액, 매출액제곱, 수출액, 영업이익)와 R&D변수(R&D인력, R&D자금), 그리고 대전테크노파크의 지원여부와 벤처기업지정여부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전테크노파크 지원이 기업의 특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육성정책이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역산업육성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 (The literature review of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 양동우;전우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120
    • /
    • 2011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한 연구이다. 국내외 중소기업의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잠재변수를 선정한다. 각 잠재변수별로 유의적으로 판명된 지표를 분석하여 기업내부역량 중 글로벌혁신역량에 중요한 요인인 CEO역량, 기술역량, 마케팅역량, 생산역량, 인적자원역량, 재무역량, 네트워크역량으로 재분류한다. 향후 잠재변수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호교호작용효과를 배제한 잠재변수별 순효과(net effect)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제조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소비자지향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R&d Activities, Consumer-orientedness, and Innov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of Korea)

  • 송치웅;오완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4-139
    • /
    • 201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난 2008년도에 조사한 '기술혁신조사(KIS) 2008'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 제조업 기업들이 이루어낸 혁신의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Probit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기업규모와 시장집중도가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유인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라는 슘페터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또한 기업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역시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시장에 있어서 소비자지향성의 척도라 할 수 있는 광고 선전비 집약도가 혁신이 일어날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ICT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 개방형 혁신을 중심으로 (Innovation Capabilities of ICT SMEs in the Open Innovation)

  • 노태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9-183
    • /
    • 2017
  •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제품수명주기가 급속히 단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업은 다양한 혁신의 방법으로 경쟁 우위적 기술 혁신을 추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부의 연구 개발의 한계를 벗어나 개방형 혁신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전제로 IC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의 진행 과정과 성과를 분석하고,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활동 과정과 추진 내용, 그리고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방형 기술 혁신의 추진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방형 혁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ICT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혁신 생태계를 제품/서비스 혁신, 조직혁신, 마케팅 혁신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ICT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과 혁신 성과의 관계에 대한 현황적 조사 분석을 제시하였다. 선행적 연구 이론 정리를 위하여, 기업의 혁신 역량, 개방형 혁신 이론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국내외 개방형 혁신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혁신형 기업 인증 제도가 중소기업의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novative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SMEs)

  • 유형선;전승표;김지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2-1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장려 정책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혁신형 기업 인증 제도의 효과를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실시한 2013~2015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벤처기업 확인, 이노비즈 인증, 메인비즈 인증 등 혁신형 기업 인증을 받은 혁신형 중소기업과 그렇지 않은 일반 중소기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에 관련된 많은 세부 지표에서 비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부사용 연구개발비 비중, 기술개발 시도건수와 성공건수 등은 조사년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제도의 사후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자체조달연구개발비 비중은 3개년 조사 모두에서 오히려 일반 중소기업이 혁신형 중소기업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자금 지원이 기업의 자체 연구개발 투자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의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는 인증 여부보다는 기업의 규모와 참여 업종에 더 큰 영향을 받으므로, 기술혁신 장려 정책 수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혁신유형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 경북 소재 IT 기업을 대상으로 -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on Pattern and Social Capital: Focus on IT Companies located in Gyeongbuk)

  • 김선우;이장재;이철우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7-559
    • /
    • 2005
  • 본 연구는 혁신목적과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고찰하친 있다. 기업의 혁신목적 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 6월에서 7월 사이에 실시된 $\ulcorner$경북 IT기업 기술혁신활동 조사$\lrcorner$ 에서 나타난 176개 기업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IT기업의 기술혁신 유형변수로 '탐색형 기업', '활용형 기업'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의 범위를 나타내는 '구조적 변수'와 강도를 나타내는 '관계적 변수'로 구분하여 구성형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색형 기업에서는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고(sparse network) 약한 연계(weak tie) 관계를 가지는 반면, 활용형 기업에서는 네트워크가 범위를 좁고(dense network) 강한 연계(strong tie)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역혁신 활성화를 위한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 선정 (Investigation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s Model for Regional Innovation)

  • 허필우;천동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64
    • /
    • 2017
  • 정부는 지역의 내생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연구개발특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내 각종 세제혜택과 정책적인 지원을 받는 연구소기업 제도는 지역혁신활성화를 위해 새롭게 등장한 혁신액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소기업의 모형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혁신활동에 대한 연구는 수도권과 대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대표를 대상으로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 선정을 위한 요소들을 선정하고 AHP(계층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우수 모형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연구소기업 모형을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기술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기술의 우수성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세가지 연구소기업 모형 중, 합작투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우수 연구소기업 모형을 선정하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제2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혁신클러스터 논의에서 소외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본 연구가 진행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향후 설문범위와 숫자를 확대한다면 더 좋은 정책적 의미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소기업의 모형에 따른 장단점 분석과 함께 지역에서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연구가 더욱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