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계함수율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BTEX Removal Efficiency for Variation of Moistures by Microwave Process (유류오염토의 마이크로파 처리 시 토양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BTEX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 Ha, Sang-An;Yeom, Hae-Kyong;Yu, Mi-Y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2
    • /
    • pp.65-71
    • /
    • 2007
  •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an application of microwave pre-treat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hemicals, and BTEX(benzene, toluene, ethylene, xylene). Microwav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power conditions (2 kW, 4 kW) us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BTEX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BTEX removal efficiency was with 20% moisture contents regardless of electric power. The result show that 2kW was determined to the optimum electric power at $10{\sim}30%$ moisture contents, but the optimum power was 4 kW at 50% of moisture content.

Development of Diameter Growth and Mortality Prediction Models of Pinus Koraiensis Based on Periodic Annual Increment (정기평균생장을 이용한 잣나무 임분의 흉고직경 생장예측모델 및 고사예측모델의 개발)

  • Kim, Seonyoung;Seol, Ara;Chung, J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1
    • /
    • pp.1-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individual-tree/distantindependent stand growth model in predicting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forest stands. The parameters of diameter growth and mortality predict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periodic annual increment (PAI) of permanent plo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ones using mean anuual increment (MAI). The diameter growth model includes crown ratio, potential diameter growth and modifier to compute for competitions of trees of a stand. In deriving the mortality prediction model,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based on PAI which was also estimated as the function of MAI due to the lacking of permanent plot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wly-estimated functions based on PAI provide more realistic patterns in diameter growth of individual trees. The new approach using PAI in mortality model seems to overcome the over-estimate problem by the MAI-based model in estimating mortality of stand trees.

마이크로파 전력에 따른 슬러지 케이크의 건조특성

  • Ha, Sang-An;Yeom, Hye-Gyeong;Yu, Mi-Yeong;Kim, Gi-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98-300
    • /
    • 2006
  • 온도에 따른 건조속도의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급가속화되고, 온도가 낮을수록 완만한 형태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kW가 증가할수록 항률건조 시간이 줄어들고, 한계함수율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Active Control Algorithms through Weighting Functions (가중함수에 따른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비교 연구)

  • Min, Kyung-Won;Kim, Jin-Koo;Kim, Sung-Choon;Chung, La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173-179
    • /
    • 2001
  • 성능지수는 제어 대상이 되는 구조물의 응답과 제어기의 성능에 관한 가중함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중함수의 설계에 따라 성능지수가 변화되며 제어 효율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일종인 시간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LQR기법과 LQG기법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H₂기법에 대하여 동일한 가중함수를 적용하여 제어 성능인 제어율과 제어력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LQG기법은 모든 상태 변수를 알아야 하는 LQR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LQR기법과 동일 수준의 제어율과 제어력을 보이고 있고 출력 제어라는 장점을 고려하면 현실적인 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물 응답과 제어기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필터의 가중함수를 설계하는 H₂기법을 분석하였다. H₂기법은 제어력을 저주파수 영역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응답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침수피해시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

  • Lee, Chang Hee;Kim, Sang Ho;Hwang, Shin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0-440
    • /
    • 2018
  • 홍수피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발생 시기가 불규칙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홍수위험관리가 요구되며, 최적의 홍수피해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홍수피해저감 대책들에 대해서 비용대비 피해저감효과 분석이 필요하다(FLOODsite, 2007). 홍수피해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피해범위와 침수심 등 피해규모를 분석함과 함께 피해규모에 따른 홍수피해액 추정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홍수피해저감 대책에 대한 비용대비 효과분석 수행이 가능하다(Kim et al., 2014).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다차원법은 침수편입율을 산정하고 건물에 대해서 손상률에 해당하는 피해율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과 내용물에 대해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Choi et al., 2006a; Choi et al., 2006b; Yi et al., 2010). 그러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등 주택 이외 다른 용도의 건물에 대해서는 손상함수가 없어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피해지역의 자료들을 토대로 공공건물 용도별 침수심별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피해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나, 실제 공공건물의 경우 다양한 건물유형으로 인하여 유형별 침수사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침수현황 조사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험가입자에게 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했을 때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보험금을 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손해사정사들을 통해 여러 가지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침수심별 손상률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의 개발절차, 침수심별 손상함수의 개발결과, 보완과정 그리고 손상함수의 적용결과에 대한 국내외 기법과의 비교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용결과 본 연구에서 현장 조사 기반으로 개발한 손상률을 적용한 경우 국내 실제 피해액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다만 동일 건물용도(예컨대 공공업무시설)일지라도 바닥재 등 마감재 재질이 건물마다 다르며, 건물별로 공간 활용 여건이 다양하여 동일한 침수심에 대해서 피해액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 되어 동일한 침수심에 대한 피해내용이 달라져 변동폭이 크게 발생되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피해사례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손상함수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hybrid desiccant cooling dryer (하이브리드 냉풍건조기 개발)

  • Choi, Hyun-Woong;Chung, Kwang-Seop;Lee, Tae-Ho;Park, Seung-Tae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9.06a
    • /
    • pp.236-241
    • /
    • 2009
  •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ling dryer, the mixed cooling dryer was developed by adding the desiccant dryer which supplement the cooling dryer's demerits. Also, the hybrid desiccant cooling dryer was developed to use effectively the exhaust heat energy of the cooling dryer. It could make a more that 20 percent reduction in energy compared with the mixed desiccant cooling dryer. It has become essential to supply this equipment and search the suitable drying product.

  • PDF

Limitation of Light Energy Utilization in the Fallen Stems of Opunttia bigelovii without CO2 and Water Absorption (지상에 떨어진 Opunttia bigelovii 선인장의 줄기에 있어서 광에너지의 이용한계)

  • Chang, Nam-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3 no.1_2
    • /
    • pp.31-39
    • /
    • 1980
  • Light energy utiliz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fallen stems of Opuntia bigelovii. Threshold time for the decreasing steady state of acid accumulation in the palisade tissue of Opuntia stems was 4 hours under 1,000 $\mu Em^{-2}sec^{-1}$ of PAR at $75^{\circ}C$, while stomatal closing throughout the stem stage was illustrated by 256.0-310.4 sec $\textrm{cm}^{-1}$ of stem diffusive resistance and 0.20g $day^{-1}$ of the water loss rate as cuticular resistance. The acid loss rate in the stems per 4 hours was related to tissue water contents and a few acid loss rate could be recognized at the water content rage of 56.4%~46.8%. Endogenous oscillation of tissue acidity due to the diurnal rhythmic phenomena depended on the tissue water content was found in the Opuntia stems with stomatal closing during the normal day/night cycle. The survival rate of 1 segment to survive 2 years old cactus was 22.7% in desert environments. Such a compensation photosynthesis which utilizes light energy and maintains the reassimilation of endogenous gases was interpreted as conceptual model.

  • PDF

A Life Evaluation Method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Water Mains (상수관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수명 평가 방법)

  • Choi, Chang-Log;Park, Su-Wan;Kim, Jeong-Hyun;Ba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1-2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잔존수명을 통계적 기법 중 하나인 비례위험모형(PHM)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개별관로의 생존시간은 관로의 파손율이 한계파손율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정의하였다. 즉, Park and Loganathan(2002)에서 제시한 GPBM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개별관로의 파손율을 추정하고 추정된 파손율과 한계파손율의 상등관계를 통해 생존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대상관로에 대한 GPBM을 구축함에 있어, 매설시점에서 누적파손횟수를 0으로 한 파손기록을 입력자료에 추가하는 방법과 가중계수(WF)의 범위를 수정함으로써 기존의 GPBM을 보완하였다. 이로써 파손사건이 최소 1회 이상 기록된 강관 및 주철관에 대한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수정된 방법론은 관로 파손사건 등의 자료의 축적이 미비한 국내 여건에서 비례위험모형 및 GPBM과 같은 통계적 모형을 구축할 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대상관로의 비례위험모형에 포함된 유의한 공변수는 관종과 관경 그리고 길이이며 관종은 비례성 가정을 위배하여 시간종속형 변수로 모형화되었다. 최종 채택된 PHM모형을 통해 생존함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생존함수를 이용하여 개별관로의 잔존수명 및 경제적 수명 그리고 각 수명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개별관로의 경제적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공변수의 위험비율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관의 평균 경제적 수명은 약 25.1년이고 주철관은 약 21년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관종에 따른 경제적 수명에 도달할 상대적인 위험률은 전반적으로 주철관이 높으나 20년 이상 매설된 관로에서는 강관의 위험률이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경과 길이는 크기에 비례하여 상대적 위험률도 증가하였다.

  • PDF

Nonlinear Viscoelastic Behavior of Concentrated Polyisobutylene Solutions in 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Deformation (대진폭 전단변형하에서 폴리이소부틸렌 농후용액의 비선형 점탄성 거동)

  • 장갑식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3
    • /
    • pp.173-18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를 사용하여 대진폭 진동 전단 변형하에서 발생하는 폴리이소부틸렌(PIB) 농후 용액의 비선형 점탄성 거동을 저 장탄성율과 동적점도의 변형량 의존성 및 응력파형의 fast Fourier transform(FFT) 해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스트레인 진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한 동적 점탄성으로 부터 저장탄성율 및 동적점도의 선형응답한계를 결정하고 이들에 미치는 각주파수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그리고 응력파형의 Fourier 전개로부터 유도되는 비선형 점탄성함수를 사용하여 비 선형 거동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비선형 점탄성 거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선형 거동 지수 를 정의하고 이들에 미치는 각주파수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 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선형 응답한계는 고분자 용액의 특성시간의 역수보다 높은 각주파수 범위에서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지만 특성시간의 역수보다 낮은 각주파수 영 역에서는 각주파수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2)선형응답한계 이상의 대변형하에서는 3차비선 형 점탄성 함수 이상의 고차항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며 이로인해 비선형 거동이 발생된다. (3) 스트레인 진폭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한 저장탄성율 및 동적점도의 변형량 의 존성은 응력파형의 Fourier transform으로부터 유도된 1차 비선형 점탄성 함수의 변형량 의 존성을 나타낸다 (4) 저장탄성율 및 동적점도의 변형량 의존성으로부터 유도된 비선형 거동 지수는 탄성적 서질과 점성적 성질에 대한 비선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요한 방법으로 인정된다. (5) 비선형 점탄성 거동의 정도를 나탄는 비선형 거동지수는 특정한 각주파수에서 최대치를 가지며 또한 탄성적 거동이 점성적 거동에 비해 더욱 큰 각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낸다.

  • PDF

An Empirical Test of the Dynamic Optimality Condition for Exhaustible Resources -An Input Distance Function- (투입물거리함수를 통한 고갈자원의 동태적 최적이용 여부 검증)

  • Lee, Myung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4
    • /
    • pp.673-692
    • /
    • 2006
  • In order to test for the dynamic optimality condition for the use of nonrenewable resourc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shadow value of the resource in situ. In the previous literatures, a time series for in situ price has been derived either as the difference between marginal revenue and marginal cost or by differentiating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of ore extracted the restricted cost function in which the quantity of ore is quasi-fixed. However, not only inconsistent estimates are likely to be generated due to the nonmalleability of capital, but the estimate of marginal revenue will be affected by market power. Since firms will likely fail to minimize the cost of the reproducible inputs subject to market prices under realistic circumstances where imperfect factor markets, strikes, or government regulations are present, the shadow in situ values obtained by estimating the restricted cost function can be biased. This paper provides a valid methodology for checking the dynamic optimality condition for a nonrenewable resource by using the input distance function. Our methodology has some advantages over previous ones: only data on quantities of inputs and outputs are required; nor is the maintained hypothesis of cost minimization required; adoption of linear programming enables us to circumvent autocorrelated errors problem caused by use of time series or panel data. The dynamic optimality condition for domestic coal mining does not hold for constant discount rates ranging from 2 to 20 percent over the period 1970~1993. The dynamic optimality condition also does not hold for variable rates ranging from fourth to four times the real interest 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