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평가

Search Result 5,51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ulti-stage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Fuzzy Inference (퍼지 추론에 기반 한 다-단계 학습평가 시스템)

  • Kim, Jong-Uk;Son, Chang-Sik;Jeong, Go-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5-238
    • /
    • 2006
  • 기존의 학습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수행능력을 판정하기 위한 진단평가와 학습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성평가를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학습 수행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수행 능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합평가할 수 있는 다-단계 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의 수준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습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평가단계에서 퍼지추론을 통해 획득한 비퍼지화된 실수 구간을 최종평가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행능력과 능력 향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

  • 이은덕;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71-273
    • /
    • 2004
  • 최근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World Wide Web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상호작용적인 웹 기반 협동학습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의 대부분은 일정한 기준이 없이 그룹이 편성되거나 오프라인에서 그룹이 편성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협동학습 이후 평가가 없거나 오프라인에서 평가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웹 기반 협동학습은 외형상으로는 협동학습을 표방하지만 완벽한 웹 기반 협동학습이 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웹 기반 협동학습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학습자의 적극적 협동수행 유도와 학습효과의 증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룹 구성부터 시작하여 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웹 상에서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일정한 기준을 통한 성향조사를 통해 교수자가 웹 상에서 동질적, 이질적 성향의 그룹 편성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교수자가 학습자의 성향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적당한 그룹의 편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웹 기반 협동학습 종결 후 자기평가, 동료평가, 그룹평가, 그리고 교수자 평가와 같은 다양한 평가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평가에 의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협동학습에서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동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of Web-Based Evaluation System for Projec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평가 시스템의 설계)

  • Park, So-Young;Kho, Dae-Gh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153-160
    • /
    • 2005
  • 프로젝트 학습은 구성원간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형태로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며,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평가는 교사의 조언과 지도를 통해 학생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협동학습에서는 일명 '무임승차'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학습활동시 교사가 학생 개개인의 프로젝트 학습 능력을 측정 및 관리하기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학습시,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조언과 지도를 통하여 학습수행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개별 학습자의 프로젝트활동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평가는 프로젝트 중 평가와 프로젝트 후 평가로 이루어지며, 단계별 평가 기준 관점은 Chard가 제시한 프로젝트 활동 평가 준거를 참고하여 정하였고, 루브릭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세 가지 단계로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rtfolio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Based on Web (웹 기반 포트폴리오 수행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신원항;이정아;이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33-736
    • /
    • 2002
  • 최근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교육부에서 제시한 새학교 문화 창조의 일환으로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의 전인적인 특성을 고려해서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학습 평가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하기가 어려워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학습방향을 제시하기 곤란하고 교사와 학습자의 수업의 질 개선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작성하거나 만든 작품집이나 서류철 등을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웹기반에서 가능하게 하는 웹 기반 수행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Fuzzy Inference (퍼지 추론기반 학습평가 시스템)

  • Kang, Jeon-Ge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8 no.3
    • /
    • pp.147-154
    • /
    • 2007
  •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ach evaluation had a stronger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teaming ability. Nevertheless, in reality schools rely on the results of summative evaluation after the lesson only for the purpose of learning evaluation. Such a method of evaluation is a result-oriented learning evaluation, with no consideration of developing process of loaming ability of each student. Existing learning evaluation has been considered difficult to process learning performance ability in a clearer manner, as it examines teaming performance ability by diagnostic evaluation an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by formative evaluation, separatel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learning evaluation method incorporating diagnostic and formative evaluation, using a Fuzzy inference, for a more objective assess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e proposed method assessed teaming ability based on different weight values, in order to reflect the level of diagnostic and formative evaluation.

  • PDF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Virtual Classroom with a Learning Appraisement Agent (학습 평가 에이전트를 갖는 웹 기반 가상 강의실의 설계 및 구현)

  • 홍지영;이종학;장정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65-567
    • /
    • 2001
  • 웹의 등장으로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강의실이 많이 구축되고 시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강의실은 학습자에게 많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 가상 강의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내용이 대부분 교수의 임의의 한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어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수준이나 목적에 맞는 학습내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 평가 에이전트를 갖는 웹 기반 가상 강의실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본 가상 강의실의 학습 평가 에이전트는 학습자에게 학습 방향과 목표에 따라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 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테스트한다. 이러한 테스트를 위하여 학습 평가 에이전트는 테스트 항목들에 대하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다. 문항반응이론은 문항특성의 불변성, 능력추정의 정확성, 능력추정의 불변성을 가지고 있어 학습자의 단순한 평가가 아니라 학습자의 지식수준이나 이해정도를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상 강의실의 구축에 필요한 데이타베이스 설계와 시스템 환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 PDF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Biology Content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the 7th Grade Students (중학교 1학년 생물영역의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 평가)

  • Jeong, Yun-Young;Jeong, Jin-Su;Kim, Sang-H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1
    • /
    • pp.87-9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biology content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s which provided by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contents were evaluated by the 9 categories: needs assessment, instruction design, learning contents, teaching & learning strategy, interaction, supporting system, evaluation, ethicality and copy righ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have advantage in detailed learning goal, useful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ctivities by level, and various learning parts material, but lack in evaluation method tool for personal learning by level and the latest learning material. Based on th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barrier of the efficient learning contents should be searched for the comple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management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 PDF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otivation Effect in Learner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s of Formative Evaluations (형성 평가의 난이도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동기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7-348
    • /
    • 201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평소 학습 이해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형성평가가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교수자에게 형성평가는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파악하는 방법이지만, 평가 결과를 성적에 반영할 때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임을 선행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년간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온 형성평가의 문제 난이도를 조절하여 난이도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부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형성 평가에 출제한 문제의 난이도 정도가 형성평가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등의 큰 평가에서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해 학습 동기 부여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Web-based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by Level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웹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

  • 양형정;최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06a
    • /
    • pp.248-259
    • /
    • 2002
  • 최근의 새로운 교수 학습 형태인 웹기반 교육에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내용과 과정을 제시하는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수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적합한 학습 내용과 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그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반복학습 및 심화학습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차기 학습을 할 경우에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코스웨어를 설계시 학습목표의 중요도, 학습내용의 난이도, 학습목표와 학습내용과의 관련성과 각 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한 퍼지 함수에 의해 퍼지 소속성을 가진 퍼지 언어 변수로 각 프레임에 대한 수준을 표현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도 문제의 난이도, 관련학습 자료의 난이도, 관련 학습목표의 중요도, 각각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퍼지 함수에 의해 언어 변수로 평가된다. 이와 같이 퍼지 함수를 이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적절한 학습 및 평가 내용을 제공하는데 여러가지 다양하고 불확실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융통성 있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