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목표 달성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eam Project Activity and Satisfaction in Business Education (경영학 수업에서 팀 프로젝트활동과 수업만족에 관한 연구)

  • Suk, Yeung-K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7
    • /
    • pp.217-227
    • /
    • 2014
  • Since 2010, the universities in Korea have been faced severe difficulties on the selection of students and on the delivery of high quality education services, as the number of students is reduced and the college entrance rate is declin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the various and professional education services such as team-based projects, case study, e-learning, action learning,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business education. The 4 factors(team cohesiveness, teamwork, team performance and goal achievement) are measured by using questionnaire survey and data are collected from 134 students(34 teams) for 4 subj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ucture of team cohesiveness${\rightarrow}$teamwork${\rightarrow}$student's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team performance and goal achievement are not significant.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team-based project learning would highly be related with team cohesiveness.

The development step to advance a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에 기반 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

  • Cho, Sok-Hwan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2
    • /
    • pp.7-17
    • /
    • 2004
  • An academic performance can advance the expectations that lead to academic su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past performance,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outcome expectations, grade goal of studies, and study performance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 Participants completed a background questionnaire, the Information Technology Proficiency Exam, the scale of the ability using computer, and the Technology Outcome scale. Based on path model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s related to past performance. Consistent with theor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ies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abilit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via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e goal of studies. In the present study, the past performance variable failed to predict an academic studies performance when impacted by outcome expectations.

  • PDF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Capacity through Web News-data in Education (웹 신문학습을 통한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 Bang, Ju-Hye;Lee, Yong-B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77-82
    • /
    • 2006
  • 학습자들은 소양교육으로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토대로 각 교과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의 교육이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은 가장 효과적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소양교육과 활용교육 연계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바로 웹 신문학습이다. 그러나 웹 신문학습이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검증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교육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갖고 있었다. 이에 컴퓨터 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인 웹 신문학습을 수행한 후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을 측정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Cas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ort-Algorithm learning (정렬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사례중심 교수학습 모형 개발)

  • Pyo, Sun-Young;Kim, Young-K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153-158
    • /
    • 2007
  • 최근 컴퓨터 교육의 초점은 컴퓨터 내용학으로 소양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컴퓨터 과학 요소 및 정보통신윤리 분야를 강화하며 소양 교육과 교과 활용교육 간의 연계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 컴퓨터, 컴퓨터 통신,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의 첨단 정보 매체를 교수 학습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넘어 정보 교육 본질적인 관점에서 교육 방법을 찾고자 노력이 고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지도하기 어렵고 학생들이 이해하기 힘든 컴퓨터과학에 기본이 되는 컴퓨터 내용학 중 자료구조의 검색과 정렬 중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교수 학습방법을 설계해 이를 지도해 보고 이러한 학습내용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학습되는 모형을 적용하여 실효성과 이해를 높일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Supporting Vehicle System Using.Net2.0 (.Net2.0을 이용한 수업 보조도구 설계 및 구현)

  • Joo, Byoung-Tae;Kang,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85-1388
    • /
    • 2007
  •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이해 및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일반적인 강의형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면대면에서 오는 두려움으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생각을 파악하지 못한 채 단순 지식전달 형태의 수업이 진행되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는 학습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의 생각과 의견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으로 하는 수업 보조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양질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추후 확장성 및 시스템의 활성화를 고려하여.Net Framework2.0 기반으로 개발 하였다.

  • PDF

A Study on XML-based Learning Model that Using Web Casting Technique of Web. (Web에서의 웹캐스팅 기법을 이용한 XML기반의 학습모형에 관한 인구)

  • 윤호군;김천호;김지연;김현기;강환수;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63-66
    • /
    • 2000
  •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의 발전으로 웹 코스웨어의 교육에 응용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가고 있다. 이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쉰 상에서의 원격교육에 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실세계에 다양한 방법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육 툴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웹 코스웨어의 교육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곳에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및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이 항상 서로 교류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하고, 사용자가 새로이 갱신된 학습정보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항상 찾아가 정보를 찾아 접속해야만 갱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한 웹 캐스팅기법으로 웹 코스웨어를 구연하였으며, 이를 적용하기 위해 CDF(Channel Definition Format)형식을 사용하였다. 채널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자율적으로 채널을 선택하면 새로이 갱신된 정보가 자동적으로 학습자의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Learning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Applied to the Inquiry Learning Model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Lee, Jae-Mu;Kim, J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1
    • /
    • pp.1-8
    • /
    • 2009
  •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 ICT teaching learning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inquiry learning model, and to verify its efficiency by applying that material.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simple applications of ICT, this paper studies ICT applications based on a 'learning model' with specific teaching-learning processe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greatest effect for the final learning objective. This study reconstructed an inquiry-teaching-learning model for track and field and gymnastics lessons to fit ICT teaching-learning material, defined at each level with a process model; and developed a feasible curriculum. The developed material was applied to the 5th grade lessons. The result of this application indicated increased efficiency in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inducing interest in learning as well as in other technical or functional aspects.

  • PDF

The Analysis of Biology in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Criteria for Selecting Curriculum Objectives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준거에 따른 제 6차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 분석)

  • Hong, Jung-Lim;Kang, Kyoung-Mi;Yeou, Sung-Hee;Chang, Nam-K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2
    • /
    • pp.239-247
    • /
    • 1999
  •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 for developing textbook systematically by analyzing biological contents and organization in science textbooks which are important instructional media to accomplish objectives of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inclusiveness degree of the 6th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s reflected in the textbooks was analyzed by Klopfer's and the Korean Educational Department's objectives taxonomy. And the biological content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science textbook were analyzed by learner, subject matter, and society dimensions which are selecting criteria for curriculum objectives suggested in Tyler's curriculum model.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lusiveness degre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was very low. 2. Regarding the dimension of learner, the concepts of formal operational cognitive level were much increased as grade becomes higher. And the degree of learner's interests reflected on the learning topics and domains was very low. 3. Regarding the dimension of subject matter, the concept-centered learning was increased, in relation to inquiry learning as grade becomes higher. The analyzed results of inquiry subskills showed that observation, classification, and recording skills in 1st grade, observation and operation skills in 2nd grade, and interpreting data skills in 3rd grade were centered. As the problems and processes were presented, so most of inquiry activities had low openness scale. The learning contexts were organized into discipline-centered in relation to real life. 4. Regarding society dimension, the learning topics of environments and health were much presented. but those of biotechnology and career were presented scarcely. And most learning topics related society dimension were organized in textbooks of the 2nd and 3rd grade. These suggested that to accomplish curriculum objectives effectively. the inclusiveness degree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to increase and,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extbook were constructed harmoniously in aspects of learner, subject matter and society dimensions.

  • PDF

Research about Interaction Learning System Using Learning Remote Controller (학습용 리모콘을 활용한 상호작용 학습 체제에 대한 연구)

  • Ahn, Mi-Hak;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95-100
    • /
    • 2006
  •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학습의 중요한 성공요인이다.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모콘을 활용하는 CPS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을지 확인하고 더 많은 상호작용을 일으켜 학습 목표를 달성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적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수업과 달리 CPS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에서 사라져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좀 더 개선해야 한 문제점들이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한다.

  • PDF

A Study of developing KPI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T of BSC based on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행동이론 기반의 BSC 학습과 성장 시각 영역 및 IT KPI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Eung-Seo;Lee, Seung-Hyun;Leem, Ch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7-70
    • /
    • 2004
  • 카플란과 노턴에 의해 1992년에 처음 소개된 BSC (Balanced Scorecard)의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4개 시각 중 '학습과 성장' 시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지표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성과지표 도출의 근원을 조직 행동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개념과 과정이론에서 밝혀냄으로서 '학습과 성장'시각의 목표인 다른 세 시각의 하부구조 및 동인을 달성하고자 조직 행동이론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이 기업의 장기적인 역랑을 배가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 및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장' 시각에서 인적자원의 역랑과의 균형있는 정보기술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업 경영활동의 근간이 되는 구성원과 단위조직, 그리고 정보기술이 기업성과데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과 조직의 보상체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잣대로서 작용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