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접근방식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4초

WEB기반 학습 지도.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Teaching-and-Evaluation System)

  • 하일규;서영수;김병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94-696
    • /
    • 2001
  • 인터넷의 이용이 생활화되면서 학생들의 인터넷 이용능력은 점차 향상되어가고 있으며 그 이용시간도 증가하는 추세다. 인터넷은 접근하기가 편리하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경제적 이점도 가져다주므로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인터넷에 기반한 교육적 활용의 한 모델로서 WEB기반 학습지도.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즉 가상의 공간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 작용하면서 교수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에 주목하여 교사는 WEB상에서 문제를 출제하고 학생 역시 WEB을 통해 손쉽게 문제를 풀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안한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기존의 유사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필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면서 미래의 학습평가방식에 적합한 효율적이고 유연성있는 모델을 만들었다. 설문조사를 통한 평가에서는 시스템의 학습효과성과 발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평가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기능에 대한 연구가 따른다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새로운 학습도구로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학습 도구에 관한 새로운 인식전환의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세계화:중국학생과 한국학생들의 해외 유학 경험 (Going global: The Study Abroad Experiences of Chinese and Korean Students)

  • 엘라 키드;김혜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01-411
    • /
    • 2018
  • 본 연구는 정치 경제적 측면에서 일정궤도에 오르고 영어교육을 중시하는 두 나라의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한국인 재학생 2명과 중국 유학생 1명이다. 연구의 목적은 이들이 해외에서 경험한 전반적인 언어 학습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비슷한 문화와 언어학습방식을 공유하지만 제2외국어 준비를 위한 접근방식은 서로 달랐으며, 이와 다르게 그들이 해외에서 공부하도록 동기를 부여한 내적 요인들은 동일했다. 그리고 교실 상황(평가), 사회적 환경(환경)및 학습전략도 서로 달랐다. 본 논문의 방법론은 표본 추출 기술을 이용한 전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응답은 사전에 준비된 설문지와 구조화되지 않은 인터뷰에 의해 이루어졌고, 추후에 유도 추론 프로세스에 의해 분석되었다. 세 가지 즉, 책임, 문화, 의사소통의 충돌로 특정하였다. 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이 모국에서 영어학습에 대한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면 할수록 해외에서의 성공에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마코프 모텔 기반 지문의 구조적 특징 분류 (Markov Models based Classification of Fingerprint Structural Features)

  • 정혜욱;원종진;김문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3-38
    • /
    • 2005
  • 지문분류는 대규모 인증시스템에 사용되는 지문 데이터 베이스를 종류별로 인덱싱 하거나 인식 시스템에 다양하게 쓰이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지문은 일반적으로 융선의 전체모양 등 전역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분류하며, 분류방법에는 규칙기반 접근, 구문론적 접근, 구조적 접근, 통계적 접근, 신경망 기반 접근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의 구조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관찰되는 특징의 상태가 매순간 변화하는 확률론적 정보추출 방식인 마코프 모델을 적용한 지문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지문 이미지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각 클래스 분류를 위해 대표 융선을 찾아 방향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5가지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좋은품질(Good)과 나쁜품질(Poor)의 데이터를 포함한 훈련집합을 사용하여 각 클래스별로 학습된 마코프 모델은 임의의 지문이미지 분류시 높은 분류율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구조적 접근방법에 비하여 다양한 품질의 지문이미지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확률론적 방법이기 때문에 예외적인 지문이미지 분류시 잘 적용될 수 있다.

  • PDF

이메일 분류를 위한 추천 에이전트 시스템 (A Recommendation Agent System for E-Mail Classification)

  • 정옥란;조동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94-96
    • /
    • 2003
  •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과부하와 이메일의 급증은 이젠 모든 네티즌들이 겪는 불편함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이메일 관리를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천 에이전트(Recommendation Agent)를 제안하고자 한다. 추천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이메일의 자동 분류에서 가장 핵심인 정확도(Accuracy)를 개선시키기 위해 최종 결정을 사용자가 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으며, 또한 절기에 이용되는 학습 및 분류 알고리즘을 동적 임계치를 적용한 베이지안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적 방법도 병행하였다. 새로운 메일이 도착했을 때 최적의 분류를 할 수 있도록 메일 카테고리를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필요없는 메일이나 스팸으로 간주되는 메일은 자동 삭제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 PDF

한·중·일 정부기관 웹사이트 디자인의 레이아웃 구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Layout Structures in Government Agency's Web site Desig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이현주;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6
    • /
    • 2013
  • 본 연구는 동아시아를 대표하며 교류가 활발한 한국, 중국, 일본의 정부기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사용성과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웹디자인의 요소 중 하나인 레이아웃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학습되어 있는 가로쓰기방식의 상단내비게이션 구조를 반영하였지만, 일본은 예전 인쇄물 세로쓰기방식 즉, 좌, 우측 내비게이션 구조가 아직 남아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사용자 중심의 상단내비게이션 레이아웃 구조를 표준으로 제시하였다.

  • PDF

MSMIL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모바일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Mobile Learning System using MSMIL)

  • 임영진;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92-599
    • /
    • 2007
  • 무선 기술의 발달은 모바일 기능과의 결합으로 전자적인 학습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학습으로 확산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모바일 학습은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 접근을 위한 시간과 공간적인 유용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한된 메모리 공간으로 인해서 학습 내용으로의 접근을 단지 텍스트 기반의 전달로 제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 동기화를 지원하는 SMIL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태그로만 구성한 MSMIL을 정의하여 파서의 크기를 줄이고, 학습 내용 생성시 매크로 방식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습 내용의 데이터 감소, 전송 효율 증대를 위한 멀티미디어 모바일 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 결과, 제작 언어의 간소화와 언어 습득의 용이, 그리고 파서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파싱을 위한 CPU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비선형 회귀를 이용한 학습도우미 애플리케이션 (Learning Assistant Application Using Non-Linear Regression)

  • 장은영;김강우;김민식;류다은;박승묵;고병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5-237
    • /
    • 2021
  • 코로나 19로 대학교 강의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기존의 교수학습 지원센터는 웹 환경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강생들이 교수학습 지원센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학생들의 강의 시간 및 시험, 과제 등의 일정을 관리해주고, 푸시 알림을 제공해주는 학습 도우미의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다크 모드, scroll-to-top 버튼 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학습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의 가장 핵심기능 중 하나는 머신러닝 기법 중 비선형 회귀(Non-Linear Regression)을 이용해 성적 데이터를 분석해주는 차별화된 기능이다. 이를 위해 최종적인 성적을 종속변수, 일정 기간까지의 성적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기존의 성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속변수인 최종성적을 랜덤 포레스트 비선형 회귀분석으로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함수 단원 학습과제 분석: 융복합목표.방식.맥락에서의 접근 (The Didactical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Function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Yungbokhap Education)

  • 박모라;주미경;문종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135-1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인정 수학교과서 13종의 함수단원 학습과제를 융복합 목표, 융복합 방식, 융복합 맥락 차원에서 양적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과 차원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함수단원의 학습과제는 융복합 목표와 관련해서는 도구의 상호작용적 역량, 융복합 방식에서는 단학문적 방식, 융복합 맥락 차원에서는 개인적 맥락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적 요소를 포함하고는 있지만 도입의 수준 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다양한 융복합교육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학습과제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학습 상태에 기반한 맞춤형 난이도 측정을 위한 척도 설계 (A Design for the Personalized Difficulty Level Metric based on Learning State)

  • 정우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67-75
    • /
    • 2020
  • 난이도는 학습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난이도 기준은 컨텐츠 제공자가 획일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컨텐츠의 지식을 정형화하고 일반화한 후, 이를 실험하기 위한 객체 모델과 맞춤형 난이도 척도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한 도구를 이용하여 100개의 음악 교육 컨텐츠와 20명의 학습자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서 정의한 지식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맞춤형 난이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안한 접근법은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스퍼드빌: 제2언어로서의 영어학습을 위한 마인크래프트 게임 설계 (Spudsville: Designing a Minecraft Game for learning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백영균;김정겸;샘 아이젠버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3-15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인크래프트의 몰입형 게임 환경인 스퍼드빌을 디자인하여 학습자가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돕는 것이다. 마인크래프트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만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모델과 디자인 사고 접근법을 채택했다. 우선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이후의 분석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연구자들은 인지주의 학습 모델을 스퍼드빌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고 한편으로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 접근 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또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을 통하여 영어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임기반학습이 언어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