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35초

제7차 교육과정속의 통계교육

  • 이상복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3
    • /
    • 2003
  •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수요자(학습자) 중심 교육의 구현과 교육 공급자(학교)는 학습자의 적성, 능력, 흥미, 진로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개방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주체인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생활에 필요한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제7차 교육 과정의 핵심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어 2002년 고등학교에서 처음 실시한 수학과교육과정 속의 초등 및 중등학교 통계교육과정의 개요와 특성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한다.

  • PDF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7
    • /
    • 2001
  •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철학이 도입되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중심교육과정보다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표출된 배경, 성격 그리고 목표에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의의를 찾고 그 과제와 전망을 논의하였다. 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이 실생활 소재로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성과를 위해서는 현대과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요소를 고려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실생활 맥락을 교육적이고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과학과 일상생활 맥락의 차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구명이 요청된다.

  • PDF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오해와 진실 (Misunderstandings and Truth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81-94
    • /
    • 2008
  •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의 신념은 여전히 이전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에 적합한 신념들을 형성하고 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교사들은 자신의 신념을 바뀌어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패러다임적 전환이 이루어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들이 형성해야 할 신념들 중 학습자관, 차시별 학습목표, 교육과정상의 모든 지식의 지도가능성, 학급당 인원수, 학업성취도 등 몇 가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런 논의가 학습자 중심 수업의 실천을 더욱 강조하는 2007개정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학습자 중심의 웹 기반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의 개발 (Learner Centered, Web-Based Integrated Virtual Education System: CyberClass)

  • 문석원;박경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97-3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통합 가상교육시스템 CyberClass를 설계하고 구현한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가상교육시스템은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적당한 상호작용 모델을 제시하지 않고 기능면에서의 사용도구 및 방법만을 제시함으로써 각 기능들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교육 방식인 강의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가지는 현장감이나 친밀감에서 오는 커다란 교육적 이득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가상교육시스템 CyberClass는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호작용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된 모델에 기반하여 학습자와 교수, 학습자와 학습자 나아가 학습자와 가상교육시스템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모델에 기반함으로써 학습 참여도나 학습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yberClass는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위해 비동기공유 기공과 동기고유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 이들의 공유 기능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직관적인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기능의 다양성에 따른 학습의 부담을 줄이고 자연스런 학습과정이 유도되도록 하였다.

  • PDF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Curriculum that Applies Team-Based Learning)

  • 김재엽;이웅균;조민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21-432
    • /
    • 2021
  • 최근 대학에서는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인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대학의 강의 운영현황 및 팀기반학습 강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팀기반학습 강의의 학습절차, 주차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방안 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은 국내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각 대학에서는 대학별 교육여건과 교수자 및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료공학 실험실습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Laboratori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김은경;정운룡;박철민;배동현;민동준;이우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43-57
    • /
    • 2007
  • 공학교육의 패러다임은 학습내용, 학습결과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학습자, 학습과정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실험 교과목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부 2, 3, 4학년 전 과정에 걸친 실험 교과목의 교육과정 개발의 맥락 속에서 2학년 실험 교과목을 전공기초 지식 습득 및 기초실험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학습자 중심 교과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우수대학 재료공학과의 실험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고 학생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였다. 개편된 기초실험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내용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학생들로부터 비교적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분야의 SSC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be SSC(Subdivided-Selective Curriculum) in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University Education)

  • 송태옥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100
    • /
    • 2005
  • 대학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은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대학의 경쟁력과 학습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평가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인 과목 중심의 운영 방식인 현재의 선택 방식을 개선한 SSC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측정해보았다. 그 결과, SSC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SC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A Teacher's Cognizance Chang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ho Implement it)

  • 김진호;이소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105-121
    • /
    • 2008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기본정신으로 하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선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수업은 전통적인 교사중심 수업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수업에 익숙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충실하게 실천한다는 것은 대단한 도전이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천하면서 자신이 형성하고 있던 아동관, 교과서관, 교사관 등에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진술하고 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위한 수업자료의 몇 가지 특징 (On Som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189-199
    • /
    • 2012
  •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수학교과서에 제공되어 있는 수업자료로 수업을 할 때 학습자 중심 수업의 진면목이 들어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실천에 옮기기에 적합한 수업자료가 지녀야 하는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 개발시에 본 고에서 논의한 특징들이 반영된 수업자료가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태블릿 PC 기반의 PBL 학습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Tablet PC-based PBL (Problem-based Learning) System)

  • 나혜정;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6-101
    • /
    • 2007
  • u-learning (Ubiquitous Learning) 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어떤 단말기로도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 가능해야 한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태블릿 (Tablet) PC는 펜을 주로 입력 매개로 활용하고, 음성을 인식하여 이를 문자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초등교육 현장에 적합한 단말기이다. 또한 PBL (Problem-based Learning)은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력과 비판적 사고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형태로 태블릿 PC 기반의 PBL 학습시스템은 u-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실현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PC 기반의 PBL 학습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의 프로세스를 프로젝트의 목적 및 과제 파악 단계, 학습계획 수립단계, 자료의 수집 및 정리단계,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의 학습자의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둘째, 태블릿 PC 기반에서의 학습 활동에 서투른 학습자도 직관적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에 아이콘을 적절하게 활용한다. 셋째, 태블릿 PC에 펜이나 음성으로 입력된 자료를 문자, 도형, 이미지로 손쉽게 저장하고 축적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피드백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게시판, 자료실, 통합 메시지함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