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위주 교육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Learner's Satisfaction Survey and Analysis in the University Cyber Education (대학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 및 분석)

  • Kim, Chang-Su;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1476-1481
    • /
    • 2010
  • Cyber education community in the digital era is going on across all areas of knowledge accumulation rate of acceleration of the demand for retraining and lifelong learning can effectively accommodate. Therefore, new teaching methods in the future as consumer-driven 21st century is expected to settle into the main education system. However, to properly interact with people due to lack of feedback delay, reading and writing intensive courses is detrimental to the environment caused by a particular student, and Computer skills are based on computer-related technology to disadvantage poor students, and many have problems. In this paper, recent university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requires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in an environment that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were evaluated, and Improvement of cyber education will be studied.

A Development of the Remote Teacher's Training Cyber System Applied by CBD Methodology (CBD 방법론을 적용한 원격교원연수 시스템의 개발)

  • Her, Young;Kim, Won-Young;Kim, Chi-Su;Kim, J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85-488
    • /
    • 2000
  • 인터넷을 통한 웹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은 상호작용 중진을 통한 학습자 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해왔고, 그 결과 학습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교육 시스템에 한정하여 시스템개발에서 운영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경제적, 교육적 효율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시스템 개발에서는 주요 모듈의 컴포넌트화를 시도하여 재사용성 증대를 통한 설계 기간 및 비용의 감소를 이끌어내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육학적 기반으로 구성주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Children's verse learning system in discretion activity (재량활동시간에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i, Joo-A;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46-251
    • /
    • 2007
  • 독서 교육은 종래의 종이책 위주의 독서에서 종이책과 인터넷의 멀티미디어를 병행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재량활동 시간에 독서관련 활동을 선택하는 학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각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웹을 활용한 독서지도프로그램이 많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위인전이나 동화, 영어이야기 등의 분야는 웹을 활용한 여러가지 활동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초등학생을 위한 동시를 즐길 수 있는 내용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종래의 동시지도는 주로 교사와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연상함으로써 동시를 학습(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재량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about Error Classification Method for Web-based Virtual Experiments (웹기반 가상 실험을 위한 오류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 이건민;백광운;김갑수;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98-600
    • /
    • 2001
  • 기존의 웹기반 가상실험 시스템은 단방향적 학습내용 제시 및 학습자의 반응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과학실험에서 범하기 쉬운 오류들을 학습자가 스스로 진단하고 수정할 수 있는 과정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가상실험 사이트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사고하고 변인을 조작하며 피드백을 통한 오류를 분석, 분류 및 수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가상 실험에서 학습자들이 겪게 되는 오류발생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여 피드백과정을 거쳐 오류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가상공간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상실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가상실험 학습의 장점 및 그와 연관된 오류분석 및 피드백의 의미를 7차 교육과정과 관련되어 기술하였으며, 시스템을 인터페이스 프로세스, 오류체크 프로세스, 오류분석 프로세스, 오류기록 프로세스, 오류제어 프로세스, 피드백 프로세스로 구성하였다. 또한 현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의 한 단원을 선택하여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먼저 국내 및 국외에서 웹기반 학습과 관련된 가상실험 사이트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한 학습내용 제시와 실험결과 위주의 평가를 중시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시스템의 학습자는 이와는 달리 실험결과 뿐만 아니라 실험과정의 오류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받아 스스로 오류를 분석, 수정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Adaptive Navigation Support Technology for Individualized Cyber Learning System (사이버 교육 시스템에서의 개별학습을 위한 적응적 탐색 지원 기법 연구)

  • Park, Jongsun;Kim, Ki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5 no.1
    • /
    • pp.85-98
    • /
    • 2002
  • In this study, We are developed learner traits analysis and profile management software modules to develop learnable courseware fits to learner's individual traits in cyber learning system. We specified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portfolio information as learner's traits variables in this study, these four types of information are managed in learner profile management DB based on elaborate analysis to learner's traits. And we consists of curriculum sequencing module using high and low level sequencing technology, these are used in organizing learning contents sequencing with learning topic and specific learning task. The advice algorithm module developed based on adaptive navigational support and rule based technology. This Result of Research are able to be used for develop learnable courseware fits to learner's individual traits in cyber learning systems.

  • PDF

Design of Problem-Based Blend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Software Adaptability (응용소프트웨어 적응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의 B-러닝 설계)

  • Kim, Sun-Nam;Yoo, In-H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129-134
    • /
    • 2007
  • 학교 현장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여전히 시범실습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은 더욱 그러하다. 소프트웨어는 끊임없이 개발되거나 업그레이드 되고 있어 가르쳐야 할 내용이 많아져 새로운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즉 문제사태에서 필요한 기능을 찾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다른 응용소프트웨어에 전이 및 파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 중의 하나가 구성주의 학습 원리에 부합한 문제중심학습이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학습의 장점을 혼합한 B-러닝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응용소프트웨어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글 워드프로세서 학습내용을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문제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학급커뮤니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문제중심의 B-러닝에 적합한 학습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문제중심의 B-러닝은 구성주의 학습 원리에 적합한 실생활의 문제를 학습내용으로 하고 면대면 교실수업의 장점과 온라인 학습의 장점을 혼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탐구학습을 하는 것이므로 응용소프트웨어의 적응력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Supporting Component on Web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교수지원 컴포넌트의 구현)

  • 길준형;신호준;김성원;김행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67-669
    • /
    • 2001
  • 현재, 사회가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교육분야에서 컴퓨터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교실위주의 수업보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 되는 WBI(Web Based Instruction)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WBI에서는 교수의 강의가 끝나면 수업 평가 후 학생에게 수업의 결과를 알려주는 형식이었고, 도한 학습자에게는 일률적으로 평가가 적용되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할 수가 없었으며, 교수의 입장에서도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수업의 질을 높이거나 내용을 변경시킬 근거가 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수준별 학습을 위한 단계별 예비 테스트와 학습 후 테스트의 평가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또한 교수가 평가의 준거를 입력하고 학습자의 평가결과와 교수자의 평가준거를 비교할 수 있는 교수지원 컴포넌트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이 되고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과목을 변경할 경우, 그 결과에 따라 교수 방법의 변화나 수업내용을 변경하고자할 때 용이하다. 또한 유사한 다른 패러다임의 WBI 시스템에서도 이미 개발된 컴포넌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net-based and Essay-typed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인터넷 기반 논술형 수행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won, Bo-Seob;Kim, B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9
    • /
    • pp.1711-1716
    • /
    • 2008
  • The recent change of educational evaluation puts particular emphasis on performance assessments which can appraise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learning results.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not only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ut also for making the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 to learners themselv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system to support the internet-based and essay-typed performance assessment, in which student's performance can properly be evaluated. Teachers can be relieved from the burden of testing and provided with convenient methods of evaluation.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by evaluating practical usages of selected instructors and students group.

A Study on Learner's Recog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Model Using EXCEL VBA (EXCEL VBA를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 교육 모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연구)

  • Park, Youn-Soo;Lee, Minje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2
    • /
    • pp.41-51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practicality of EXCEL VBA will be beneficial for SW education for SW non-majors. To this end, we planned the education for non-majors using the EXCEL VBA and conducted 15 weeks of education. According to a follow-up survey conducted after the 15-week education period, 72.21% of the survey respondents said EXCEL was practical. Also, learners who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SW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SW competence recognized that the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using EXCEL VB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mputer-re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Also, learners recognized that learning with EXCEL was easy, while learning with VBA was difficult. The learning process using VBA needs to be composed of project-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give a sense of achievement to learners rather than programming-oriented education. And continuous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is needed.

Desig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수행평가시스템의 설계)

  • 문상호;정부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57-660
    • /
    • 2002
  • 현대 사회의 교육은 교사 중심의 단순한 지식 전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전환하고있다. 교육 평가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암기 위주의 지필 평가에서 학습자의 수행과정과 산출물을 평가하는 수행평가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행평가에서는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육과 연구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만큼 과중한 업무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수행평가 업무를 기존의 교무업무지원시스템과 연계하여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복 입력 작업 등의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행평가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으로 수행평가 계획에서부터 최종 출력물까지 일괄처리 및 중간 입력 확인 과정을 생략하여 수행평가와 관련한 교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 교사 본연의 가르치는 업무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영역별 성취 결과를 서술적으로 기술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문제점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