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을 위한 평가

Search Result 2,7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loration of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Features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PCK during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Lessons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행평가 사례를 통해 탐색한 교사의 수행평가 실천 특성과 PCK 사이의 관련성)

  • Kang, Nam-Hwa;Kim, Minj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291-30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how the featur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implemented during integrated science classes are related to teachers' PCK.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four high school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s, interviewed them, and surveyed their PCK. An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the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s differed in terms of assessment of process, diagnosis of student learning progress, feedback, degree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use of assessment criteria. In particular,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assessment actively and use of assessment for learning varied across teachers. Also, relational patterns among science teaching orientations, PCK and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s were found. When a teacher aimed at teaching for both academic learning and scientific literacy, sophisticated PCK was shown and assessment practices were complex accordingly. When scientific literacy was emphasized PCK highlighted experiential learning and assessment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learning activities. In contrast, when academic achievement was emphasized traditional teaching strategies and assessments were highlighted. Based on these findings a number of topic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suggested including strategies for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assessment, use and development of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strategies for assessing performance qualities, and intuitive assessment competency development. Further research topics are also suggested.

Implementation of an Item Pool System with XML (XML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의 구현)

  • 김일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5
    • /
    • 2003
  • 사이버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교육 방식을 보조하거나 대체하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자들을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에 비하여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JSP 와 JDBC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 은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학습 평가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 표현을 위하여 XML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객관식 문제의 난이도 조절을 위한 피드백 및 단답형 주관식 문제에 대한 채점방식에 대한 고려를 평가 시스템 설계에 포함하였다. 문제은행은 문항의 형태, 내용, 난이도 등을 포함한 문항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보다 정확한 학습 평가 시스템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 분석)

  • Jeong, Sun-Kyeong;Park, Nam-Su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158-17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For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were select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designing Instructional procedures of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Peer evaluation types and questionnaire design, Peer evaluation progress of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Class satisfaction research and analysis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articipants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selected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classes. For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68 participants A University in Korea. The research tool was designed as Learning procedures for peer evaluatio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is Team Building, Plan to the Task, To do Task, Mid-check on task, Task completion, Presentation & Evaluation, Reflection & Self-Evaluation.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was confirmed by CVR of 12 experts. In the research results, the average class satisfaction of peer evaluation is 4.05(SD=91), followed by class concentration, diligence, voluntary, learning atmosphere. As a result of t-testing the difference in class type between collaborate learning-based classes, the satisfaction of PBL was higher than that of PjBL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and operation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peer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using convenience.

A study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use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및 예측 수행평가 시스템 연구)

  • Kim, Hyun-Jeong;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677-678
    • /
    • 2008
  •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업성취도의 평가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그래프로 표현하며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예측 결과로 자신의 학습의 준거 별 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Learner Tailoring Question Recommendation System for Web based Learning Evaluation System (웹 기반 학습평가를 위한 학습자 중심 문제추천 시스템)

  • Jeong, Hwa-Young;Kim, Eun-Won;Hong, Bong-Hwa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5 no.4
    • /
    • pp.68-73
    • /
    • 2008
  •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a learner tailoring question recommendation system for web based learning evaluation system. For teaming evaluation process, this system used the item difficulty Each question was stored and managed to the question bank. Item difficulty was recalculated during teaming process and feedback in next course. For learner tailoring question recommendation, learner could choice the teaming part and set the learning difficulty. In application result of proposal method, almost learner could improve learning score by controling teaming difficulty.

HS-eLearner: A Tool for English Learning and Evaluation of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HS-eLearner: 영어 학습과 영한번역 시스템 평가를 위한 도구)

  • Kim Sung-Dong;Park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629-63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영어 학습을 도와주고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평가를 통해 기계번역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도구인 HS-eLearner를 설계, 구현하였다. HS-eLearner는 영어 문장의 번역 뿐만 아니라 입력 문장의 구조,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번역된 문장을 평가하여 사용자에 의한 객관적인 번역 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개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번역 시스템의 성능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개발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의 개선을 용이하게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STS Learning (STS 학습을 위한 웹기반 수행평가의 설계 및 구현)

  • Ryu, Sang-Ki;Han, Kyu-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301-306
    • /
    • 2006
  •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정과 기술을 강조하는 STS 교육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소통과 정보 수집을 하고 자료를 의미 있게 종합할 수 있는 웹기반 교육을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학생의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 등 고등사고 기능을 파악하고 신장시키기 위한 수행평가 또한 STS의 수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일반적인 STS 수업을 적용한 학급과 웹기반 교육의 장점과 수행평가를 가미한 STS수업을 적용한 학급의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여 STS학습에서 웹기반 수행평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STS 학습을 지원하는 수행평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 Choe, Seung-Hyun;Cho, Seong-Min;Ryu, Hyun-Ah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135-145
    • /
    • 2012
  • In this research, we observed how students perform as they followed the teachers' instruction, and consequently perform their realized potential. As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is emphasized, various attempts try to disconnect the vicious cycle of producing low achievers. Efforts are allocated into developing a method to minimize cumulative effect of the lag in educational benefit by focusing on the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and assessment criteria were developed. These criteria were used to standardize the course and assessment objectives for 4th through 6th grade students' mathematics studies, and to assess lower performing students and the lag in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assessment criteria can be expected to lead lower performing students by giving them the personalized lesson plans to minimize the lag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eventually expedite their progress and prevent cumulative effect of the lag in the following curriculum.

Data selection method for Incremental learning using prior evaluation of data importance (데이터 중요도의 사전 평가를 이용한 증가학습을 위한 데이터 선택 방법)

  • 이선영;조성준;방승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39-341
    • /
    • 1998
  • 다층 퍼셉트론 학습은 학습 데이터의 능동적인 선택 여부에 따라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과 피동적 학습(Passive learn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의 능동적 학습 방법들은 학습 데이터의 중요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measure)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따라 학습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방법들은 학습 데이터 선택을 위해 Hessian Approximation과 같은 복잡한 계산이나 학습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서 데이터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반복적인 계산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데이터 선택 시 반복적인 계산이 필요하지 않는 비교사 학습을 이용한 능동적 학습 데이터 선택 방법을 제안하고 그 수렴 특성과 일반화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능동적 학습방법보다 간단한 계산만으로 수렴 속도를 향상시키며 일반화에도 뒤떨어지지 않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