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설계

Search Result 4,59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mote Lecture for Network Environment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원격강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고대영;류광렬;김정태;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311-314
    • /
    • 2004
  • 본 논문은 학습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전송속도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원격강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Windows Media의 스트리밍 대역폭을 300k, 80K, 22K로 제공함으로서 학습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였다. 본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을 극복한 가상강의에서 학습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함으로써 재수강의 용이성에 초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Algorithm Learning with Squeak Etoy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Squeak Etoys 활용 알고리즘 학습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Jeoung, MiYeoun;Lee, EunKyoung;Lee, YoungJu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3 no.2
    • /
    • pp.170-191
    • /
    • 2008
  • Many former researchers demonstrated that algorithm learning has a positive outcome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One of the methods for algorithm learning, the 'programming learning' method is highly effective. However, there are numerous constraints in schools for programming learning. This study attempts to overcome these issues. Squeak Etoys, one of the educational visual programming languages for easy and interesting learning, has been selected as a learning tool. We developed the algorithm-learning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learned on the basis of equal curriculum but, they used other learning tools through over a total 6 sessions. The result showed that Squeak Etoys based Algorithm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iddle school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self-efficacies and logical thinking abilities. Although the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improved a lot more than the students' abilities in control group, the students' logical think abilities in the both groups are improved. Therefore, algorithm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re necessary. In conclusion, Squeak Etoys based Algorithm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efficacy. The developed curriculum can be applicable as a basis for study on algorithm learning an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DA Learning System for Ubiquitous Learning (유비쿼터스 러닝을 위한 PDA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ee-Young;Lee, Young-Seok;Cho, Jung-Won;Choi, Byung-U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9-37
    • /
    • 2005
  • 유비쿼터스 러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결과 관리와 다양한 기기에 적합한 콘텐츠 표현 방안 그리고 이 기종 시스템들 간의 동기화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DA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PDA 상에서 학습을 할 수 있게 한 후,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서버로 동기화 할 수 있는 PDA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PDA 학습 시스템은 학습을 위한 PDA 어플리케이션과 학습 결과 처리를 위한 PDA 서버로 구성된다. PDA 서버는 XML형태의 문제 파일을 생성하고, PDA 어플리케이션에 이를 제공하며, PDA내의 학습 결과를 서버의 학습 결과와 동기화 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해 나간다면 유비쿼터스 러닝을 실천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lan th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Computer literacy levels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수준별 교육과정 설계)

  • Kim, Ae-Kyung;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7-280
    • /
    • 2002
  • 정보과학의 발진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가장 기초적인 정보 과학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행 중등 컴퓨터 교육은 어떠한 교과보다도 창의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및 개별학습이 필요하다. 컴퓨터 활용을 위한 교육보다는 컴퓨터 과학으로서의 컴퓨터 교육이 필요할 뿐 아니라 학생의 학습환경, 학습동기 및 흥미, 선행학습정도, 교과 수업의 참여도 등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능력 차이를 고려한 학습자의 개인의 학습능력에 맞는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 교육에서의 컴퓨터 과학으로서의 교육효과를 위해 학습자 학습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하였고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을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인 웹에서의 학습 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support system learning on the spot using PDA (PDA를 이용한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ong, Hwan-Sang;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84-292
    • /
    • 2005
  • 본 연구는 PDA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현장학습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해 보고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동 스스로 현장학습을 다녀올 수 있도록 하여 초등 사회과 현장학습을 보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부가적으로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 및 개발 방법을 연구하는데 2차적 목적을 두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 Stepwise Learning Model for Learner-based Solving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Remote Instruction (학습자 중심의 수학문제 풀이를 위한 원격강의 단계학습 모텔 구현)

  • 조우제;이춘근;김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67-3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웹 상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필요로 하는 수학의 개념적 학습을 멀티미디어 체계적인 웹 기반 코스웨어 설계모형을 제시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으로 원격지에서 멀티미디어 요소를 웹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수학문제 풀이 원격교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는 웹 기반의 수학 코스웨어(Coureware) 및 텍스트 모드로 제작 설계되었다. 이 수학 문제 풀이 원격교육 시스템은 자기 주도적 수학문제 푼이 단계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sign & Implemention of a Web Based Music Courseware for Using Flash (플래시를 이용한 웹 기반 악보제작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이영경;우종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19-822
    • /
    • 2003
  •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인터넷은 교수-학습 도구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타 교과 교육과 마찬가지로 음악교육에서도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음악교육이 의미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악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수방법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플래시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와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된 학습내용은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로 진행되도록 설계 구성하였으며 학습내용의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텍스트위주로 학습할 때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래시를 음악교과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학습효과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ole Playing Edugame based on STS Learning (STS 학습을 기반으로 한 롤플레잉 에듀게임의 설계 및 구현)

  • Yun, Hong-Chul;Han, Kyu-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35-24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수준차가 심한 다인수 학급 체제에서 STS 학습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보완할수 있는 롤플레잉에듀게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학습자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롤플레잉 에듀게임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문제해결력을 비롯한 학습목표 도달 가능성을 높이고, 이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 및 자신감, 성취동기 등을 높일 수 있도록 과학과 STS 학습에 적용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Case Research on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PO)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PO)에 대한 교육요구도 사례 연구)

  • Park, Ki-Moon;Lee, Kyu-Nyo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4 no.3
    • /
    • pp.38-4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decision making that can be used to improve curriculum of engineering education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at educational needs of ${\bigcirc}{\bigcirc}$ university' engineer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gineering students surveyed valued much of the necessity of PO2(analysis experiment), PO3(design capability), PO6(teamwork) among program outcom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ngineering students surveyed thought their ability was low in PO3(design capability), PO4(problem solving), PO10 (knowledge of current ev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educational needs about program outcomes was PO3(design capability), PO2(analysis experiment), PO1(knowledge application), PO5(practical ability), PO4(problem solving) which suggested that engineering students surveyed had high educational needs for engineering program outcom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ngineering students surveyed showed lower awareness of PO7, PO10, PO11 which had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It is necessary that systematic establishment of course completion system in basic design, element design and comprehensive design by giving weight to design education that aims to strengthen design capability should be made in curriculum of engineer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in educational needs about program outcomes especially in PO1(analysis experiment), PO4(problem solving), PO5(practical ability), PO6(teamwork)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specialty and therefore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curriculum. It is judged that operation of flexibl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arranged if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regular curriculum Is limited.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and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On-line Learning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 (공과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 능력 및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와의 관계)

  • Kim, Mi-young;Choi, Won-Si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1 no.1
    • /
    • pp.110-12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in on-line learning. After a four-year university course was construc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open on-line courses for a semester, in ord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an analysis of system log files and notification of the number of bulletins were performed. The result indicates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that learning style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s to the learning style, researchers expected most students would be convergent, but 63.4 per cent of students (52 students) displayed dispersion. In conclusion, when on-line learning is designed, a prope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ill help better learning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