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도구

Search Result 1,98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ool Utilization Strategy for Using Block Programming Language as a Preceding Organizer for Text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을 위한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행조직자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 활용 전략)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95-39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행조직자로 하여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는 도구 활용 전략을 연구하였다.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는 파이썬이며,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는 엔트리, 활용하는 도구는 주피터 노트북으로 선정하였다. 주피터 노트북을 활용한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 선행조직자 학습 전략은 code cell에 IPython.display.IFrame 클래스를 활용하여 결과 창에 엔트리 작업환경을 불러와 선행조직자로 제시하여 엔트리를 학습 후 code cell에서 파이썬으로 학습한다. 주피터 노트북을 통해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행조직자로 제시 후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시함으로써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할 때 인지적 부담을 줄어들고 긍정적 전이가 일어나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va Lab Algorithm Education usi ng an Avatar Robot (아바타 로봇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 : AvaLab)

  • Park, Sun-Hwa;Kang, Ki-Jun;Seo, Y대ng-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13-116
    • /
    • 2009
  • 현재 우리의 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의 보조 도구로써 교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별로 많지 않다. 그래서 AvaLab은 이 시점에서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AvaLab은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을 위한 GUI 프로그래밍 도구이며, 현재의 교육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을 키우기 위한 한 도구로써 교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하려면, 먼저 학습자는 프로그래밍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아이콘 기반의 AvaLab을 통하여 프로그래밍한다. 프로그래밍 후에 학습자는 로봇의 결과를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다. 만약 그 결과가 정확화지 않다면, 로봇은 피드백을 보일 젓이다. 그러므로, AvaLab은 초보자를 위한 도구이며, 7차 교육과정에 적합한 도구이다. AvaLab의 특징 중 하나는 아이콘 기반의 흐름도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학습자는 입력과 출력 센스를 갖는 로봇을 이용해 실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Association of Outplacement Convergence Educ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전직융합교육과 전환학습의 연계)

  • Wee, Young-Eu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3 no.2
    • /
    • pp.15-2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the meaning and process of learning. Transformative learning explains that learning takes place in three aspects. First, Instrumental learning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based on facts, such as hypothesis testing. Secondly, Communicative learning recognizes the meaning of other people's thoughts or social norms, cultures and values through language. Thirdly, emancipatory learning makes through critical self-reflection by understanding oneself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and cultural assumptions. The implications of outplacement convergence education, is that main purpose of outplacement education is to build theory and shift the perspective to learning conversion in general operation practice. The content of the outplacement convergence education is that it should shift from instrumental learning to communic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Analysis and Design of Course Development Tool on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학습 컨텐트 관리 시스템을 통한 코스개발 도구의 분석 및 설계)

  • Goo, Eun-Hee;Jung, Rhan;Kim, Hae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55-258
    • /
    • 2002
  • 최근에 학습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교수설계와는 달리,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도를 판단하거나 관리, 동료들과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학습 컨텐트 관리 시스템(LCMS: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는 컨텐트 관리와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 관리를 한데 묶어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즉 새로운 컨텐트 묶음을 생성하고, 학습객체(LO: Learning Object)를 통한 코스개발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객체를 통한 코스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도구의 분석 및 설계 경험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웹 기반 CDT-L(Course Development Tool-LCMS)의 분석 및 설계를 위한 기능, 비기능 요소를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학습 객체의 생성, 분해 조립을 통해 학습코스를 작성함으로써 수업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리 개별적 요구에 컨텐트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학습 객체를 통해 코스개발 도구의 분석 및 설계를 함으로써 비용과 효율성을 보장하며, 학습 컨텐트의 중복을 피하고 학습과정 개발의 효율성을 가지게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WeDo 2.0 in Elementary School as a Tool for Robo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t Learning (구성의 학습원리에 기반한 초등 로봇 교육 도구로서의 WeDo 2.0 활용가능성 탐색)

  • Park, Hyeran;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79-182
    • /
    • 2017
  • 로봇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2019년부터 초등 실과 교과에 로봇 교육이 포함된다. 그러나 일부 초등학교에서 현행되고 있는 로봇 교육은 학습자가 완성된 형태의 로봇을 조작하는 데 그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어긋난다.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따르면 학습자는 각자에게 의미 있는 독창적인 모델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야만 진정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기반한 초등 로봇 교육의 도구로서 WeDo 2.0을 소개하고 로봇 교육 도구로서 WeDo 2.0이 갖는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WeDo 2.0은 학습자에게 첫째, 자발적 학습환경, 둘째, 창의적 학습환경, 셋째, 체계적 학습환경, 넷째, 통합적 학습환경, 다섯째,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향후 초등 로봇 교육에서 WeDo 2.0을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Using Multimedia Authoring Tools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한 고찰)

  • Kim, Min-Sung;Kim, Yoon;Park, Su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1
    • /
    • pp.1-8
    • /
    • 2010
  • Computers can intensify the students'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in class, therefore, computers can be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tools for the study of problem solving and have been also recognized as a representable study method in the information age, which can pass on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 to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Mutimedia producing tool helps us develop and maintain the educational courseware by way of using general technology of multimedia system. In this thesis, it presents the efficient development process of educational software by using mutimedia producing tool, its educational advantages and problems, and its future progress direction as well.

Development of e-Learning Platform based on Linux -e-Learning Contents Design Module with ISD Model- (리눅스 기반 인터넷 원격 교육 시스템 개발 - ISD Model 지원 교육용 컨텐츠 설계 모듈 -)

  • 성평식;박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5-183
    • /
    • 2001
  • 지난해부터 인터넷 분야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을 갖춘 사업 분야로 e-Learning 분야가 손꼽히면서 많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우후죽순처럼 등장해 이미 1,000여 개의 서비스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은 무엇보다도 학습용 컨텐츠의 품질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 할 때 한국의 온라인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부실하기 이를 데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는 S/W 공학에서 S/W 품질 보장을 위해 개발 방법론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Method II등 여러 도구들이 보급되고 있는데 비해 학습 컨텐츠는 그 중요도와 개발이 복잡하고 정교함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개발방법론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없음에 기인하는바 크다 할 수 있겠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MacroMedia Director나 ToolBook, Authorware등 일반적인 저작 도구나 웹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Dreamweaver등의 HTML Editor만 있으면 컨텐츠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육 학습용 컨텐츠의 개발 주기를 살펴보면 요구 분석->교수 설계->저작->평가->배포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사실 요구 분석과 교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게 되며 이 학습 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IT 분야 지식보다는 오히려 교육 공학적 지식이 더욱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 단계의 절차적 복잡성과 전문성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들이 제대로 개발 주기를 거치지 못하고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motivating efficacy scale for mathematics teachers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Somin Kim;Hee-je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6 no.2
    • /
    • pp.159-184
    • /
    • 2023
  • In this study, after defining motivating efficacy operationally, we developed a draft of the Motivating Efficacy Scale for Mathematics Teachers (MESMT), a measure of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ng efficac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Delphi survey, and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online survey responses from 347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easure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deletion of 17 items from the initial 42 items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Delphi survey and the identification of four factors (Providing successful experiences, Eliciting attention and engagement, Creating mathematics case-based relevance, and Providing extrinsic rewards), resulting in a final MESMT of 25 items. The MESMT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ng efficacy,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many subsequent studies to understand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ng efficacy and improv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motivat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 an Internet-Based Courseware (인터넷 기반의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Lee, Geon-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 no.1
    • /
    • pp.82-91
    • /
    • 1997
  • The purpose of thesis is to design and implement an efficient Internet-Based courseware which facilitates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This courseware was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important foundations of learning in open-education environment using WWW. The targeted level is elementary students, To do this, the definition of problem solving, its processes, and advantages or pitfalls of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were examined, with the advantage of using WWW as an educational tool. The theme of implemented courseware was selected from SATIS which is relevant for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The courseware has three main parts; learning activity module, teaching activity module, and learning tool module. The learning activity module controls courseware flows and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based teaming processes. It: can be proceeded either sequential way or random access by setting linker. The advantage of random accessing method is that it may facilitate student learning because each student can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es which correspond to their own experiences. The teaching activity module provides for teachers useful informations for helping student's learning and it also can be used as an assessment tool for student's achievements, The learning: tool module consists of conversational note, e-mail address, help, and search tool. It is linked with learning activity module and teaching activity module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 PDF

Developing a Mobile Tutorial Tools Using 3D Modeling Technology on Tooth Carving for Dentistry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 Park, Jong-Tae;Park, Sa-Beom;Lee, Jeong 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2
    • /
    • pp.546-557
    • /
    • 2016
  • Tooth carving practice is required for novice learners in dentistry to understand dental morphology and acquire clinically underlying skills. Tooth carving practice is more effective when sequential models can be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ooth carving practice model and to develop a mobile practice supporting tool based on tutorial providing 3D modeling information about steps of tooth carving. As a result, tooth carving practice model consists of the class activity including tooth information lecture and practice and mobile seamless learning connecting learners' practice and regular learning with the mobile tutorial tool. The mobile tutorial tool is implemented with tooth morphology dictionary, tooth carving practice/training tutorial, and 3D tooth modeling. The experts' evaluation on the developed contents shows that the content and function are valid(content validity: 5.0, interface validity: 4.53). Therefore, the mobile tutorial tool is suitable for supporting mobile seamless learning for tooth carving practice. Further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utilizing ICT and mobile contents in dent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