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결과

Search Result 14,82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eam Based Learning Experience and Effect on Study of Preliminary Learners on Medical Terminology (예비학습자의 간호영어 팀 기반 학습방법의 학습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 You, So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101-1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 and effect the learner - centered team - based learning (tbl)method has on pre - nursing learner's nursing English course. Participants were 12 preliminary nursing learner, it was analyzed through learning result recording, study observati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er's report, peer evaluation.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individual and team sco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aired-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each team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individual in both. The tbl experience has been a form of intimacy with colleagues, a motivation for learning, self-study, easy to learn the medical terminology felt through repeated learning, to improve their score by having them secondary group test and they remembered it as a pleasant learning time.

한글 단어를 발음 기호로 변환 시키는 인공신경망에 관한 연구

  • Yang, Jae-U;Kim, Doo-Hyeon
    • ETRI Journal
    • /
    • v.10 no.3
    • /
    • pp.113-124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한글 단어를 발음 기호로 변환시키는 인공신경망의 설계와 이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대하여 논한다. 이 인공신경망은 multi-layer perceptron 구조를 가지며 error back-propagation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 인공신경망에 한글 발음 사전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시킨 결과, 학습한 단어에 대하여 최고 97%의 정확도로 변환 작업을 수행하였고 학습하지 않은 단어에 대해서는 91%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설계된 인공신경망이 발음 사전 내에 포괄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발음규칙을 스스로 학습하였음을 나타낸다. 아울러 신경망의 학습 성취도와 입력 코드와의 관계도 연구하였는데, 한글단어를 발음기호로 변환하는 데에 있어서 compact 코드 보다 local 코드일 때 학습 성취도가 높은 것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 PDF

Design of a Web-based education system for engineer test (기사 시험을 위한 웹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 류희열;김은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79-68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산업 기사 시험을 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 기사 시험에 맞는 새로운 문제 출제 방식을 제시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각 문제에 대한 새로운 자동 난이도 조정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문제 출제에 있어 단원과 난이도에 따라 골고루 문제를 출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각 문제의 난이도를 조정함에 있어 학습자 개인 또는 단체의 학습 능력을 고려한 새로운 자동 난이도 조정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시스템은 학습자가 기사 시험을 준비함에 있어 스스로 학습,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즉시 확인하고 재학습을 할 수 있다.

  • PDF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 Jeon, Me-Ae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8 no.2
    • /
    • pp.240-26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as life-long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42 students majored science and engineering in H university of Chung-nam province to participate in tak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sts and Kolb's learning styl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overall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s 3.41, which is possibly regarded as 'an average' according to Guglielmino & Guglielmino (1991)'s interpretation of scores. Second, among four basic scales of participants' learning styles, the highest is found in Active Experiment (AE), the lowest is found i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C). In addition, the highest thing of the four learning styles found among the participants is divergers (36.6%) and the lowest is convergers (13.4%). Finally, this study compares the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ore with learning styl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CE, AC (p=.01). Therefo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s related to learning styl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 Diagnosis System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초등수학의 개별학습을 위한 학습자 진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ur, Jung-Won;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6 no.1
    • /
    • pp.1-1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LED (LEarner Diagnosis system). Mathematics which has learning hierarchies is difficult to learn, if learners don't understand previous learning contents. Before a learner starts learning, the LED offers diagnostic problems to diagnose the learner's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If the learner don't understand it, then the LED present supplementary contents. After finishing the study, the learner has to pass the test to diagnose whether the learner do mastery learning. The LED makes learners do supplement previous contents, if learners don't understand it, and master all of the contents, learners can achieve learning object.

  • PDF

A Training Feasibility Evaluation of Nuclear Safeguards Terms for the Large Language Model (LLM) (거대언어모델에 대한 원자력 안전조치 용어 적용 가능성 평가)

  • Sung-Ho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479-48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 안전조치 용어를 미세조정(fine tuning) 알고리즘을 활용해 추가 학습한 공개 거대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이 안전조치 관련 질문에 대해 답변한 결과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학습 데이터 범위 내 질문에 대해 학습 모델은 기반 모델 답변에 추가 학습 데이터를 활용한 낮은 수준의 추론을 수행한 답변을 출력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추가 학습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저비용 전문 분야 언어 모델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Learning System For Self Directed Problem Solving on Web (웹상에서 자기주도적 문제해결을 위한 학습시스템 개발)

  • 이근무;김현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94-200
    • /
    • 2001
  •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은 구성 주의적 학습원칙에 의거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적극적 참여(구체적 학습목표 설정, 학습내용과 방향 결정 및 평가에 참여)를 강조한다. 또한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강의전달식과 달리,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복잡하고 비구조적 '문제'와 PBL에서 제시하는 '문제해결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PBL수업사례는 위의 질문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요즘 학습자 주도적 학습모형으로 제기되는 여러 모형들과 더불어 기존 학습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Learning System For Self Directed Human Nature Education on web (인터넷 상에서 자기주도적 인성교육을 위한 학습시스템개발)

  • Rhee, Kun-Moo;KIm,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81-984
    • /
    • 2004
  •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은 구성주의적 학습원칙에 의거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적극적 참여(구체적 학습목표 설정, 학습내용과 방향 결정 및 평가에 참여)를 강조한다. 또한 자기주도적 문제해결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강의전달식과 달리,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복잡하고 비구조적 '문제'와 PBL에서 제시하는 '문제해결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PBL수업사례는 위의 질문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요즘 학습자 주도적 학습모형으로 제기되는 여러 모형들과 더불어 기존 학습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Effects of Task-based Language Learning Utiliz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의 효과분석)

  • Kim, Soo-Hyun;Lee,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53-157
    • /
    • 2012
  • 이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을 영어수업에 적용한 후 학업성취도와 영어 학습태도 차원에서 그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과정을 도울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 교수 학습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초등영어 5학년 정규교육과정운영 틀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은 학업성취 상위, 중위, 하위 집단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학업성취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 어학습은 영어에 대한 자아개념, 영어에 대한 태도, 영어에 대한 학습 습관으로 정의된 영어 학습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은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초등영어교육 추세를 고려할 때 교육현장에 유용하므로 자기조절학습력과 실제적 의사소통능력에 초점을 둔 보다 다양한 교수설계 연구가 요청된다.

  • PDF

An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 학습성과 및 만족도 분석)

  • Lee, Yoon Kyung;Kim, Eun 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814-825
    • /
    • 2021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Project-Based Leaning (PBL) conducted at S Women's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learners.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28 questions on learning strategies (peer learning strategies, critical review strategies, elaboration strategies, super cognitive, and online project activit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the survey, 300 students (first semester: 210 students, second semester: 9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2020 project-based learning. As for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results, the average of the post questionnair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was higher than pre-questionnaires result. After taking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the average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atisfaction impro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 activities are helpful in learning activities and increase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this, it implies that in-depth PBL research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