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술연구정보

Search Result 33,760,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A study on scholarly information features for mobile service development (학술연구정보 모바일 서비스 개발 요소에 관한 연구)

  • Kim, Jayhoon;Kim, Jeong Hwan;Lee, Seung-J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48-550
    • /
    • 2010
  •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분야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학술연구정보의 특성을 반영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The Role of Academic and Research Computer Networks in Research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연구 활동과 과학 지식 생산성에 있어서 학술 연구 전산망의 역할)

  • 조명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7 no.1
    • /
    • pp.96-120
    • /
    • 1990
  • Academic and research computer networks are the essential communications component that can provide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convenient access to local and remote computing and information resources. Nowadays, academic and research computer networks, providing access to a varie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services,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Korea there have been some activities of academic and research networks since early of 1980. This study presents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computer network, summaries the types of services offered by academic and research computer networks and analyses the potential benefits resulting from their availability. Use and need of Korean researchers about academic and research computer networks are also reviewed as well as it prospects Korean Computer Network for Education and Research & Development, a new national-base network being implemented by government.

  • PDF

A Study on Usage Patterns of Theses as Digital Resources (디지털 정보자원으로서 학위논문 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1.08a
    • /
    • pp.23-28
    • /
    • 2011
  • 학술연구 저작물 중 연구 실적을 심층적으로 포함하는 학위자료를 저자 스스로가 개방 공유하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대학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보급한 dCollection 시스템을 통해 전자학위논문(ETDs)의 유통과 보존 및 활용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저작권 동의, 이용범위를 설정하는 Creative Commons License(CCL)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저자가 공개한 학위논문은 각 대학도서관의 기관 레포지토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민간포털 등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CCL 적용에 따른 국내 학위논문의 유통과 이용 측면에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of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s on Internet (인터넷 학술정보자원의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정영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2 no.1
    • /
    • pp.19-43
    • /
    • 1995
  • Needs for up-to-date research information in various academic and research organiz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in our country. It requires that researchers utilize worldwide information networks such as Internet to obtain recent information. In this study, various information searching tools and services available on Internet are investigated and information resources, especially scholarly resources, are explored using WAIS, WWW. Gopher, and OPACs. These information resources are analyzed to evaluate the value of Internet as a research network.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Informatics Gifted Children: Focused on Research from 2003 to 2016 (정보영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3~2016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 Park, Hyeran;Jung, Ungyeo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17-21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하여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정보영재 연구의 주제와 방향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술지 수록 논문 총 75편의 연구 주제를 연도 학교급 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데 비해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중등 정보영재학생의 선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보영재 연구는 정보영재를 가르치는 방법과 중등 정보영재 선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field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Jaemin;Han, Sangjun;Park,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34-635
    • /
    • 2022
  • COVID-19의 확산과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게임이나 상용 시스템 위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적용은 요원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적용 형태와 지향범위에 따른 메타버스의 '증강현실, 일상기록, 미러월드, 가상세계' 등의 4가지 유형과 메타버스 플랫폼 주요 현황을 살펴보고, KISTI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지식인프라 통합서비스 ScienceON과 연계하여 디지털 연구환경 조성과 개방형 협업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키온버스의 제공서비스 유형과 주요 기능 등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정보서비스에 적용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례로서 향후 메타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Future Scenarios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기법의 적용)

  • Cha, Mi-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1
    • /
    • pp.137-153
    • /
    • 2004
  • Emerging ubiquitous compu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urges changes in academic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ture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y adopting a future research method, scenarios. It identifies the key forces in the scholarly information flows, scans the range of alternatives, and describe the possible behaviors of the three groups of main actors: publishers, academic libraries, and users.

  • PDF

A Case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Commons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 사례연구)

  • Youn, Eunha;Chang, Yunkeum;Jeon, Ky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2
    • /
    • pp.189-209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librarians' perceptions of Information Commons(I.C.),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new role of library in the digital ages. Interviews with 28 librarian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ians were widel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the space. The interview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librarians: the librarians; 1) understanding library as a place only with academic functions, 2) library as academic place along with multi-cultural functions, and 3) library as open learning space with focus on creativity and discovery of users.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all these perceptions are close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ibrary and its future development.

Analysis of Research Article Conclusions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경향 분석)

  • Kim, Kap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51-54
    • /
    • 2018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의 결론 장(chapter)의 특색을 분석하기 위하여 결론의 분석도구를 개발하고, 결론의 구조와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문정학 학술지 논문의 결론 장은 평균 4.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결론 제목은 '결론'이 절반 이상이며, 그 다음은 '결론 및 제언' 이었다. 각 구성요소별 출현빈도는 '연구결과 요약'이 단연 우세하며, '연구전체 요약', '후속연구 제언', '연구 의의' 순이었다. 서술 분량은 '연구결과 요약'이 가장 우세하며, 결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결론을 시작하는 첫 번째 요소로 가장 우세한 요소는 '연구결과 요약'이며, 결론을 마무리하는 최종 요소로 가장 우세한 것은 '후속연구 제언'이었다.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결론 구조의 핵심 구성요소이자 핵심기능은 '요약하기'의 구성요소인 '연구결과 요약'과 '연구전체 과정 요약'이다. 이는 결론을 기술하는데 필수 요소로 밝혀졌다. '적용하기','확대하기'에 포함된 여타의 요인은 선별적 요인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