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성과예측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 창의성과 성격유형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Typ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황동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13-326
    • /
    • 2006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1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창의성(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KEDI, 1997)과 성격유형(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심혜숙 김정택, 1993)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학생의 성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형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 창의성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한, 표준편차, t-test, ANOVA와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 중학교 2학년과 비교해 볼 때, 선호지표에서 연구 집단의 중학생은 표준화집단(심혜숙 김정택, 1993)보다 I(2.7%), J(3.9%)가 높았다. 두 번째, 수학 창의성과 성격유형을 살펴본 결과, 기질적 측면에서 유창성, 융통성, 수학 창의성 전체에서 NF형이 SJ, SP형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 SJ형도 SP형에 비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성격유형 중에서 어떤 요인이 중학교 2학년의 수학 창의성을 잘 예측해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 직관(N), 내향(I)이 수학 창의성의 예인변인으로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수학 창의성 검사도구 및 수학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시 직관과 내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네 번째 NT와 {SP, SJ, NF}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같은 수준의 집단이 아니므로 직관적사고형(NT)이 감각적 감정형(SF), 감각적 사고형(ST), 직관적 감정형(NF)과는 독립된 특별한 요인으로 보인다. 직관적사고형(NT)은 조사와 개념 학습이나 소크라테스식의 문답법적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선호하고 독립심이 지지되는 분위기의 학급을 선호한다. 따라서 수학 창의성 증진과 관련된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개발 시 조사와 개념 학습이나 소크라테스식의 문답법적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특정지역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이므로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으로 일반화시키는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집을 확대하여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수학 창의성과 성격유형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수학 창의성과 성격유형의 각 하위 차원들 간에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직관과 내향 및 조사와 개념 학승이나 소크라테스식의 문답법적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고려한 수학 창의성 프로그램이 개발할 필요가 있다.

  • PDF

의과대학 학생들의 일주기 유형과 수면의 질 및 회복탄력성과 불안 증상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Sleep Quality and Resilience as Well as Anxiety Among Medical Students)

  • 김지인;김봉조;이철순;차보석;이소진;이동윤;서지영;최재원;이영지;임은지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22
  • 목적: 의과대학생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점점 불안감이 높아지고 수면시간의 부족과 함께 수면양상도 불규칙 해진다. 따라서 의과대학생들의 일주기 유형, 수면의 질, 회복탄력성 그리고 불안이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생 본과 1학년 52명과 2년 후, 44명의 본과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다. 벡 우울 척도, 벡 불안 척도, 불면증 심각성 척도, 아침활동형 척도 그리고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를 자기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과 1학년 때의 불안이 높은 것은 2년 뒤인 3학년때 저녁형을 예측했고 본과 1학년때의 불안이 낮을수록 본과 3학년의 수면의 질이 좋았다. 본과 3학년의 수면의 질이 낮은 것은 저녁형 그리고 낮은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었다. 또한, 본과 3학년의 우울감이 적은 것은 높은 회복탄 력성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의과대학생 본과 1학년 때의 불안의 정도가 2년 후 3학년 때의 수면의 질과 저녁형을 예측했다. 앞으로 1학년 학생들의 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학생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정보 교과 경험 차이에 따른 대학 전공 선택 및 SW수업 학업성취 분석 (Analysis of major selection and achievements in a college computing course by students' prior experience on computer education)

  • 김민자;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19
    • /
    • 2016
  •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 SW교육이 국제적으로 내용 및 접근성 측면에서 강화되고 있다. SW교육이 보편성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교육에 대한 단기적 영향 및 효과 뿐 아니라 10-20년 후 학생들에게 미칠 장기적 성과 또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강화된 SW교육이 장기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 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중등교육에서 정보교과 경험의 차이와 대학에서의 전공선택 및 SW관련 교양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관계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단순한 교과 이수 여부는 전공선택 및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지만, 교과 교육 내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장기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 연구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본 연구의 설계 및 결과는 제한점이 있지만, SW교육의 장기적 영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등학생들의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on Theory and Data, Science Process Skills, Perceptions of Preferred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Laboratory Work)

  • 한수진;이인혜;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43-64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모든 하위 범주(응집성, 개방성, 통합성, 준칙성, 물리적 환경),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는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하위 범주 중 개방성과 물리적 환경,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가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러프집합을 통한 취업의사결정 분석시스템 (Decision Analysis System for Job Guidance using Rough Set)

  • 이희태;박인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387-394
    • /
    • 2013
  • 데이터 마이닝은 예측이나 분석을 위해서 많은 양의 데이터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관계를 추출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에는 매우 많은 변수로 인한 차원의 증가로 인하여 계산상의 어려움이 수반되어지고 변수의 중복성과 중요도에 있어서 다양한 통계적 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를 같은 그룹으로 형성하는 클러스터 해석은 데이터 마이닝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범주형 데이터의 분류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의 처리를 위해 러프집합을 이용하여 정보 엔트로피를 이용한 새로운 척도를 정의하고 연구 대상에 대한 유사행동을 분석하는 시스템 구현에 그 의의가 있다. 데이터는 평택공업고등학교에서 채집되었고 이를 토대로 제안된 방법이 학생들의 유사행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속성의 개수가 10개 이상인 경우에 기본 방법과의 차이를 보이며 취업의사결정에서 학생들의 의식을 기존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하였다.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Predicting Peer Reje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Ordered Probit Analysis)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57-379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또래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열프로빗 분석을 이용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특히, 개인, 가족 특성이외의 폭력에의 노출, 교칙의 공정성, 부정적인 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 또래따돌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또래따돌림의 경험이 따돌림과 같은 또래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들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12개 중학교 20개 학급에서 총 714명의 중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서열프로빗 분석은 LIMDEP 7.0을 통해 분석되었고,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은 윈도용 SPSS 8.0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학교의 학생들중 35.8%가 다른 학생들을 따돌려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25.9%의 학생들이 또래따돌림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또래따돌림 가해경험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신 저학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공격성과 교칙위반행동의 경험이 많을수록, 또래따돌림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결손가족여부, 학업성적, 학업에 대한 태도 등 가족 및 학교생활 요인은 또래따돌림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또래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거나, 주변에서 따돌림이 많이 발생하는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일수록 또래따돌림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상담으로 풀어나가기 힘듦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가해자와 피해자가 이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가 아니라, 피해경험을 통해 가해경험을 학습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중첩적인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궁극적으로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개입단위로 하는 예방프로그램과 전문적 원조체계의 도입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 PDF

대학생의 지식재산 교육 성취와 그 영향요인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nd It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 지선구;설인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27-233
    • /
    • 2021
  •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 이어지는 지식재산 연계교육 체계에서 교육성과를 거두려면 대학에서의 지식재산 교육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 교육 성취와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 지식재산 교육 성취는 기초 지식재산 IP과목 총점으로 측정하였으며, 대학 입학 전 학생 특성(투입요인)으로 정의적 특성, 부모 기대수준 및 발명 흥미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대학 입학 후의 특성(과정요인)을 중간 산출물로 유형화해 대학 만족도 및 학습 태도로 관측하였으며, 투입요인→과정요인→최종 결과물로서 IP과목 총점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의적 특성이 우수한 학생은 대학 만족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태도도 우수해 IP과목 총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 분석을 통해 정의적 특성이 대학 만족도와 학습 태도를 통해 IP과목 총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이런 결과는 자기주도적인 학생이 강좌 참여도가 높아 우수한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과 일치한다. 부모 기대수준은 학습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IP과목 총점까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명 흥미도는 IP과목 총점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명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 지식재산 교과목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높은 점수를 획득할 것이라는 일반적 믿음과 배치되는데, 이는 고등학교 때의 발명대회 참여나 교육 참여가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하고 참여 횟수 등으로 발명 흥미도를 추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 하은혜;장윤금;권나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20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만족, 자아탄력성이 교수신뢰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Professor Trust of Nursing Students)

  • 박주영;박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93-40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공감만족이 교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D시에 소개한 1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1~4학년 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친구관계, 자아탄력성 및 공감만족을 예측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구관계 (β=0.142, p=.020), 자아탄력성 (β=0.322, p<.001)과 공감만족 (β=.370, p<.001)이 교수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교수신뢰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1.1%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공감만족을 높일 수 있는 학년별 상담 및 교육을 통한 교수신뢰 향상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정보기술에 기반 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step to advance a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 조석환
    • 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7-17
    • /
    • 2004
  • 학업 성취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학습 목표달성과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교육적 기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변수 관계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탐색하는 데 있다. 즉 과거의 성취도, 정보기술 활용 능력, 학업 수행자의 성과 기대치, 학업성취 목표 달성에 관한 발전단계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에 기반하여 학업 성취도를 확인하는 발전단계에 있어서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에 참가한 참가자들에게 본인들의 기대치 척도, 정보기술 활용능력, 정보기술 능력시험, 기초지식 설문지를 작성케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경로 모형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지난 과거의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학업성취를 위한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결과는 학업성취가 학업의 달성 수준을 등급화 하여 목표 달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정보기술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현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거 성취도에 대한 변수가 성과 기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으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