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생들의 특성

Search Result 1,9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특성화고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wang, Bo-Yun;Lee, Hyeong-J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61-64
    • /
    • 2018
  • 우리나라 특성화고는 산업사회의 각 분야에서 종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합리적이며 능률적인 직업인을 육성하려는 목표로 1998년에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에서 자리 잡은 마이스터고 제도를 도입하여 변화를 시도하였다. 유럽에서의 마이스터고는 창업 성공률이 98%에 이를 정도로 창업의지가 높은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 정부와 민간 기관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창업진흥원의 기업가 마인드 확산 교육 비즈쿨(2002년), 한국시민자원봉사회의 특성화고 대상 창업 마인드 확산 경진대회 Be the CEO(2004년), 아산나눔재단과 어썸스쿨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히어로스쿨(2014년) 등이 사례이다. 본 저자도 2011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와 SK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고교생 앱 개발경진대회를 직접 운영하면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앙트러프러너십의 구성요소는 Miller(1983)가 주장한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에 기회인지를 추가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이 학교 교육과 다양한 외부활동을 통하여 접하고 있는 창업멘토링이 앙트러프러너십 구성요소와 창업의지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91개(2017년 말) 특성화고등학교 중 지역별로 안배하여 14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설문서 28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의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은 모두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등 앙트러프러너십 요소와 창업의지 관계에서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진취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가 진취성에만 국한된 것은 특성화고는 창업보다는 취업 중심의 정책을 운영 중이어서 앙트러프러너십은 높으나 창업의지가 희박한 학생이 많았고, 기존의 창업멘토링 내용이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으며, 창업을 가로막는 제도 때문에 멘토링 만으로는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촉발하는데 조그만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창업의지가 높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창업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특성화고가 취업중심의 정책에서 창업친화적인 정책으로 개선하는 데 촉매제가 되기를 바란다.

  • PDF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특성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문경근;박일영;추봉욱;박수경;곽미용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49-73
    • /
    • 200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선택 경향, 학업성취도, 개별연구과제 선택 경향, 진로선택 및 학교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재아들의 지적 ${\cdot}$ 정의적 특성 및 학교적응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경우 출신 지역에 따라 영재교육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차이가 났다. 즉,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 중 대다수가 수도권과 영남 지역의 학생들이었다. 둘째, 학생들이 지적인 학습 능력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과 성격 유형상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영재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향적이고 미래 지향적 혹은 개념적이며, 감정보다는 논리적 과정을 우선시한다. 셋째, PT 과목 통과에 있어서 생물과 정보 영역을 제외하고는 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과 PT 통과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넷째,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R&E 주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물리 과목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호도에는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의 여부와 큰 상관이 없었다.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 Choi Younggi;Do Jonghoon
    • School Mathematics
    • /
    • v.6 no.4
    • /
    • pp.361-372
    • /
    • 2004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ir proof examples, responses to questionnaire on mathematical aptitude and social coping, and scores for Torrance creativity test(figure) in comparison with scientific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PDF

Investigating Korean Students' Different Profiles of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s: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IMSS 2015 (학생들의 태도 특성 분석을 통한 학생 집단 구분에 대한 연구: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 Hwang, Jihyun;Ko, E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3
    • /
    • pp.207-225
    • /
    • 2018
  • Large-scale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for a decade have shown Korean students' negative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In addition to this general finding,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details in Korean students'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Wit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 found five groups of individuals showing qualitativ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Particularly, it is required to pay more attentions to two groups with relatively negative views on engaging teaching in mathematics lesson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different approaches could be required to improve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in each group. This necessitated further research on achievement and influential factors on each group's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

A Comparison Analysi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ce-Gifted Education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 Cho, Eun-Boo;Paik, Seong-He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6 no.3
    • /
    • pp.307-31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gifted education. For this, 72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ity,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se students were tested. To compare these traits with those of general students, 78 general students were also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cience-gifted students significantly surpassed general students in the areas of logical-mathematics, intra-person, and naturalist. Especially, the intelligences of logical-mathematics and intra-person were strong point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But music intelligence among the 8 intelligence was weak point. Creativity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tudents in science-gifted education excelled those of general students. Therefor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Explor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 Shin, Sein;Lee, Jun-Ki;Lee, Goeun;Ha, Mins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1 no.3
    • /
    • pp.281-29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96 high school students and 106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wo-way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chool type and gra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ce of students'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yea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r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compared to th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e correlations among five motivational factor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Lastly,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ien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at second year students in technical high school had less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the first year students. Give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educational strategy for enhanc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school students. We will discuss th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technical high school based on our findings.

The study on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 Jeon, Me-Ae;Lim, Se-Yung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7 no.2
    • /
    • pp.77-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activities by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do after school, and then to inquire if there would be any of differences between their school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The students in J specialized highschool for vocational educatio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for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We selected 15 out of them as the subjects who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leisure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and sustenance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do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playing with a computer, watching TV, doing something with their friend, and killing time. Secondly, the character of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udents' school activities connected with their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students'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so as to help the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especially in specialized schoo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 Noh, Tae-Hee;Kim, Ky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7
    • /
    • pp.728-735
    • /
    • 2005
  • In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he cogn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ests regarding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nd computer attitude were administered. After having been taught by means of a CAl program, a conception test on molecular motion was administered. It was found that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ield independence, learning strategy, self-regulated ability amo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visual learning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on ability amo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found that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Self-regulated ability and a deep learning strategy were also found to have predictive power. Lastly, analysi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visual learning preference and self-efficacy on ability exposed them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 study on factors how Christian characteristics affects between christian theology major students and non-major students. (focused upon faith characteristic variable and chapel satisfaction) (신학전공 학생과 비신학전공 학생간의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 중심으로))

  • Han, Man-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43-5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ristian characteristics among christian theology major and non major students. Among the diversity factors, especially focused on studies of faith character variable and satisfaction of chapel, and how much these factors affect and how it correlates and what affects the most between christian theology major and non major students. This study has been surveyed to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B University. As a result, christian theology major students have larger portion of Christian characteristics than non major students. Additionally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chapel, having personal prayer time, meditation time, spending longer hour with bible and involving church activities have highly established christian personalities upon students.

Evaluation of Foodservice Quality Performance of Middle Schools in Busan (부산 일부지역 중학생 급식에 대한 성과평가)

  • Iyu Eun-Soon;Lee Kyung-A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1 no.6 s.90
    • /
    • pp.829-837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부산지역 중학교 중에서 8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의 급식 성과와 잔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급식서비스의 품질 특성의 급식성과에 대한 결과, 전체 평균은 2.93점이고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음식의 영양>음식의 맛>식단의 다양한 순으로 급식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의사항의 반영, 불만처리의 신속함, 반납장소의 청결 항목은 급식성과가 2.50점 이하로 전체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급식경험 기간이 낮은 학생들이 급식경험 기간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급식서비스 품질특성 다섯 영역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0.01)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결식을 하는 학생들에 비해 식단의 다양함, 배식시간의 정확성,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에서 유의적(p <0.01)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2. 학생들의 급식되는 음식에 대한 섭취정도에 대한결과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김치(>0.01)와 국 및 찌개(<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또한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아침식사횟수가 적은 학생들 보다 모든 식단에서 유의적으로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급식된 음식을 남기는 이유에 대한 결과에서, 밥의 경우에는 양이 너무 많아서, 국 및 찌개와 반찬의 경우에는 음식 맛이 없어서, 김치의 경우에는 자주 배식되어서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항목은 위생적인 음식> 식기류의 청결> 반찬 맛 순으로 높은 개선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아침식사 횟수가 주 2회 이하인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반찬수의 증가(<0.01)#,#음식양의 증가(<0.05)#,#급식종사자의 친절함(<0.05)#과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0.05)#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급식개선 요구도를 나타냈다. 5. 급식경험 기간과 급식성과 점수간의 상관관계에서, 급식성과는 급식경험 기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아침식사횟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 품질의 특성 영역은 각 영역들에 대한 급식성과 점수가 높을수록 다른 영역의 급식성과 점수가 높은 유의적인(p <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균형된 영양공급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더 중요한 우리의 청소년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