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생활 만족도

Search Result 3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 Kim, yun-ju;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0 no.2
    • /
    • pp.39-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ome Economics(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HE instruction on their food choice·management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develop 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roblems that arise in daily life to trigger interest of students were firstly developed. The selected problem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were reviewed for validity by one home economics education professor and three teachers who are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used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sampling 6 students who are in special-education middle school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After HE instruction of 6 sessions applied PBL method,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The first three sessions taught how to choose and keep food. The fourth session taught purchasing food ingredients and keeping them for sandwiches. The fifth and sixth sessions let the students make sandwiches and give them to other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comprised of tools for food choice and management knowledge, tools for problem-solving skills evaluation, self-evaluation sheets, evaluation form of course satisfaction for students, evaluation form of behavior in class for teachers, and daily observation journal and all tools. These instruments were proved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six students who took HE instruction applied PBL method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scored 30 points higher out of 100 points after taking the instruction in food choice and management knowledge and scored 5 points higher out of 14 points in problem-solving skills on average. Therefore, it was interpreted that HE instruction applied PBL affected the food choice·management knowledge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articipated actively in HE instruction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and expressed satisfaction. Three special education experts evaluated 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to be well-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HE instruction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allowed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acquire comprehensive skills in choosing, keeping, and making safe food and helped them solve problems of their life by themselves. Therefore I suggest that Home Economics should be adopted as a formal subject matter in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 explanatory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 ecological approach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생태학적 접근)

  • Kang, Na-Gye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6
    • /
    • pp.1405-1422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to expla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f 395 first-year to third-year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do area. The exogenous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family function, friend support, school life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of the local community,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2.0. The final model with 13 of the 9 analyzed paths showed a good fit to the empirical data: χ2/df=1.96, GFI=.90, AGFI=.88, CFI=.94, TLI=.93, RMSEA=.05, SRMR=.06.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se paths were family function (β=.57), self-efficacy (β=.29), self-regulation(β=.14), the social capital of local community (β=.14), and friend support (β=.13).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nine significant paths explained 86% of variance in the explain model.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social support system for dysfunctional familie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adolescents in the families and develop a program for creating the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schools.

Improvement Direction of Middle & High School Exercise in the Morning by IPA (IPA 분석을 통한 중·고등학교의 아침운동 개선방안)

  • Lee, Keun-Mo;Lim, Soo-Woen;Lee, Hyuck-Gi;Kim, In-Hyung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5 no.2
    • /
    • pp.35-46
    • /
    • 2016
  •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operation aspect of physical education during before class and further, to search for the utmost improvement direction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500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have chosen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430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quadrant I is "the keep up the good work" part. And the quadrant I includes "de-stress", "the pleasure of school life", "improvement in performance", "peer relationship", "help for P.E.", "health promotion", "sport facility surroundings", "rules", "teacher leadership", "passionate coaching", "fair coaching", "improvement in exercise ability", "understanding P.E." The quadrant II is "the concentrate here" part. And the quadrant II includes "develop talent", "excercise time", "safety management for exercise facility", "new sports event", "consider needs and interests", "consider level" "consider gender". The quadrant III is "the low priority" part. And the quadrant III includes "change of personality", "ability to do various sports event", "develope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with peer" "an intelligible explan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before classes, first, "safety connected program" second,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program", third, "divided classes per level and gender", and the last, "professional manpower for developing the quality of class" are neede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Management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 Shin, Yun-Chan;Park, Ji-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1 no.2
    • /
    • pp.77-91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s on older adults in the local community. Methods : Nine community-dwelling olde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one-group pre-post design. The occupation-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12 group sessions, and one individual session was conducted for seven weeks. Occupational balance, activity occupancy, activity participation,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rogram satisfaction were assessed. Results : The average attendance rate of the nine participants was 10.11 (SD=1.36). Overall occupational balance (p=.012), activity participation status (p=.008), performance (p=.012),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y participation (p=.008) were increased.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leisure time (p=.008) and rest time (p=.008). Finally, there were some improvements in the overal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034) and depression scores (p=.012). Conclusions : Occupation-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s positively affected occupational balance, activity occupancy, activity participatio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is research suggests promising benefits and feasibility of the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wareness and Use of Fast Food on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Pyeongtaek City (평택시 초등학생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이용)

  • Kim, Kyeong-Hyun;Jung, Eun-Hee;Rhie, Seung-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79-79
    • /
    • 2009
  • 최근 아동들 사이에서 칼로리가 높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과 함께 비만 등 영양적인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는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품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평택 초등학교 2개교의 4, 5,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11.7세, 키는 141.5cm, 몸무게는 36.7kg이였다. 아침 식습관태도 조사에서는 일주일에 5번 이상 아침식사를 한다(여학생 78.1%, 남학생 74.3%)는 답이 가장 많았다. 아침결식 이유는 밥맛이 없기 때문(여 58.2%, 남 54.4%)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편식은 여학생의 54.2%, 남학생의 48.9%가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편식하는 식품은 나물이나 샐러드 등의 채소류(여 51.1%, 남 61.4%)가 많았다. 간식섭취는 가끔 섭취한다는 답이 여학생 59.8%, 남학생 60.0%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간식은 부모님이 사주신다(여 32.6%, 남 39.1%)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50.5%가 가족과 함께 먹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44.8%가 혼자 먹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간식으로 과일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여학생의 33.0%가 2-3일에 2회 이상 섭취한다고 했지만, 남학생은 29.5%가 매일 먹는다고 답을 하여 과일섭취는 모두 딸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의 이용동기는 맛이 좋아서(남 60.8% 여 55.2%), 다음은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며(남 32.4% 여 40.6%), 주로 이용하는 곳은 분식 및 편의점이었다. 패스트푸드 이용횟수는 월1-2회(남 52.4%, 여 51.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주1회 정도(남 21.9%, 여 32.0%) 이용한다고 하였다. 이용시간은 방과 후 저녁시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남 47.6%, 여 50.5%), 남 녀 모두 사서 집에서 먹거나(남 44.7%, 여 41.2%), 배달시켜 집에서 먹는다(남 39.8%, 여 37.1%)고 하였다. 가장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는 라면 등의 분식으로 여학생의 40.2%, 남학생의 26.2%가 해당되었고, 그 다음 순서로 남학생은 피자(22.3%)와 치킨(22.3%) 및 햄버거(18.5%), 여학생은 치킨(25.8%)과 도너츠(12.4%)를 더 선호하였다. 패스트푸드 만족도를 3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맛이 가장 높은 점수(2.42)였으며, 가격(1.98), 위생(1.92) 서비스(2.15)는 보통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패스트푸드 섭취는 가끔 먹는 간식과 같은 형태로 당장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0대와 20대에 특히 섭취율이 증가함을 감안할 때, 중학생이 되기 전 단계에서 우리음식의 우수성과 패스트푸드 섭취지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tropolitan-dwelling Older Adults (도시지역 재택 고령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및 관련요인)

  • Ham, Seok-Pil;Kim, Beom-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5
    • /
    • pp.411-42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evance to variables that represent health conditions among metropolitan-dwelling older adults. The study subjects were 38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living in the D metropolitan area,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visiting them for interviews in June 2019.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quality of life) while controlling for gender and age. As a result, th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for those surveyed were education level, spousal status, living status, bear for living expenses, average monthly allowance,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evaluation of sleep quality, smoking and eating habits, amount of regular exercise, hobbies, subjective health status, physical disability (if any), hearing ability, visual acuity, mastication ability, urinary incontinence (present or not), and amnesia.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ables that indicat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condition.

A Meta-Analysis of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s: focus on implication of leadership selection by admission officer system (청소년 리더십 관련변인 메타분석: 입학사정관 리더십 전형에의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 Kim, Yee Jee;Lee, Ki Hak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8 no.1
    • /
    • pp.43-59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observe the related variables; to compare the effect size; and make suggestions for leadership selection by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 and comparison through meta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craf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variables were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can these variables be classified as the categories of the existing studies? Second, how are the effect sizes of the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 groups? Third, how are the effect sizes of sub factors of the related variable group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s can be classified as demographic, organization-activities, home environment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econd, sociopshycological variable group shows the largest effect size. Third, among the sub factors, self esteems (ES=1.3231) and degree of satisfaction for life (ES=1.1737) show two largest effect siz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an alternative for a method to select students through admission counseling leadership selection system.

일부 서울지역 대학교 급식 식단의 메뉴분석-직영급식 및 위탁급식 운영 형태별 비교

  • 김진아;박수정;이심열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83-1084
    • /
    • 2003
  • 사회생활 양식이 점차 복잡해지고 생활전반의 조직이 고도화됨에 따라 대규모 급식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그 동안 단체급식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들어 위탁운영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위탁 운영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대학급식에 관한 연구는 대학식당의 이용실태, 대학 식단의 만족도 평가, 대학급식 메뉴 관리 및 운영 등을 조사한 연구는 많았으나 운영형태에 따른 식단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는 서울 시내 일부 대학교의 구내에 있는 5개 식당 23가지 식단에 대하여 직영급식과 위탁급식으로 나누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메뉴를 영양가면과 다양성 면에서 평가하고, 제공된 메뉴를 학생들이 실제 섭취하는 실태를 조사하여 섭취한 식단의 영양가와 음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에서 이용한 식단은 총 23가지였고, 그 중에서 직영급식 13가지, 위탁급식 10가지였다. 제공된 상용식단형태는 직영급식은$\ulcorner$밥+국+반찬2+김치1$\lrcorner$, 위탁급식은 $\ulcorner$한그릇+국+반찬1+김치1$\lrcorner$이었으며, 우리나라 전통의 기본패턴을 갖추고 있었다. 제공된 식단 중 한끼 영양소 함량을 평가해본 결과 여자의 경우 1/3 영양권장량을 제공하였으나, 남자의 경우는 부족하였다. 제공되는 식단의 음식군별 제공열량을 살펴보면 밥은 평균 399㎉, 한그릇음식은 425㎉로 한 그릇음식의 경우가 높은 열량을 제공하고 있었다. 반찬의 경우 1가지로부터 얻는 열량은 평균 107㎉였으며 김치의 경우는 9.84 ㎉였다. 직영급식과 위탁급식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한 그릇음식, 반찬, 김치의 제공열량이 위탁급식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상자의 음식의 평균 가짓수는 직영 5.5가지, 위탁 4.3가지였으며, 음식 및 반찬 가짓수가 증가할수록 섭취열량이 증가하였다. 대상자들의 섭취한 식단의 한끼당 섭취한 영양소 함량은 직영급식 524㎉, 위탁급식 494㎉였고, 단백질, 지질, 인, 철, 비타민A, 나이아신 등이 유의적으로 직영급식에서 높았다(p<0.001) 섭취한 식단의 영양소 함량은 인과 비타민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섭취한 식단의 영양소적정섭취비는 대부분 0.4-0.9의 값을 보였고, 평균적정섭취비도 직영, 위탁 모두 0.68로 낮은 값을 보였다. 영양소 밀도의 경우 절대적 섭취에서 직영급식이 대부분의 영양소를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위탁급식에서 철분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총 대상자들이 식단에서 섭취한 열량을 살펴보면, 주식류의 경우 밥은 298㎉, 한 그릇음식은 386㎉로 한 그릇음식이 많은 열량을 제공하고 있었다. 반찬의 경우는 1가지로부터 얻는 열량은 78㎉, 김치는 8㎉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공량은 직영급식에서 많았으나 영양밀도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탁급식의 제공량을 늘린다면 급식운영형태별 두 식단의 질적 차이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급식 형태 모두 제공식단의 영양소 함량은 다른 지역이나 연령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아침 결식 및 불규칙한 식사 등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대학생들에게 교내 식당에서 질 높은 식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의 메뉴 기호도를 충분히 반영시키고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면 주.부식 외에 다양한 후식제공을 통하여 학교 급식에 대한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on the Recognition of 'Ladder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 Focused on 60-70s (중장년의 '삶의 사다리'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60-70대를 대상으로)

  • Lee, Doh-Hee;Jung, Myoung-Ja;Yu, Young-S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511-519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life felt by low-income people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by enhancing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which is entering an aging society. For the analysis, the variables that need from the 2019 welfare panel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selected. The final 1,684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panel samples of 14,918 people, from the '60-70s' of 'low income class', by removing the unresponsive and insincere samples. In particular, this study defined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ladder of life' measured in panel data, and analyz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ladder of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of the "ladder of life" when considering only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n influential factor for the dependent variable "ladder of life".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n the economic state vari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is shows that the health condi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economic condition as the influential factor on the ladder of middle-aged elderly people.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 'ladder of life' should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elderly's life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both internal and external, rather than the pers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other words, a plan to present a positive alternative to their perception of life will be needed.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for Healthy City Projects (일본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대 구축 사례: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파트너 쉽 형성 사례)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97-230
    • /
    • 2005
  • 일본의 Soyo town에서 진행된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통하여 건강한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주민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공유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정서적 유대감 향상, 수입증가 그리고 조기사망의 감소를 구체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매우 실제적이며 수량화된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다. 1992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과 2002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과정에는 보건의료전문가와 시설에 대한 정비, 평가에 대한 계획, 학교를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이 포함된다. 모든 부문은 자신들이 설정한 보건정책 결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적절한 정책을 다시 설정하고 수량화된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수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 과정에 주민이 최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Soyo town은 사업을 위하여 학교 및 지역 내 사조직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의 기획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켰는데 이는 건강자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실천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모든 Soyo town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민들은 건강관련 자원의 배치상태와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업의 과정에 참여하였다.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품회사, 자원단체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지역의 단체급식시설, 식당 등이 파악되었으며, 요양원, 가사도우미, 공중보건간호사, 방문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보건의료 시설과 인력들이 협력하였다. 사업이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켰는가와 건강향상에 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는데,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소비자와 주민들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oyo town의 건강도시사업의 평가 결과, 조기사망률이 1988년 22.1%이 1992년 18.2%로, 1998년 15.6%로 감소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1988년 48%에서 1992년 67.1%로, 1998년 71.5%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증가하였으며, 조기사망, 의료비용은 감소하였다. 한편 보건의료부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Soyo town은 건강한 도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킨 요인은 주민 개개인들에게 사업의 기획과정에 처음부터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점과 자원개발에 있어 기존자원의 재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다는 점이었다. 효과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행정부, 주민, 건강관련 단체들은 수단과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의 기획단계에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은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개선과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므로 주민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