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생활적응도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3초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ts)

  • 신미;전성희;유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92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2010 was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on the valid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model, the social relationships have some degree of influence upon self esteem which then goes on to have a subseque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ve a further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Social relationships also have a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and self esteem has a 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paper concludes with an outli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for future studies on this subject.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Reg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61-68
    • /
    • 2002
  • Relations of reg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to school adjustment were examined for 1,105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558 2nd grade and 547 5th grade. Children reported their regulation and negative emotionality and teachers ra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ch as hyperactive and withdrawal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chool life, grade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nd teacher. Measures of problem behaviors were high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hyperactive to school life and grades and withdrawal to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nd teacher. Behavioral regulation wa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chool life and social functioning with teacher and was able to modulate the influence of hyperactive.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via withdrawal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경로분석 (The Path Analysis of Emotional Support, Emotion Regulation and Self-Efficiency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 이하늘;이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65-7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hildren perceive emotional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iency. They came mainly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se student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Participants were 503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ly emotional support and self-efficiency 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Moreover, emotional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cond, although emotional support 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it also in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Third,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in the school adjustment, but on the other hand, it indirectly affected i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self-efficiency.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기돌봄경험에 따른 일상생활경험 및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Children's Daily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by Children's Self-care)

  • 김경은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1-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self-care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YPI panel survey of 2010.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ronbach's ${\alpha}$ tests, means, standard deviations, Two-way ANOVAs,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self-care in daily experience. Girls spent more time in watching TV but less time in games than boys. And self-care children spent less time in learning and reading, but more time in game and TV watching. Also there was a interaction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 by gender and self-care. 2.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self-care in school adjustment. Girls showed more positive school adjustment than boys. And children who are cared for by their parents showed more positive learning and school rule adjustment. 3.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n College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89-195
    • /
    • 2017
  • 청년기에는 사회 생활에의 적응을 위하여 독립적인 자아형성을 추구하고 자아정체감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진출을 위해 거쳐 가는 곳이 대학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진출을 위한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정체감은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목표지향성이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정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은 정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은 대학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 김종운;이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06-5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2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자아분화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서인지분화, 가족투사과정이며 그 중 애착불안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교와 학과 및 대학상담센터에서 다양한 정책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07-3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정도를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평점 3.36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는 학업진로가 가장 높았고, 개인심리, 사회체험, 대인관계, 진로준비 순이었다.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는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인 학업활동은 학교성적, 진로준비는 자기효능감, 개인심리와 사회체험은 감성지능, 대인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the Difference on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y Dependence on Smart Devices

  • Lee, KyungHee;Park, Hy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13-2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수행능력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기기 과의존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중 12차 년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계층적 군집화분석(K-means), 일원변랑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의존과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능력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의존도가 높은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의 학생이 안전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교적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위험군의 학생이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업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과의존 초등학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지원과 더불어 학교생활 적응 상담 지원 같은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on Ego-Resilience)

  • 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01-10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이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대학생활적응의 기초자료 활용과 시사점의 제공에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은 Varimax에 의한 직교회전에 의하여 요인적재치를 산출하였고, 설문문항에 대한 측정은 크론바하 알파계수(Crobach's Alpha)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스트레스, 친구관계, 정서적지지는 학교생활만족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수업, 대학환경은 학교생활만족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