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향식 접근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the Water Footprint in the 1st and 2nd Industries (산업별 물발자국 산정에 관한 연구)

  • Ryu, Si saeng;Lee, Hyun hwa;Park, Eun hee;Park,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7-427
    • /
    • 2017
  • 물발자국은 국가별 실제 물소비량을 파악하고 물 부족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도입된 지표로서, 제품의 생산과 서비스 전 과정에서 직접 및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물의 총량을 의미한다. 선진국에서는 물 사용 패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국가, 도시, 산업분야 등 다양한 물발자국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물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물발자국 산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물 관리 및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발자국 산정 연구는 국가적 차원의 정확한 물 수지 계산과 수자원계획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제1차 및 제2차 산업의 물발자국을 산정하였으며, 산정 방법으로는 상향식 접근법과 하향식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제1차 산업의 농업계 및 축산업계의 물발자국은 단위 물발자국에 기초한 상향식 접근법과 용수사용량에 기초한 하향식 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산업별 물발자국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농작물 생산량 및 작물 품목별 단위 물발자국을 이용한 국내 농업계 물발자국 산정 결과, 1980년부터 2014년까지의 쌀 외 18개 농작물에서 연간 78억~109억 $m^3$로 산출되었다. 반면 농업용수 사용량에 기초한 하향식 접근법을 통해 산정한 농업계 물발자국은 118억 $m^3$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제1차 산업의 축산업계 물발자국을 산정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주요 가축 사육두수와 지육량, 사료작물의 단위 물발자국을 활용한 축산업계 물발자국은 평균 73억 $m^3$, 축산용수사용량을 활용한 물발자국은 평균 309억 $m^3$으로 나타났다. 축산용수사용량에 기초한 분석결과가 크게 나타난 것은 축산업분야에서 간접수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제2차 산업의 공업계는 제품생산 공정의 물 사용량, 부품 및 원료의 단위 물발자국 등 세부사항의 파악이 곤란하여 하향식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공업용수 사용량과 공업용수 오염물질의 배출부하량에 따른 물발자국 산정 결과, 연간 26억 $m^3$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산업별 물발자국 산정결과를 활용하여 산업별로 차별화되는 물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산업별 용수 수요를 파악하면 국가적으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 기계분야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Gwak, Gi-Ho;Park, Ju-Hyeong;O, Seung-Hun;Lee, 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9-422
    • /
    • 2017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으로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이후 2017년 현재까지 50년에 걸쳐 총 25개의 기관이 설립되어 운영 중에 있다. 설립 목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출연(연)은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지원을 통한 기업체 경영 성과 달성, 전문 연구 인력 배출, 정부 정책 수립 및 지원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해왔다.. 그러나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논의는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기계분야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을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의 틀은 크게 출연(연)의 연구개발성과가 이전 확산되는 산업의 경제적 성장에 대한 기관의 기여도를 산출하는 '하향식 접근'과 기술이전 지원, 전문 연구 인력 배출 등 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더하는 '상향식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하향식 접근'과 '상향식 접근'의 활용은 두 방식을 통해 산출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출연(연) 연구개발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다양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Generating XSLT Scripts for An Automated Transformation of XML Documents (XML 문서의 자동 변환을 위한 XSLT 스크립트 생성)

  • 신동훈;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160-16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간의 자동 변환을 위한 효율적인 XSLT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XML DTD를 구성하는 단말 노드간의 일대일 대응관계가 주어져 있다는 가정 하에 XSLT 스크립트를 생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상향식과 하향식의 복합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한다. 먼저 중간 노드간의 대응관계를 상향식으로 생성하며 하향식 깊이 우선 탐색을 적용하여 XSLT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XML 문서를 보다 빠르게 변환하는 XSLT 스크립트를 생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Approaches to Big Data Planning (효과적인 빅데이터분석 기획 접근법에 대한 융합적 고찰)

  • Namn, Su Hyeon;Noh, Kyoo-S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
    • /
    • pp.227-235
    • /
    • 2015
  • Big data analysis is a means of organizational problem solving. For an effective problem solving,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actors such as characteristics of problem, types and availability of data, data analytic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In this article we propose three approaches: logical top-down, data driven bottom-up, and prototyping for overcoming undefined problem circumstances. In particular we look into the relationship of creative problem solving with the bottom-up approach. Based on the organizational data governance and data analytic capability, we also derive strategic issues concerning the sourcing of big data analysis.

Multi-Agent based Design of Autonomous UAVs for both Flocking and Formation Flight (새 떼 비행 및 대형비행을 위한 다중에이전트 기반 자율 UAV 설계)

  • Ha, Sun-ho;Chi, Sung-d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1 no.6
    • /
    • pp.521-528
    • /
    • 2017
  • Research on AI is essential to build a syste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allows a large number of UAVs to maintain their flight while carrying out various missions. A typical approach of AI includes 'top-down' approach, which is a rule-based logic reasoning method including expert system, and 'bottom-up approach' in which overall behavior is determined through partial interaction between simple object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Flocking Algorithm. In the same study as the existing Flocking Algorithm, individuals can not perform individual tasks. In addition, studies such as UAV formation flight can not flexibly cope with problems caused by partial flight def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organic integration between top - down approach and bottom - up approach through multi - agent system, and suggest a flight flight algorithm which can perform flexible mission through it.

RAH-tree : A Efficient Index Scheme for Spatial Data with Skewed Access Patterns (RAH-tree : 편향 접근 패턴을 갖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

  • Choi Keun-Ha;Lee Seung-Joo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1-33
    • /
    • 2005
  • GPS및 PDA의 발달로 인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차량항법장치(CNS), 지리정보시스템(GIS)등 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응용프로그램들이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높이 균등 색인 기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에 대한 색인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모든 공간 객체는 서로 상이한 접근 빈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공간색인 기법은 접근 빈도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빈도수만을 고려한 공간 객체의 색인 방법은 접근 빈도에 따른 편향성(skewed)은 제공하지만 공간 객체에 대한 지역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밀집되어 있는 공간 객체의 접근 빈도를 반영해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형 클러스터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체 영역에 대해서 Zahn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변형시켜서 다단계 세부영역을 구분한다. 이렇게 구간된 세부영역에 대해서 거리적 인접성과 접근 빈도수의 합을 이용해서 색인 트리를 생성한다. 다단계로 구성된 전체영역에 대해서 하향식 방식으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접근 빈도가 높은 공간 객체에 대해서 빠른 탐색이 가능하게 한다.

  • PDF

A Bottom-up Approach for Service identification on SOA (SOA 기반 서비스 식별을 위한 상향식 접근)

  • Lee, Hyeon-Joo;Choi, Byoung-Ju;Lee,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45-248
    • /
    • 2007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는 기업이 적정한 비용으로 오늘날 가장 중요한 IT 요구사항인 민첩성과 유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IT 아키텍처 수립의 토대로, 경영환경이 빠르게 급변하는 최근에 떠오른 이슈이다. 기존의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서비스 개발은 주로 비즈니스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방향으로 접근하는 하향식 방법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미 개발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에서 접근하는 상향식 서비스 식별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이벤트 정보를 담고 있는 GUI Flow-Event 를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서비스로 식별하고, 서비스 식별시 발생하는 서비스간 연관관계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함으로써 비즈니스 도메인에 더욱 가깝고, 약결합을 지향하는 서비스로 식별할 수 있다.

  • PDF

Sam Sa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of Lao PDR in Approach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 Lessons from Korea's Saemual Undong - (라오스 삼상농촌개발모델의 성공적 추진 - 한국 새마을운동의 교훈 -)

  • Vongxay, Vongsakda;Yi, Ya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4 no.2
    • /
    • pp.143-154
    • /
    • 2017
  • Saemaul Undong (SM U) initiated in Korea in the 1970's is widely acknowledged as a successful model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despite its limitation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uccess factors of the SMU model and the lessons thereof for Sam Sang Model of Lao PDR, which appears ineffective over the years. Results show that land reforms, social ties among villages, strong institutional support and leadership and incentive system as well as "top-down" and "bottom-up" development approaches are among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SMU. However, rural development program would not be effective if residents are unwilling to participate. Therefore, to successfully achiev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Lao PDR, the government should through the Sam Sang model employ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enhance local participation and address the exact needs of the local people.

The Economic Benefit of the R&D Performance from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Evidence from K Research Institute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Kwak, Kih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1122-1158
    • /
    • 2017
  •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hav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and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the 1960s. However, those institutes recently have faced with criticism over the R&D performance on investment. Accordingly, we suggest two analytical approaches that estimate the economic benefit of the R&D performance of those institutes, (1) 'bottom-up' approach that aggregates the economic benefits of individual performances, e.g.,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supply of researcher manpower and (2) 'top-down' one that estimates the contribution of those institutes on the economic growth of the industries that the R&D performance of those institutes is mainly utilized. In addition, by applying two approaches, we computed the economic benefit of the performance of the K institute in the 1996-2014 periods at 12.3 trillion won and 29.5 trillion won, respectively. Lastly, we suggest the feasibility of two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mentarity. Our study provides analytical approaches that estimate the economic benefit of the R&D performance from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Lastly,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public on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legitimacy on those institutes among the public.

A New Method for Nonparametric Document Layout Analysis (매개변수에 무관한 새로운 문서 구조 분석 방법)

  • 류대석;강선미;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482-4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매개변수 없이 입력 문서 영상을 최대 동질 영역들로 분할한 다음, 각 동질 영역을 텍스트, 그림, 표 그리고 선으로 자동 분류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다단계 분석과 하향식 접근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문서 영상을 피라미드 구조로 계층화하였으며, 어떤 영역을 분할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 영역의 주기성을 이용하여 판단하였다. 이러한 주기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매개변수 없이도 활자체 크기와 행간에 무관하게 텍스트 영역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었으며, 피라미드 구조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질감 분석 접근방법보다 빠른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Washington 대학의 문서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더 정확하게 문서 영상을 분할 및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