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행대동맥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확장된 하행대동맥에 의한 좌측 주기관지 협착 (The Compression of Left Main Bronchus Caused by Dilated Descending Aorta After Ligation of PDA)

  • 강정한;박영환;윤영남;김부연;김시호;홍유선;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74-977
    • /
    • 2000
  • 유아에서 흔치 않지만,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혈관에 의해 기도가 눌릴 수 있다. 8개월 남자 환아가 승모판 성형술,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좌측 폐의 무기폐가 발생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남은 비대해진 하행대동맥에 의해 좌측 폐의 무기폐가 발생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남은 비대해진 하행대동맥에 의해 좌측 주기관지가 눌리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찰 부위를 완전히 분리하고 하행대동맥을 봉합하여 크기를 줄여 기관지 압박을 해결할 수 있었다. 술 후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으며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PDF

대동맥궁을 침범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파열 - 1예 보고 - (Ruptured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Involving the Aortic Arch - A case report -)

  • 조광리;강재걸;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704-707
    • /
    • 2007
  • 대동맥궁을 침범하는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급성 어깨 통증과 쉰 목소리를 주소로 내원한 78세 남자 환자에서 원위부 대동맥궁부터 근위부 하행대동맥에 걸쳐있는 파열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이 발견되었다. 완전순환정지하에서 인조혈관을 사용하여 원위부 대동맥궁과 근위부 하행대동맥에 대한 패치봉합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대동맥박리중에서 전궁치환술 시 근부성형술 및 우관상동맥우회로술과 하행대동맥 내 스텐트인조혈관삽입 동시 시술 증례 (A Case of Total Aortic Arch Replacement with Root Plasty with Right Coronary Artery Bypass and Distal Open Stent-graft Insertion in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 방정희;우종수;김시호;최필조;조광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34-437
    • /
    • 2005
  • 급성대동맥박리증의 수술 사망률이 점차 줄어들면서 치료는 이차 수술의 위험을 낮추고자 점차 치환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A형 급성대동맥박증을 일으킨 50대 남자 환자에서 상행대동맥과 전궁치환술, 대동맥근부 성형술 및 우 관상동맥 우회로술과 함께 하행대동맥에 스텐트 인조혈관 삽입술을 시행하여 대동맥판역류 및 하행대동맥류의 병발을 막는 근치적인 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하행대동맥 수술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대동맥궁 침투성 궤양의 파열 (Ruptured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of the Aortic Arch in a Patient with a Previous History of Replacing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 김재범;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47-650
    • /
    • 2008
  • 대동맥수술 후 대동맥질환의 재발은 주로 하부에 대동맥류의 형태로 나타나며 상부에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대동맥류 수술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에서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의 근위부에 걸쳐 발생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파열을 완전순환정지 하에 인조혈관을 사용하여 패취봉합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흉부 대동맥류를 동반한 대동맥 축착증 - 1예 보고 - (Coarctation of the Aorta Associated with Chronic Thoracic Aortic Aneurysm -A case report -)

  • 구자홍;김경화;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91-694
    • /
    • 2003
  • 수년 전부터 있어 온 흉배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49세 여자 환자로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 흉부혈관 촬영에서 만성 흉부 대동맥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흉부 대동맥 조영 촬영에서 대동맥류와 함께 하부 하행대동맥에 대동맥 축착증이 동반되었다. Adamkiewicz 동맥과 연결된 10번째 늑간 동맥이 대동맥 축착 직상부의 동맥류 내 대동맥에서 기시하고 있었다. 수술은 대동맥 축착증을 포함한 하행 흉부대동맥류를 인조혈관을 이용한 치환술을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 흉부대동맥의 직경 (Diameters of the Thoracic Aorta Measured with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이건;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79-86
    • /
    • 2009
  • 배경: 전산화 단층촬영은 흉부대동맥의 이상소견을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재래의 전산화 단층좔영은 단면적인 영상만을 볼 수 있어 여러 부위의 대동맥 직경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이를 이용하여 곡선으로 된 흉부대동맥의 직경을 주행방향과 직각으로 측정하여 연령, 성별, 키와 몸무게, 체표면적과 체질량지수,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대동맥 질환이 없는 것으로 판독된 환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141명이고 여자가 190명이었다. 이들을 연령별로 20~39세, 40~59세,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다면상으로 재구성한 단면에서 대동맥 주행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측정하였으며 상행대동맥의 중간(level A), 원위부 상행대동맥(level B), 대동맥궁(level C), 대동맥 협부(level D), 하행대동맥의 중간(level E)의 다섯 군데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남자가 49.5세이고 여자가 54.9세였다. 대동맥의 평균직경은 level A가 31.1 mm, level B가30.2 mm, level C가 26.5 mm, level D가 24.0 mm, level E가 22.6 mm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나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혈압 환자가 정상인보다 대동맥의 직경이 크게 나타났다. 키와 체표면적에 따른 차이는 상행대동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흉부대동맥의 직경은 성별과 나이, 고혈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키와 체표면적은 상행대동맥에만 차이를 보였고 하행대동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이 없는 정상인에서 연령별 대동맥 직경의 표준값과 정상한계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한국인의 흉부대동맥 직경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A형 대동맥 박리 수술 후 재발성 박리의 재수술 (Redo Opeations for Recurrent Dissection After Operation for Type A Aortic Dissection)

  • 홍유선;강정한;윤치순;이현성;박형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04-610
    • /
    • 2001
  • 배경: Stanford 제A형(type A) 대동맥 박리증은 상행대동맥이나 대동맥궁의 인조혈관 치환 수술 후에도 남은 대동맥의 가강이 확장되거나 파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저한 추적관리가 필요하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4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Stanford 제A형의 대동맥박리 수술이 124예 있었다. 수술 후 가강의 확장이나 파열로 재수술한 6예에서 Marfan 증후군과의 관련성 등 원인을 조사하고 재수술의 방법과 결과, 재수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처음 대동맥 박리로 수술시급성인 경우가 4예 만성이 2예였으며 이중 3예가 Marfan 증후군이였다.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내에 내막파열이 있어 대동맥판막의 폐쇄부전의 정도에 따라 상행대동맥 인조혈관 치한수술(2례) 또는 Bentall 수술을 시행하였으며(3례) 1예는 여러 개의 가강과의 연결부위가 있는 만성 박리 환자로 Bentall 수술과 더불어 대동맥궁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을 하였다. 재수술은 평균 67.6개월(4개월-14년4개월) 후에 시행하였는데 1예는 만성 하행대동맥 박리 및 동맥류로 1예는 염증성 가성동맥류로 나머지 4예는 급성대동맥 박리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하행흉부대동맥만을 치환한 경우가 1예, Hemiarch로 시행한 경우가 1예 그리고 나머지 4예는 원위부 상행대동맥에서 대동맥궁을 포함하여 근위부 또는 중간부위의 하행 흉부대동맥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하였다. 결과: 전체 124예 중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는 18예였다.

  • PDF

우심방-역행성 뇌관류 하에 원위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 박리증의 수술 (Repair of Distal Aortic Arch and Descending Aorta Dissection under Right Atrium-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 최종범;양현웅;박권재;임영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40-744
    • /
    • 2002
  • 초저체온 하에 체외순환정지와 역행성 뇌관류는 대동맥궁 병변의 수술에서 뇌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흔히 이용되는 수술과정이다. 좌측 개흉으로 원위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 병변을 수술할 때 역행성 뇌관류를 상대정맥으로 시행하기 어려울 경우 대퇴정맥에서 우심방으로 넣은 정맥 캐뉼라를 통해 전신정맥 관류를 시행하여 역행성 뇌관류(우심방-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하는 것이 더 쉬운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역행성 뇌관류 방법의 안전한 시간은 명확하지 않다. 저자들은 94분의 우심방-역행성 뇌관류 하에 대동맥궁 하행대동맥 병변을 수술하여 신경학적 이상 없이 환자를 회복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에서 초저체온의 순환정지 상태에서 90분 이상의 우심방-역행성 뇌관류로 뇌의 허혈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외해부학적(Extraanatomical) 우회로조성술을 시행한 성인 대동맥축착증 - 3예 보고 - (Extraanatomic Bypass Graft was Performed in Adult Coarctation)

  • 이동협;정태은;이장훈;이정철;도형동;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60-263
    • /
    • 2008
  • 3예의 성인 대동맥축착증 환자에서 외해부학적(extraanatomical) 우회로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축착 전 후의 광범위한 대동맥협착을 동반한 2예에서는 좌측 개흉술을 통해 좌쇄골하동맥에서 하행대동맥으로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동맥판막폐쇄부전과 대동맥궁 발육부전이 동반된 대동맥축착 1예에서는 정중 흉골절개술을 통해 상행대동맥과 심장 뒤 하행대동맥간의 우회로술과 대동맥판막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1예에서 술 후 4개월째 문합부 주위 동맥류의 파열이 있어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는 술 후 특별한 합병증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