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 해석

Search Result 1,45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pplication of WEP Model to the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에 대한 WEP 모형의 적용)

  • Noh, Seong Jin;Kim, Hyeon Jun;Cheong, Il Moon;Jang, Cheol Hee;Kim, Do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8-15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의 재생이나 보전에 필수적인 유역 물순환의 정량화와 유역변화의 영향예측을 위해 개발된 WEP (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 모형의 국내 유역에 내한 적용성을 검토하고,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모의하였다. WEP 모형은 복잡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하천 유역에 내한 물순환의 정량화를 목적으로 일본의 토목연구소 (PWRI;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과학기술진흥사업단, Jia 박사 등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되었으며 지표면 및 비포화 토양층의 물${\cdot}$열 플럭스 계산, 하도흐름의 추적계산 및 지하수 유동계산, 격자내 토지이용의 불균질성 반영 등이 가능한 물리적인 기반의 공간 분포형 모형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이다. 모형을 적용한 청계천 유역 (유로연장 13.75 km, 유역 면적 $50.96km^2$)은 전체 토지이용중 도시지역이 $75.9\%$를 차지하고, 유역내 인구가 120만명에 이르는 도시유역으로 높은 불투수 면적비율, 인공계 물순환 요소의 영향 등의 도시 유역 특성이 물순환의 구조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WEP 모형 적용 결과, 모의 기간 동안의 하천 유출량은 실측치에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모의할 수 있었다. 청계천 유역은 전형적인 도시 유역의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강우시의 직접유출이 크고, 강우의 유출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증발산의 경우는 산림지역보다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WEP 모형이 유역 물순환 해석에 적절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향후 청계천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매개변수와 인공계 물순환 자료의 보완을 통해 보다 향상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였던 Cd과 Mg이 Ca 및 Ca과 vitamin D의 동시(同時)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고 Cu는 전체적(金體的)으로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Zn은 Cd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으나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고 Ca은 Ca과 viamin D의 급여(給輿)로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하였다. 신장(腎臟)중의 무기질(無機質) 함량(含量)은 Cd급여(給輿)로 Cu, Mg은 감소(滅少)하였으나 Ca, Zn은 변화(變化)가 없었고 Ca 및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로 Cd, CU, Zn은 증가(增加)하였다.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llele 빈도와 carriage

  • PDF

Zeolitization of the Dacitic Tuff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장기분지 데사이트질 응회암의 불석화작용)

  • Kim, Jinju;Jeong, Jong Ok;Shinn, Young-Jae;Sohn, Young Kwa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1
    • /
    • pp.63-76
    • /
    • 2022
  • Dacitic tuffs, 97 to 118 m thick, were recover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bsurface Seongdongri Formation, Janggi Basin, which was drilled to assess the potential for underground storage of carbon dioxide. The tuffs are divided into four depositional units(Unit 1 to 4) based on internal structures and particle componentry. Unit 1 and Units 3/4 are ignimbrites that accumulated in subaerial and subaqueous settings, respectively, whereas Unit 2 is braided-stream deposits that accumulated during a volcanic quiescence, and no dacitic tuff is observed. A series of analysis shows that mordenite and clinoptilolite mainly fill the vesicles of glass shards, suggesting their formation by replacement and dissolution of volcanic glass and precipitation from interstitial water during burial and diagenesis. Glass-replaced clinoptilolite has higher Si/Al ratios and Na contents than the vesicle-filling clinoptilolite in Units 3. However, the composition of clinoptilolite becomes identical in Unit 4, irrespective of the occurrence and location. This suggests that the Si/Al ratio and pH in the interstitial water increased with time because of the replacement and leaching of volcanic glass, and that the composition of interstitial water was different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sin during the formation of the clinoptilolite in Units 1 and 3. It is also inferred that the formation of the two zeolite minerals was sequential according to the depositional units, i.e., the clinoptilolite formed after the growth of mordenite. To summarize, during a volcanic quiescence after the deposition of Unit 1, pH was higher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sin because of eastward tilting of the basin floor, and the zeolite ceased to grow because of the closure of the pore space as a result of the growth of smectite. On the other hand, clinoptilolite could grow in the eastern part of the basin in an open system affected by groundwater, where braided stream was developed. Afterwards, Units 3 and 4 were submerged under water because of the basin subsidence, and the alkali content of the interstitial water increased gradually, eventually becoming identical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sin. This study thus shows that volcanic deposits of similar composition can have variable distribution of zeolite mineral depending on the drainag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basins.

Enhancing the Stability of Slopes Located below Roads, Based on the Case of Collapse at the Buk-sil Site, Jeongseon Area, Gangwon Province (강원도 정선지역 북실지구 깎기비탈면 붕괴 사례를 통한 도로 하부 비탈면 안정성 확보에 관한 고찰)

  • Kim, Hong-Gyun;Bae, Sang-Woo;Kim, Seung-Hyun;Koo, Ho-B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1
    • /
    • pp.83-94
    • /
    • 2012
  • Slopes are commonly formed both above and below roads located in mountainous terrain and along riversides. The Buk-sil site, a cut slope formed below the road, collapsed in October, 2010. A field investigation determined the causes of failure as improper drainage of valley water from the slope above the road and direct seepage of road-surface water. These factors may have accelerated the collapse vi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water and sub-surface structures such as bedding. Projection analysis of the site showed the possible involvement of plane, wedge, and toppling failure. Safety factors calculated by Limit Equilibrium Analysis for plane and wedge failure were below the standard for wet conditions. The wetness index, analyzed using topographic factors of the study area, was 9.0-10.5, which is high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for nearby areas. This finding indicates a high concentration of water flow. We consider that water-flow control on the upper road is crucial for enhancing slope stability at the Buk-sil sit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Parameters of Culvert Outlet Facilities in Detention Pond (저류지 암거방류시설 설계인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Lee, Jae Joon;Jang, Joo Young;Lee, Hoo Sang;Jang, Hyun M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3-213
    • /
    • 2011
  • 근래 이상기후에 의한 강우량 증대와 도시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증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기존의 유수지만으로 도시홍수를 대처하는데 그 한계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각종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활용으로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신규개발지에 저류지와 같은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를 법제도적으로 의무화 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천여개소의 저류지가 시설되어 있거나 계획 중에 있다. 저류지는 개발로 인해 증가된 첨두유출량을 개발전의 상태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임시 또는 상시 저류하거나 저류능력 이상의 유출량에 대해서는 암거방류시설을 통해 하류부의 하천 또는 하도로 방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공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저류지 계획 및 설계는 첨두유출량 증가분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방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는 저류지 방류시설로 주로 사용되는 암거에 관한 설계규정이나 기법은 미미한 상태로, 한국도로공사(1991)에서 발표한 "도로배수계획"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연방도로국(FHWA, 1985)에서 발표한 설계기법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즉, 지형 또는 현장 여건에 따라 암거 흐름의 8형식 중 하나의 형식으로 결정하고, 그 형식에 따라 관련도표를 이용한 시산법 또는 도식해법을 적용하여 유입부 상류수위를 산정함으로써 암거설계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암거설계 방식은 도로 배수암거에 적합한 것으로 저류지 배수암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의 일반적인 특성상 암거흐름 8형식 중 Class-II군의 암거 상류부 수위가 잠수된 조건 즉, 평상시 저류지가 일정수위 이상의 저류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류지 암거방류시설의 대표적인 설계인자인 암거직경, 암거경사, 암거경사, 하류단 수위조건의 변화에 따른 상류부 수위변화를 유량별로 분석해 보았다. 방류 암거의 개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직경의 관계해석 시 암거단면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유량별로 상류부 수위와 암거단면적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제시하였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경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거경사가 5~20%로 변화할 때 암거상류부 수위의 변화는 2~5%정도의 매우 작은 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암거길이의 경우는 해석 조건의 특성상 상류부 수위에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하류단 수위의 관계에서 암거상류부 수위는 암거하류단 수위가 암거직경과 퇴사위 높이의 합보다 암거하류단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부터 암거하류단 수위에 비례해서 증가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Upstream of Dam and in Spillway Using Numerical Models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상류 및 여수로 수리현상 해석)

  • Kim, Young-Han;Oh, Jung-Sun;Seo, Il-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761-776
    • /
    • 2003
  • Numerical model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drodynamics of water flow in the lake behind a dam and the spillway where supercritical flows and negative pressures are likely to occur. In this study, 2-D model, RMA2 was employed to examine the upstream flow pattern and 3-D CFD model, FLUENT was used to evaluate the three-dimensional flow in the approaching region and flow distributions in the spillways and discharge culverts. The bathymetry and the details of structures wer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building the models. The results from applying the 2-D model for the planned Hantan River Dam show that large eddies, the velocity of which reaches up to 1 m/s are occurring in several places upstream of the dam. That means that the 2-D numerical model could b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two-dimensional flow patterns after the construction of a dam. Three-dimensional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approach flow varies depending on stages and discharge conditions, and velocities at spillways, discharge culverts, and sediment flushing tunnels are differently distributed. The velocity distributions obtained from the numerical model and a hydraulic model at the centerline of spillways 100 m upstream of the dam show reasonably similar results. It is expected that 2-D and 3-D numerical models ate useful tools to help optimize the dam design through investigating the flow patterns in the spillway and at the upstream of the dam, which is not always feasible in hydraulic modeling.

Carbon, Nitrogen and Phosphorous Ratios of Zooplankton in the Major River Ecosystems (국내 주요 강 생태계 내 동물플랑크톤의 탄소, 질소, 인 비율 해석)

  • Kim, Hyun-Woo;La, Geung-Hwan;Jeong, Kwang-Seuk;Kim, Dong-Kyun;Hwang, Soon-Jin;Lee, Jaeyong;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4
    • /
    • pp.581-587
    • /
    • 2013
  • The amounts of carbon (C), nitrogen (N) and phosphorus (P) in relation to dry weight (D.W.) were measured in zooplankton from the large four rivers (Han R., Geum R., Yeongsan R. and Seomjin R.) during 2004~2008. The stoichiometry of total zooplankton in four river systems was highly variable. The ranges of average C, N and P-contents were $70{\sim}620mgC\;mg^{-1}$ D.W., $7.1{\sim}85.5{\mu}gN\;mg^{-1}$ D.W. and $2.5{\sim}7.4{\mu}gP\;mg^{-1}$ D.W., respectively. The mean C :N: P atomic ratios reflected large spatial differences. The C : P and N : P ratios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ranged from 38 to 392 : 1 and from 4 to 65 : 1 in all sampling sites. Self-Organizing Map (SOM) was applied to the survey data, and the study sit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3 clusters. Clustering was largely affected b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 N, P-contents, which i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river systems on the basis of stoichiometry.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Study of Sedimentary Deposits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data in Suyeong Bay, Busan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부산 수영만의 퇴적층서 연구)

  • Seo, Young-Kyo;Lee, Gwang-Soo;Kim, Dae-Choul;Lee, Hi-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2
    • /
    • pp.81-92
    • /
    • 2011
  •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chirp and sparker system) were analyzed for the interpretation of nearshore sedimentary environments of Suyeong Bay, Busan. The sedimentary sequence is classified into three seismic units (SU1a, SU1b, and SU2), overlying acoustic basement, and each units can be defined as erosional and disconformable strata. The lowermost SU1a is characterized by the acoustically parallel and prolonged inner reflections, compared with the upper SU1b displays irregular internal reflectors. The uppermost unit, SU2, is acoustically transparent. The acoustic basement is incised with channels, probably due to the active eros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transgression. The acoustic basement deepens eastward in the study area, suggesting primary association with the Suyeong River. The upper SU1a and SU1b units constitute lowland-fill strata. SU2 is widely distributed over the study area.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of Suyeong Bay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crucial to the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al histor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ea level change, estuarine environment and influx of terrestrial sediments from the adjacent rivers.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 최동림;현상민;이태희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1
    • /
    • pp.35-43
    • /
    • 2003
  •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s of Gwangyang Bay are studied based on bathymetric maps, surface sediments, and seismic profiles. As a result of the reclamation of coastal area for an industrial complex construction, the coastline of Gwangyang Bay has rapidly been changed and the area of it has now been reduced by about 25 % in the last 30 years. In addition, the bottom topography is actively modified by dredging for navigation channels. In surfical sediment distributio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is dominated by mud facies, whereas the eastern part of the Bay is dominated by sand-mud mixing facies. Depositional sequences above the basement are divided into two units: Unit I in upper layer and Unit II in lower one. These depositional units are unconformably bounded by middle reflector-M. Unit II, mostly occupying the channel areas, is interpreted as fluvial-origin deposits during sea-level lowstand. Unit I typically shows a progradational pattern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to the Yeosu Strait, which is interpreted as deltaic deposits supplied from the Seomjin River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highstand. The shallow gas within the sediments Is widely distributed in most area, and locally exposed onto the sea-bed due to dredging.

Numerical Analysis on Liquefaction Countermeasure of Seabed under Submerged Breakwater using Concrete Mat Cover (for Regular Waves) (콘크리트매트 피복을 이용한 잠제하 해저지반에서의 액상화 대책공법에 관한 수치해석(규칙파 조건))

  • Lee, Kwang-Ho;Ryu, Heung-Won;Kim, Dong-Wook;Kim, Do-Sam;Kim, Tae-H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6
    • /
    • pp.361-374
    • /
    • 2016
  • When the seabed around and under gravity structures such as submerged breakwater is exposed to a large wave action long period, the excess pore pressure is generated significantly due to pore volume change associated with rearrangement soil grains. This effect leads a seabed liquefaction around and under structures as a result from decrease in the effective stress, and the possibility of structure failure is increased eventually. These facts shown above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gular and irregular waves. This study suggested a concrete mat for preventing the seabed liquefaction near the submerged breakwater. The concrete mat was mainly used as a countermeasure for scouring protection in riverbed.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mattress, the time and spatial series of the deformation of submerged breakwater, the pore water pressure, and the pore water pressure ratio in the seabed were investigated. Their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the seabed unprotected with the concrete mat. The results presented were confirmed that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seabed under the concrete mattress is significantly reduced under regular wav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