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생태공원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Park Using Pattern Focusing on user Behavior in River-eco-park (하천생태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른 시설이용패턴에 관한 연구)

  • Back, Jun Wook;Park, Jong Min;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2157-2168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facilities using pattern for 'River-eco-park' that is Hwa-myeong Eco-park, Sam-rak Eco-park, Maek-do Eco-park. Through doing surveys, most patterns could be divided 5 patterns; 'Eco observation facility pattern', 'Promenade pattern', 'Bike path pattern', 'Sports facility pattern', 'Fitness center pattern'. Then we find channel of movement of user patterns by follow-up surveys. On the basis of this surveys, we are going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River-eco-park design.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2 (Daejeo Ecological Park)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2 (대저생태공원))

  • Joon Gu Kang;Sung Jung Kim;Hong Koo Ye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193-200
    • /
    • 2023
  • Influx of exotic fishes is the problem of fish management. The reason why interest on river environment was increased. Recently, River project was conducted to consider environmental function on the ecosystem and Eco-Diversity. Therefore, farmlands structure along the river was removed such as vinyl greenhouse. Daejeo ecological park was built in 4 River project. Daejeo ecological park have significance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nd eco-diversity. In spite of nature river improvement, ecological system in river will be break down by exotic fis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alyze the fish faun and prevailing species occupancy in Daejeo ecological park. This data will be used to make the management plan of exotic fishes in ecological park around Daejeo ecological park.

Monitoring Study on Major Movement Route of Bass for the Management of Exotic Fishes in Nakdong-Daijeo Ecological Park (낙동강 대저생태공원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배스 이동경로 모니터링 연구)

  • Joon Gu Kang;Il Hong;Dong Ho Nam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1 no.1
    • /
    • pp.1-10
    • /
    • 2024
  • Influx of exotic fishes is the reason of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biodiversity on fishes habit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the movement of in grand ecological park along river and stream. Purpose of study is to realize the movement of exotic fishes. In this study, Monitoring was conducted in Daijeo ecological park. The movement of exotic fishes can indicate the habitats and the possible spread in Nakdong river and Daijeo ecological park.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1 (Nakdong River Site)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1 (낙동강))

  • Joon Gu Kang;Sung Jung Kim;Hong Koo Ye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184-192
    • /
    • 2023
  • Influx of exotic fishes is the reason of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Eco-Diversity Recently, River project was conducted to consider environmental function. Therefore, farmlands structure along the river was removed such as vinyl greenhouse. In order to supply water eco-diversity, ecological park was built. In spite of nature river improvement, the ecological system in river will be break down by exotic fis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alyze the fish faun and prevailing species occupancy in Nakdong river. This data will be used to make the management plan of exotic fishes in ecological park around Nakdong river.

Estimation of River Environment Flow of Donghwa Dam (동화댐의 하천유지용수 산정)

  • Kang, Seung-Mook;Kim, Sun-Joo;Kim, Phil-Sik;Shim,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1-315
    • /
    • 2012
  • 최근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는 등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용수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대상지구의 여유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하천유지용수로 판단하여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동화지구는 수변공원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변 공원조성사업의 각 시설물에 공급할 동화댐의 추가공급 가능량은 모두 하천유지용수라 할 수 있으며, 댐에서 하천유지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용수 개념의 정립과 소규모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Research on creating information map for water-friendly facilities based on RS/GIS (RS/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연구)

  • Kim, Seong J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2-222
    • /
    • 2021
  • 도시 내 하천 친수공간은 레저 및 여가를 위한 공간과 더불어 자연경관 및 생태체험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되어 지역사회에 있어 중요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4대강 사업으로 국가하천 내 휴식공간을 조성하였다. 그 후 친수지구 중에서 이용도가 저조한 곳을 해제하였으며, 현재 297개의 친수지구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친수지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수 비용들을 지자체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친수지구 지정 후 운영단계에서 지역 주민들의 특성 및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친수공간에 대한 정보구축은 조사원 조사, 유지관리 기관 조사 등 인적 조사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DB 갱신 부분에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S/GIS를 기반으로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 작성 방안 연구와 친수시설 뿐만 아니라 유역조사 시 하천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저생태공원과 삼락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항공영상의 정합 및 전처리를 실시한 후 QGIS를 활용하여 LSMS(Large-Scale Mean Shift) 기법으로 시설물 분류를 실시하였다. 공원 내 친수시설 분류를 위해 공간 반경(Spatial radius)를 10 ~ 25까지 변화시키면서 최적 분류 결과를 도출하는 공간 반경을 찾았으며 친수시설 규모와 시설의 특성에 따라 공간 반경을 조절하여 친수시설 분류맵을 작성하였다.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분류맵과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현황 및 친수시설별 코드와, 위치정보(위도, 경도 및 표고), 면적 및 관리현황으로 분류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친수시설 자동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전국 단위 통합 하천관리체계 구축 및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PDF

Influence of the Eco-park Development on Bird Community in Urban Stream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 김정수;구태회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6 no.3
    • /
    • pp.97-10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bird community by eco-park development of urban stream, Yangjae stream, Seoul, from Jan. 1996 to Dec. 2001. After the development, slight change in the bird community happened; for example, the number of species increased(r²=0.729, p<0.05), but there was not any variation in the total number of birds(r²=0.050, p>0.05). Especially,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herons and ducks rose. We suggest that the change as caused by restoration of low revetment vegetation and artificial pond vegetation in flood plain. However, the number of sandpipers, plovers and wagtails inhabiting on the sands and gravels in stream fell down. It seems that it would be caused by construction of bicycle path on the flood plain. The number of songbirds was tended to go down to 2000, but increased in 2001. The decrease of songbirds might be attributed to irregular removals of bush. We suggested that riparian vegetation restoration and artificial ponds positively affected birds inhabitation, but bicycle path and irregular elimination of a bush negatively affected.

Establishing Habitat Quality Criteria for the Ecosystem Services InVEST Model Using AHP Techniques (AHP기법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InVEST 모형 서식지질 기준 설정)

  • Hae-Seon Shin;Jeong-Eun Jang;Sang-Cheol, Lee;Hye-Yeon Kwon;Gyeong-Rok Kim;Jin Jang;Song-Hyun Cho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1
    • /
    • pp.67-78
    • /
    • 2024
  • The term ecosystem services refers to natural ecosystems' benefits to humans.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quantify ecosystem services. Habitat quality assessment is a widely used leading InVEST ecosystem service model. In Korea, habitat quality assessment is conducted for national parks. For habitat quality assessment, the initial value of habitat quality must be used to assess the sensitivity to threats,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application field. Therefore, an expert survey (AHP) was conducted based on previous habitat quality assessments in national parks to adjust the sensitivity, the initial value for the habit quality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AHP, 18 items were adjusted, including 10 items, such as natural grassland and unarranged fields, upward and 8 items, such as rivers and ponds, downward. Based on the adjusted sensitivity results, the habitat quality of Bukhansan National Park and Gyeryongsan National Park (urban type), Gyeongju National Park (historic typ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cean type), and Jirisan National Park and Seoraksan National Park (mountain type) were adjus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abitat quality of urban dry areas and water bodies distributed in the national parks was reflected in the habitat quality assess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habitat quality of natural parks using this standard.

인간과 하천 2 - 키시미 강(Kissimmee River) 복원 - "옛 것이 새롭다" -

  • U, Hyo-Seop
    • River and Culture
    • /
    • v.6 no.1
    • /
    • pp.83-89
    • /
    • 2010
  •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인가 '하천복원', '강살리기'라는 말이 일상화 되었다. 하천을 복원한다는 것, 또는 강을 되살린다는 것은 무엇일까? 학술적 의미에서는 이른바 하천이라는 수생서식처가 가지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되살리는 것이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그런 의미보다는 강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공원처럼 꾸며서 이른바 에메너티를 향상시킨다는 의미가 더 보편적으로 강조되었다. 문제는 이 두가지 의미는 대부분 상충된다는 것이다. 위 같은 두가지 의미가 같이 쓰이는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선진외국의 하천복원은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을까에 대한 답을 얻기위해 외국의 복원 사례를 하나의 시리즈로 엮어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한토목학회, 한국생태학회, 한국하천호수학회 회원들이 공동으로 집필하고 있는 세계의 하천복원 사례를 일 년에 걸쳐 각 집필자가 돌아가면서 소개하고자 한다. 첫 사례로서 미국의 키시미 강을 이번 호에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