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만곡률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high meandering channel with riparian vegetation (하도 식생에 의한 급만곡 사행하천의 발달 과정 수치모의)

  • Jang, Chang-L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6-56
    • /
    • 2020
  • 하도식생은 흐름과 유사의 이송에 영향을 주고, 하도의 지형변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다. 하도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또한 하천의 사행발달 및 하천의 지형변화에 영향을 준다. 식생의 성장과 밀도는 홍수 및 하상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이는 흐름 및 하천의 지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도식생에 의한 사행하천의 발달과정을 2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하도식생의 생의 성장과 소멸과정을 고려하여 식생밀도를 고려하여 사행하천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특히, 흐름이 집중되는 만곡부에서 하안침식이 증가하며, 하도의 사행도가 증가하였다(Fig.1(b)). 시간이 증가하면서 만곡부 내측에서 고정사주 내측에서 scroll bar가 발달하며, 만곡부 외측에서는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사행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식생의 침수시간이 감소하고 식생의 성장률은 증가하였다(Fig.1(c)).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행도는 증가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 PDF

Estimation of the Water Surface Slope by the River Bend Curvature and Flood Discharge (하천 만곡률과 홍수량에 따른 수면경사도 산정)

  • Choi, Han-Kuy;Lee, Mun-Hee;Baek, Hyo-Sun;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2 s.25
    • /
    • pp.65-71
    • /
    • 2007
  • In this research, we made a one and two-dimensional analysis of numerical data collected from the bend curvature of a bended river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numerical analysis, the inflow & output angle caused a water level deviation which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flood discharge. From the water level deviation of our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e obtained the maximum slope of 6,67% when the inflow and output angle was 105 degrees and the flood discharge was 500 CMS. As for the right side, the differences with the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were reduced when the angle was more than $90^{\circ}$. As for the left side the differences were reduced when the angle was more than $105^{\circ}$. For a river with more than 90 degrees bend curvature, a hydraulic experiment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n a numerical analysis.

Estimation of the Water Surface Slope by the Flood Discharge with River Bend Curvature (하천 만곡률과 홍수량에 따른 수면경사도 산정)

  • Choi, Han-Kyu;Lee, Mun-Hee;Baek, Hyo-S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6 no.A
    • /
    • pp.129-137
    • /
    • 2006
  • In this research, we made a one and two-dimensional analysis of numerical data collected from the bend curvature of a bended river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numerical analysis, the inflow & output angle caused a water level deviation which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flood discharge. From the water level deviation of our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e obtained the maximum slope of 6,67% when the inflow and output angle was 105 degrees and the flood discharge was 500 CMS. As for the right side, the differences with the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were reduced when the angle was more than $90^{\circ}$. As for the left side the differences were reduced when the angle was more than $105^{\circ}$. For a river with more than 90 degrees bend curvature, a hydraulic experiment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n a numerical analysis.

  • PDF

Compatibility inspection for the way for Decision about Bight Flow Profile of Standard River Design (하천설계기준의 만곡부 수면형 결정 방법에 대한 적용성 검증)

  • Choi, Han-Kuy;Che, Hong-Gi;Baek, Hyo-S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6 no.B
    • /
    • pp.43-51
    • /
    • 2006
  • Through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between the value calculated from two-dimensional number formula, one-dimensional number interpretation, and curving part water surface type calculation method, we could confirmed that the deviation is reduced more than 50% when we use curving part water surface type calculation metho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occurs the reduction rate of maximum 59% as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one-dimensional number interpretation since the reduction rate of safe room height was 20%, in 500 CMS of flood water quantity when we planted the construction of levee by curving part water surface type calculation method. And therefore, we have confirmed that the curving water surface type calculation method can be used as a simple formula in rivers with water quantity less than 500 CMS that flows in and out in Jess than 90 degree angle.

  • PDF

A Study on the Curvature Ratio and Coefficient in Channel Bend (유로만곡부(流路彎曲部)의 곡율비(曲率比)와 곡율계수(曲率係數)에 관한 연구(硏究))

  • Chung, Yong Tai;Lee, Jin Eun;Song, Jai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1
    • /
    • pp.117-124
    • /
    • 1991
  • Based on the momentum equation for the flow in a stream bend, the force per unit area which the flow exerts on the outer of a bend is directly proportional to a certain curvature coefficient, $C{\alpha}$. This coefficient is dependent on the ratio of bend radius(R) to flow width(W), as well as on the coefficient of dynamic bedload friction, $tan{\alph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or the downstrream at the Han river, the range of R/w values is between 2.0 and 4.0. Exploring the variations of $C{\alpha}$ with R/w values a functional relationship which, for the known values of $tan{\alpha}$, shows maximum values of $C{\alpha}$ for R/w values between 2.21 and 4.42 in 1963, while in 1981 its values lied between 1.93 and 3.54.

  • PDF

Developement of a 2D Numerical Model Using th WAF Method (WAF기법을 이용한 2차원 유한체적모형의 개발)

  • Han, Kun-Yeun;Kim, Byung-Hyun;Kim, Tae-Hyung;Lee,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42-1746
    • /
    • 2008
  •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은 상류와 사류가 혼재된 불연속적인 천이류 흐름을 해석하기에 계산의 정확도 및 현실성에서 많은 문제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계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른하도의 처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한체적기법을 사용하여 상류와 사류가 혼재하는 불연속적인 하천 천이류를 안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개발된 고정확도 수치모형의 자연하도 적용에 있으며, 또한 마른 하도로 전파되는 흐름 모의 및 계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른하도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모형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검증하여 실제 하천에서의 모형 적용성을 검토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흐름의 전파양상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상류이송기법인 Godunov 기법과 관심격자의 좌우 격자 정보를 모두 사용하는 대표적 중앙차분기법인 Beam-Warming 기법의 장점을 모두 반영한 가중평균흐름률 (Weighted Average Flux) 기법을 사용하여 사각격자망의 구성을 통해 자연하도에 적용시킬 수 있는 2차원 유한체적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개발된 모형의 안정성, 정확도,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직사각형 수로, 큰 사행비를 가진 만곡수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수리모형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The Change of Stream Flow Characteristics after Removing Small Dam (보 철거 후 하도내 흐름특성 변화)

  • Lee, Bae-Sung;Jeong, So-Young;Jeong, Dong-Kug;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86-1690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의 개수사업 및 교량, 제방 등과 같은 수공구조물 설계시 계획 홍수위를 산정하는데 있어 실무에서는 1차원 모형인 HEC-RAS 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HEC-RAS 모형과 같은 1차원 모형의 경우 모형의 한계로 인해 하폭의 확대, 축소, 만곡부 및 섬 등과 같은 장애물 존재시 하천횡단면에 따른 수위 및 유속변화를 표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런 한계로 인해 1차원 모형만을 이용하여 하도 및 하천공간계획을 수립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최근 들어 하천기능에 대한 인식이 과거 홍수소통, 용수이용 등 이.치수중심에서 인간과 다양한 생명체가 공존하는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는 생태하천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이 변화된 패러다임하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 등과 같은 하천관련 사업추진 시 합리적인 하도 및 하천의 공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하도내 2차원 흐름특성 등과 같은 기초자료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하도 및 하천의 공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보 철거에 따른 하도내 흐름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 하천인 두계천에 대하여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한 하도내 흐름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2차원 모형으로는 유한요소법에 기반을 둔 RMA-2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선정하였고,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선정된 하류단의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2차원 수리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철거대상 취수보 15개에 대하여 보철거 후 수위에 대한 개선 효과는 금암보를 제외한 대부분의 보 철거 구간에서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보 철거에 따른 유속의 개선효과는 대부분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경우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수위, 유량이 저류지의 상류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같은 값의 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

  • PDF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Finite Volume Model Applicable to Mixed Meshes (혼합격자의 적용이 가능한 2차원 유한체적모형의 개발)

  • Kim, Byung-Hyun;Han, Kun-Yeon;Son, Ah-L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2
    • /
    • pp.109-123
    • /
    • 2011
  • In this study, 2D finite volume model, which can apply to the mixed meshes that is effective to treat the complicated topography such as a natural river, is developed. To do so, an algorithm for finding the neighbouring cell of a computational cell is introduced, and fluxes are computed using the HLLC approximate Riemann solver at each interface between a computational cell and it's neighbouring cells. Moreover, in order to numerically treat the bed slope which has important effect on the balance between flux gradients and sourte terms, different formula to compute the bed slope for rectangular and triangular mesh are applied.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analyze dam-break in an experimental channel with $90^{\circ}$ bend and Malpasset dam-break in France. The two cases consist of mixed meshes and the suggested method is validated for the experimental channel and natural channel by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data, field data and computed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