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공간

Search Result 1,23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termination of Floodplain Restoration Area Based on Old Maps and Analysis on Flood Storage Effects of Flood Mitigation Sections (고지도를 활용한 홍수터 복원 구역 선정 및 홍수완충공간의 홍수 저류효과 분석)

  • Dong-jin Lee;Un Ji;Sanghyuk Kim;Hong-Kyu Ahn;Eun-kyung Ja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2
    • /
    • pp.40-49
    • /
    • 2023
  • To reduce the damage of extreme flooding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o create flood mitigation sections in a nature-friendly riparian area,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floodplain area by referring to the past floodplain section of the current inland waterfront area before the levee was buil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a location for floodplain restoration using old maps of the Geum River study sec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flood level reduction through unsteady flow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e floodplain as a flood mitigation space.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the river areas using old maps, the river section was estimated to gradually reduce by 27.8% (1,059,380 m2) in 2020 compared to 1919, and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ive storage capacity of 2,200,868 m3 when restored to offline storage. The flood level and discharge control effects analyzed based on HEC-RAS unsteady flow simulation were 16 cm and 219.01 m3/s, respectively, in the downstream cross-section. In the numerical simulation in this paper, the flood mitigation space was applied as an offline reservoir.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od level may differ if levee retreat/relocation is applied.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orm Damage Area : The Case of Gyeonggi-do (수해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Kang, Sangjun;Jung, Juch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5D
    • /
    • pp.507-517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flooding resilient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torm damage areas in Gyeonggi-do. The employed methods are 1)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to understand the spatial patterns of storm damage areas occurred from 2005 to 2009, 2)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to examine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ed in storm damage areas for the year of 2009. The results show that 1) crop land damage is very sensitive to heavy precipitation, 2) damaged buildings are found in all over the Gyeonggi areas, but relatively more damages are in the regions closed to the City of Seoul, 3) damaged roads-bridges, streams, and reaches are found in mostly rural areas, 4) building and crop land damage occurs mostly in lowlands with different spatial patterns. These findings imply that 1) it will be useful to consider the average distances and slopes of damaged building and crop lands from streams for the decision making of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2) further management efforts are required in the north, east, and south regions of Gyeonggi areas to prevent roads-bridge, stream, and reach damages, 3) the present land use pattern needs to be carefully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 damage clustered areas for the year of 2009 based on watershed and municipality boundaries.

Policy Direction of River Management based on Public Awareness Survey (시민인식조사 기반의 하천관리 정책 방향)

  • Kim, Ik Jae;Kwak, Hyoeun;Ryu, Mun Hyun;Choi, Hyo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40
    • /
    • 2019
  • 시민인식은 하천관리를 포함한 공공정책 수립에 결정적 요소들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하천관리체계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하천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우리나라 물관리 일원화 후 하천의 이용과 관리 및 정책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향후 하천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이용, 관리(주체), 정책, 기후변화 등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번 설문 대상은 전국의 남녀 4,500명(10대~60대)이었으며 패널 참여 방식으로 조사되었다. 설문 문항의 구성은 크게 하천 이용, 하천 관리, 그리고 물관리 일원화와 기후변화 등을 포함한 하천정책 등으로 3대 주제로 세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는 조사대상 시민들의 약 22.9%는 매주 하천을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년간 1번은 하천을 방문(이용)하는 시민들은 85.5%로 나타났다. 자주 방문하는 하천의 규모 혹은 위치는 중(中)하천이 42.2%로 가장 높았고, 대(大)하천은 23.9%, 소(小)하천은 17.5%, 도랑이나 개울은 15.5%로 나타났다. 기타(0.9%)로는 하천 외에도 물을 접할 수 있는 저수지, 인공하천 및 호수공원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방문자 중 최소 2시간을 체류하는 시민 중 약 96.4%는 걸어서 하천을 접근하고, 지하철을 이용하여 하천을 접근하는 방문자는 최소 1시간에서 2시간 이상을 체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시민들은 하천관리 중에서 접근 편의성(28.4%), 친수시설(자전거 도로, 산책로 등) 관리(24.2%), 수질관리(9.9%)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질(27.4%, WQ(water quality))과 냄새 및 쓰레기(25.5%, OW(odor and waste))가 가장 높게 하천관리의 불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는 WQ (29.6 %), OW (17.7%), 그리고 물부족 (15.1%)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한 관심도는 깨끗한 수질의 하천(36.1%, WQ), 휴식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하천(22.9%), 다양한 동 식물의 생태서식공간(14.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은 하천관리 기관의 가져야할 역량은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 중 가장 큰 문제로 우선순위 1~3순위 누적 조사 결과, 수질악화(79.9%, WQ), 하천 수생물 훼손(49.6%), 정부부처 간 협력부족(37.6%)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2018년 추진된 물관리 일원화 후 정부의 물관리 및 하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는 WQ (46.0%), 물공급 관리 (17.6%), 그리고 생태계 복원 (8.4%)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들 중 하나는 현재와 미래 하천에 대한 가장 높은 시민들의 수요는 깨끗한 수질과 생태서식공간이었으며 이는 향후 하천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 Lee, Ji-Wan;Jung, In-Kyun;Park, Jong-Yoon;Jung, Chung-Gill;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GIS-based Tool for Automated Inundation Mapping (GIS 기반 홍수범람지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Kim, Taeeun;Kim, Dongsu;Seo, Kanghyeon;Son, Geunsoo;You,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8-148
    • /
    • 2016
  • 홍수범람지도는 치수 대책 수립 등 다양한 목적으로 국내 주요하천에서 작성되고 있으며 범람 구역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수행되고 있다. 최근, 공간적으로 매우 정밀한 LiDAR 측량 성과를 기반한 DEM을 이용하거나 2차원 혹은 3차원 수치모델링을 적용하여 범람지도의 정확성 및 적용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또한, 범람구역의 불확도에 관련된 연구도 다수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정밀 DEM 자료가 가용하거나 치수의 중요도가 높은 국가하천 지역에 국한되고 있으며 중소하천을 포함한 국가 전체 홍수지도 작성은 여전히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중소하천의 경우, 공간해상도 및 정확도가 낮은 DEM과 1차원 모델링에 기반하여 범람지도의 신뢰도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또한, 홍수지도 작성 기법은 비교적 잘 알려진 상황이나 작성 과정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작업으로 지도 작성 시 실무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중소하천을 포괄한 홍수범람지도 작성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천기본계획에서 확보될 수 있는 하도단면 측량 등 표고 측량 성과를 활용하여 공간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DEM을 정교화 및 상세화할 수 있는 개선기법 및 복잡한 범람지도 작성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성 소요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GIS 기반의 홍수범람지도 작성 자동화 툴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GIS 기반의 자동화 툴은 AIM(Automated Inundation Mapping tool)로 명명되었으며 ESRI사의 ArcObjects를 활용하여 개발되어 ArcGIS 기반으로 운영되며 현재 HEC-RAS 홍수위 자료가 입력자료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었다. 개선된 DEM과 AIM은 시범적으로 제주도 한천 하류에 적용되었으며 2007년 태풍 나리 시 발생한 범람흔적도와 비교했을 때 기존 방식에 비해 범람지도의 정확도와 작성시간(10초 가량 소요)이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 PDF

Analysis of spatial self-similarity in river basin (하천유역의 공간 자기상사성 분석)

  • 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3-4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공간적 자기상사성 평가를 통하여 하천유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상사성 분석의 지표인 허스트지수 및 프랙탈차원을 산정하였다. 허스트지수(h)의 산정은 모형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지수에 따라 지형의 모양은 서로 상이하게 다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허스트지수의 산정은 Hurst가 제시한 방법(허스트지수), Peters의 수정식, Mandebrot와 Wallis의 Pox 도표, 투영면적 및 표면적 비율 방법(면적지수)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공간 자기상성 분석을 위해 면적지수에 의한 방법과 허스트지수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형자료는 LiDAR 측량 및 하천 횡단측량에 의해 생성된 정밀 DEM을 활용하여 허스트지수 및 프랙탈차원을 산정하였다. 면적지수 및 허스트지수에 의한 프랙탈차원과 평균경사도와의 관계에서 아라천유역은 결정계수 R2값이 94.9 %, 99.5 %로 비교적 결정계수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경사도와 표면적과의 관계에서 결정계수 R2값은 81.8 %로 분석되었다. 이는 면적지수와 허스트지수에 의해 산정된 프랙탈 차원은 유역의 지형특성 인자로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Suitability for Web Service of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하천공간정보 웹 서비스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HONG, Sung-Soo;SHIN, Hyung-Jin;HWANG, Eui-Ho;CHAE, Hyo-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21-132
    • /
    • 2019
  • Recently as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 based on World Wide Web is rapidly growing. According to this, Importance for suitability of web service is emphasized by increased user with development of technique of web service.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included with River Geospatial information(HydroG-OneFlow) has been doing that many study about web service which center of IT, However study about test of web service is lacking of situation. Accordingly, verif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Web services with the Web services implementation HydroG-OneFlow. Performance & stability test are verified that HydroG-OneFlow for Apache Jmeter of open source and conformability & interoperability test are verified for StyleCop. Result of performance is that if users are increase the number of 500, average responses time is about two seconds. and Result of reliability is that if users are increase the number of 500, decrease about 0.2%. it is verified that conformability and interoperability test to swelled about reliability of HydroG-OneFlow. Through that It will be compens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seb service and vulnerability of HydroG-OneFlow.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Kyung-Tak;Choi, Yun-Seok;Kim, Joo-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2
    • /
    • pp.87-96
    • /
    • 2004
  • When watershed spatial database is constructed from DEM, hydrologi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can be easily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can be assigned and managed as the attribute of spatial database. In this study the scheme of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which is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watershed information is examined. We established framework spatial data and defined the relationship of the data. And framework spatial database of test site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HyGIS(Hydrolog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domestic technology for making hydrological spatial data and developing water resources system is used. Hydrologi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ata is extracted by HyGIS. And the data from HyGIS is used for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of test sit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y of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 PDF

A Study on the Survey Methodology in Riverbed Private Use using Integration Drone Photogrammetry and Cadastral Information (드론 사진측량과 지적정보를 융합한 하천부지 점용 조사방법)

  • Oh, Yi Kyu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7 no.2
    • /
    • pp.135-144
    • /
    • 2017
  • The riverbed areas have exposed to various natural disasters and the private use by neighboring residents have caused many problem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to survey the actual situation of riverbed areas in order to prevent landscape damage and private use. Drone and photogrammetry, orthophoto, DSM(Digital Surface Model), digital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information have been integrated by GIS technology. The flood and disaster vulnerable area has been surveyed and the land use and private use has been analyzed using cadastral inform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analyzed data can be used for providing foundation data for management of river and also can be used for surveying actual situation of private use on the riverbe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