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orm Damage Area : The Case of Gyeonggi-do

수해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2.07.04
  • Published : 2012.09.15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flooding resilient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torm damage areas in Gyeonggi-do. The employed methods are 1)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to understand the spatial patterns of storm damage areas occurred from 2005 to 2009, 2)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to examine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ed in storm damage areas for the year of 2009. The results show that 1) crop land damage is very sensitive to heavy precipitation, 2) damaged buildings are found in all over the Gyeonggi areas, but relatively more damages are in the regions closed to the City of Seoul, 3) damaged roads-bridges, streams, and reaches are found in mostly rural areas, 4) building and crop land damage occurs mostly in lowlands with different spatial patterns. These findings imply that 1) it will be useful to consider the average distances and slopes of damaged building and crop lands from streams for the decision making of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2) further management efforts are required in the north, east, and south regions of Gyeonggi areas to prevent roads-bridge, stream, and reach damages, 3) the present land use pattern needs to be carefully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 damage clustered areas for the year of 2009 based on watershed and municipality boundaries.

본 연구는 경기도의 최근 피해 자료를 이용하여 수해지 특성분석과 이를 반영한 토지이용관리 방안제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크게 네 가지로 첫째, 개괄적인 피해지의 공간적 분포 경향 분석, 둘째 공간자기상관성 분석, 셋째, 하천 이격거리분석, 넷째, 분석결과를 반영한 토지이용관리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수해지에 대한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과 자기상관성(Local Indicator of Spatial Autocorrelation: LISA)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경지피해는 집중강우에 민감하며, 둘째, 건물피해의 경우는 서울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 전역에 걸쳐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셋째, 도로교량과 하천, 그리고 소하천 피해는 교외지역 비율이 높은 곳에서 보다 높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경기도 주택침수의 경향은 하천변 저지대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농경지 침수도 하천변 저지대 중심으로 발생하며 침수피해에 있어서 주택과 농경지는 서로 다른 공간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리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해 피해지 분포특성의 토지이용관리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피해우려지역과 농경지피해 우려지역으로 구분 후, 경사도와 하천에서부터의 거리를 고려한 '하천변 토지이용 관리 우선지역'의 고려를 제안한다. 둘째, 경기 동부를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 지역의 경우 도로교량, 하천, 소하천에 관리역량이 집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사후대책이기는 하나 2009년 주택 및 농경지 각각의 피해군집 유역 및 행정동에 대한 재해대책 및 토지이용현황에 대한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2010) Impact of BMP Allocation on Discharge and Avoided Costs in an Urbanized Watershed. 환경정책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9권 제24호, pp. 83-107.
  2. 강상준.안창우(2006)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Discharge Regime and Water Quality in a Small Watershed.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50권, pp. 3-18.
  3. 건설교통부(2008) 기후변화대비 국가 물안보 확보방안.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4. 고재경(2009)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연구보고서, 경기개발연구원.
  5. 국토해양부(2008) 이상기후에 대비한 시설기준 강화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6. 김영 외(2004)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이용한 지방 연담도시의 도시공간구조 비교분석 및 상호작용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6호, pp. 7-22.
  7. 김재익.권진휘(2010) 대도시권의 중심도시와 하위지역간 상호연관관계의 특성 :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5권 제1호, pp. 139-153.
  8. 소방방재청(2009) 2008 재난연감. 소방방재청.
  9. 소방방재청(1995-2009) 재해연보. 소방방재청.
  10. 심우배(2008) 우리나라 도시침수피해 특성과 대응과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9호, pp. 41-46.
  11. 심재현.김영복(2006) 전국 상습수해지구 현황과 대책. 방재연구, 국립방재교육연구원, 제8권 제1호, pp. 79-94.
  12. 정주철 외(2007)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3. 지홍기 외(2005) 지구단위 홍수방어계획 수립방향. 제10회 방재안전 세미나 자료집(5월 27일).
  14. 최충익(2003) 도시적 토지이용의 변화가 도시의 자연재해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사례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8권 제2호, pp. 35-48.
  15. 한건연(2009) 선진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홍수방어기술 개발. 제14 회 방재안전 세미나 자료집(6월 30일).
  16. 허준행(2009) 강우예측을 통한 홍수기 댐운영 효율화 추진. 제14 회 방재안전 세미나 자료집(6월 30일).
  17. Anselin, L. et al. (1993) Spatial analyses of crime, Criminal Justice 2000.
  18.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No. 2, pp. 93-115.
  19. Anselin, L. (2002) Exploring spatial data with DynESDA2, Center for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IL.
  20. Geis, D. E. (2000) By design: The disaster resistant and quality of life community, Natural Hazards Review, Vol. 1, No. 3, pp. 151-160. https://doi.org/10.1061/(ASCE)1527-6988(2000)1:3(151)
  21. Godschalk, D. R. (2003) Urban Hazard Mitigation: Creating Resilient Cities. Natural Hazards Review, Vol. 4, No. 3, pp. 136-143 https://doi.org/10.1061/(ASCE)1527-6988(2003)4:3(136)
  22. Philip, R. et al. (2003) Greening development to protect watersheds: Does new urbanism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9, No. 4, pp. 397-413. https://doi.org/10.1080/01944360308976327
  23. Schueler, T. R. (1994)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Water Protection Techniques, Vol. 1, No. 3, pp. 100-111.
  24. Stvens, M. R., Berke, P. R., and Song, Y. (2010) Creating disaster resilient communities: Evaluating the promise and performance of new urbanism, Journal of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94, pp. 105-11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9.08.004
  25. Talen, E. and Anselin, L. (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ot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0, pp. 595-613. https://doi.org/10.1068/a300595

Cited by

  1. Local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flooding areas using GWR vol.23, pp.1,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1.39
  2. Is Flood Risk Capitalized into Real Estate Market Value? A Mahalanobis-Metric Matching Approach to the Housing Market in Gyeonggi, South Korea vol.10, pp.11, 2018, https://doi.org/10.3390/su10114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