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중측정

Search Result 1,51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sidual Stress Redistribution and Fatigue Behavior in Weldment (용접재의 잔류응력 재분포와 피로거동)

  • 이용복;정진성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5 no.3
    • /
    • pp.20-28
    • /
    • 1997
  • 용접부에는 많은 취약조건들이 존재하며 파괴의 주 원인이 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용접재료, 용접 조건 및 용접방법 등 을 개선함으로써 여러 방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용접시의 열소 성변형과 구속조건에 따라 분포하는 잔류응력에 의한 피로균열거동에 대한 연구는 정확한 잔류응력 측정의 어려움으로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잔류응력의 측정기술과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균열 진전시 잔류응력의 이완 등은 이들을 해석하는데 많은 어 려움을 주고 있다. 용접시 높은 열에 의한 재료의 팽창과 냉각시의 수축변형은 용접 부재에 인장 및 압축 잔류응력을 유발시키고, 인장잔류응력은 균열 진전될 때 잔류 응력은 오히려 균열을 지연시키기도 한다. 또한 잔류응력장에서 피로 균열이 진전될 때 잔류응력은 일반적으로 작용하중의 크기와 반복 수 그리고 균열 진전 등으로 인하 여 이완되고 재분포된다. 본 해설에서는 용접재의 피로거동중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재분포 현상을 하중의 범위, 하중 반복수, 균열 진전의 영향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Problems Double Integration of an Acceleration to Determin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under Moving Load (이동하중을 받는 보의 변위응답 산정을 위한 가속도신호의 적분상 문제점)

  • 양경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35-146
    • /
    • 1998
  • 대형 시스템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동적 재하시험에 있어서 변위를 측정하는 것보다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수월하나 대부분의 공학적 기준은 응력과 비례관계를 지니는 변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재하시험시 측정된 가속도신호를 이용하여 변위응답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적분을 위한 신호처리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정상상태 및 천이영역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초기조건의 항을 도입함으로써 시간영역의 적분과 주파수영역의 적분결과가 일치함을 해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동하중을 받는 보의 동적거동에 대하여 제시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Ground Support Conditions of Pipe Ends in Single Span Pipe Greenhouse (단동파이프하우스의 지점조건 분석을 위한 실험 연구)

  • Lee, Suk-Gun;Lee, Jong-Won;Kwak, Cheul-Soon;Lee, Hyun-W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7 no.3
    • /
    • pp.188-196
    • /
    • 2008
  • Single span pipe greenhouses (pipe houses) are widely used in Korea because these simple structures are suitable for construction by farmers thus reducing labor cost. However, these pipe houses are very weak and frequently damaged by heavy snow and strong wind. Pipe house is constructed by pipe fabricator, which is anchored to the ground by inserting each pipe end into ground to $30\sim40cm$, so the ground support condition of pipe end is not clear for theoretical analysis on greenhouse struc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suitable ground support condition needed f3r structural analysis when pipe house was designed. The snow and wind loading tests on the actual size pipe house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collapsing shape, displacement and stra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for 4 different ground support conditions of pipe ends(fixed at ground surface, hinged at ground surface, fixed under ground and hinged under ground). The pipe house under snow load was collapsed at the eaves as predicted, and the actual strain at the windward eave and ground support under wind load was larger than that under snow load. The displacement was the largest at the hinged support under ground, followed by the hinged at ground surface, the fixed under ground and then the fixed at ground surface independent of displacement direction and experimental loading con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d most closely with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is at the fixed condition under ground among 4 different ground support conditions. As the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pipe end support condition of single span pipe greenhouse was the fixed under ground for structural analysis.

Compressional Properties of Fabrics at Low Pressure to Assess Real Fabric Handle (직물의 태 예측에 근접한 직물의 저응력 압축특성 측정)

  • Na, Young-Joo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 no.4
    • /
    • pp.358-362
    • /
    • 1999
  • Twenty-three fabrics of varying thicknesses and weights were subjected to the maximum pressures of 10, 20, 35, 50 and 70 $gf/cm^2$ to yield pressure-thickness curves. Compression property values were plot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o the samples. Pressure increases resulted in decreases in LC (compressional curve linearity), increases in WC (compressional energy) and no change in RC (compressional resilience). The best-fit lines are found separately according to pressures. The thickest fabrics exhibited the highest LC and WC values. The slopes varied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with a pressure 50 $gf/cm^2$ exhibiting the steepest slope at We. The pressure of 20 $gf/cm^2$ correlated most closely with the hand-evaluation test results, yielding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86 and .82 respectively for the LC and WC.

  • PDF

Structural Analysis of Gasket and GDL for Enhanced Performance of 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가스켓 및 GDL의 구조 해석)

  • Yoon, Jin-Young;Park, J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7
    • /
    • pp.642-650
    • /
    • 2008
  • In this paper, structural behavior of Gasket and GDL of a PEMFC stack is stud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o secure the safety. In the Gasket analysis Mooney-Rivlin strain energy function is used to consider hyperelasticity of load and displacement. The material properties is determined by testing specimens of the gasket at uni-axial and equi-biaxial mode and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By measuring a thickness change, the material property of GDL is determined. The pressure drop of a unit cell is measured along the channel for the clamping force. A cross sectional change of channel base on the experimental data is obtained experimentally and compare with FEM analysis results.

Stress Distribution under a Geogrid-Reinforced Soil Pad (지오그리드로 보강한 성토지반의 응력분포)

  • 이규진;신방웅;신은철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4
    • /
    • pp.87-91
    • /
    • 2001
  • 얕은 기초의 침하는 기초에 가해지는 상재 하중의 지반에 전달될 때 분포되는 응력의 특성과 크기에 관련되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로 두께가 작은 토체를 보강하면 지중에 전달되는 응력을 재분포시켜 감소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현장시험을 통하여 여러 층의 지오그리드로 토체를 보강시 토체 상부에 가해지는 원형 등분포 하중하에서 토체의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인천국제 공항 건설 현장의 준설 매립 구간에서 행하여진 이 시험을 통하여,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토체의 하중 분포는 기초에 가해지는 하중 강도와, 보강재 포설층수, 토체의 두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Improved Point Load Apparatus (개량형 점하중강도시험기의 개발)

  • Kim, Yong-Phil;Um, Jeong-Gi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6
    • /
    • pp.473-478
    • /
    • 2009
  • The accuracy of point load apparatus is depend on point to point coaxial fitting. Also, the estimation of applied point load using the pressure gauge frequently lead to erroneous results. An improved point load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by mounting linear bearing on polished support rod, and eccentric error of point to point axis has been sustained less than 0.1 mm even under series of extreme work load conditions. Two digital displacement gauges are attached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point to point with sample specimen. A load cell mounted at the end of upper conical platen measure the applied net load on sample instead of preassure gauge. Total of 107 point load tests has been achieved to assur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developed apparatus. This exercise turned out to be successful.

한국 작업자의 요통예방을 위한 작업하중 설계지침

  • 이관석;박희석;서치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97-10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는 작업에 있어서 한국 작업자의 적정하중을 구하여 중량물 안전기준을 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피실험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적정하중을 결정하기 위 한 기준으로서 피실험자 자신에 의해서 인지되는 스트레스 정도를 이용하는 심리육체적 방법(Psychophysical method),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요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는 생체역학적 방법(Biomechanical method),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피실험자의 에너지 소모량을 이용하는 생리학적 접근법등이 이용되었다. 피실험자는 학생(n=3) 두개의 군으로 나뉘어진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피실험자에 대한 인체측정과 근력측정을 수행 하였다. 실험은 수직면에서 드는 빈도(1,2, 와 4회/분)와 드는 높이(0-8cm 와 47-102cm)를 조합한 6가지의 작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심리육체적 방법으로 각 작업에 대한 적정하중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피실험 자의 신체자료와 근력의 비교로부터 신체조건은 학생이 우수하였으나, 근력은 작업자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 에서 채택된 들기의 빈도가 변함에 따라 최대허용 하중은 변하였다. 작업자군에 대하여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최대허용 하중은 감소하였으며, 학생군에 대하여는 분당 1회와 분당 4회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들기의 시작-종점의 변화에따른 최대허용 하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두 결과는 들기의 빈도가 들기의 시작-종점보다 민감한 변수임을 가리키며 이는 미국 NIOSH의 결과와 일치한다. 심리육체적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젊고 건강한 남성의 대부분(99%)을 고려하여 산출된 최대허용 하중은 미국 NIOSH 안전기준과 큰 차 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최대허용 하중은 인체역학적방법과 생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무리가 없는 수준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우리나라 젊고 건강한 남성에게 적합한 무게상수는 작업자군에 대하여 25.05kg, 학생군에 대하여 20.24kg 으로 나타나 이는 미국 NIOSH 안전기준과 대체로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 PDF

Experimental Validation of Crack Growth Prognosis under Variable Amplitude Loads (변동진폭하중 하에서 균열성장 예측의 실험적 검증)

  • Leem, Sang-Hyuck;An, Dawn;Lim, Che-Kyu;Hwang, Woongki;Choi, Joo-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3
    • /
    • pp.267-275
    • /
    • 2012
  • In this study, crack growth in a center-cracked plate is predicted under mode I variable amplitude loading, and the result is validated by experiment. Huang's model is employed to describe crack growth with acceleration and retardation due to the variable loading effect. Experiment is conducted with Al6016-T6 plate, in which the load is applied, and crack length is measured periodically. Particle Filter algorithm, which is based on the Bayesian approach, is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from the experimental data, and predict the crack growth of the future in the probabilistic way. The prediction is validated by the run-to-failure results, from which it is observed that the method predicts well the unique behavior of crack retardation and the more data are used, the closer prediction we get to the actual run-to-failure data.

Reliability Analysis of Fatigue Truck Model Using Measured Truck Traffic Statistics (통행차량 특성을 반영한 강교량 피로설계트럭의 피로파괴 신뢰도해석)

  • Shin, Dong Ku;Kwon, Tae Hyung;Park, Young 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9 no.2
    • /
    • pp.211-221
    • /
    • 2007
  • A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of fatigue truck model for fatigue failure of highway steel bridge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Miner's fatigue damage rule expressed as a function of various random variables affecting fatigue damage. Among the variables, the statistical parameters for equivalent moment, impact factor, and loadometer were obtained by analyzing recently measured domestic traffic data, whereas the parameters on fatigue strength, girder distribution factor, and headway factor of the measured data available in the literature were used. The effects of various fatigue truck models, fatigue life, ADTT, fatigue detail category, loadometer, and gross vehicle weight of fatigue truck on the reliability index of fatigue damage were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tical results presented herein can be used as a basic background material in the calibration of both fatigue design truck and fatigue load factor of LRFD spec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