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88 seconds

Simulation for the Fuel Economy and the Emission of Diesel Hybrid Electric Vehicle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연료경제성 및 배출가스에 관한 시뮬레이션)

  • Han, Sung-Bin;Chang, Yong-Hoon;Suh, Buhm-Joo;Chung, Yon-Jong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8 no.1
    • /
    • pp.31-36
    • /
    • 2009
  • There are several types of environment friendly vehicle being developed by auto manufactures. HEV (Hybrid Electric Vehicle) is most applicable one among them in actuality. HEV has two power sources, one i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other one is an electric device. The HEV is developed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We selected the diesel engine as a main power source of HEV. The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driving cycles which was CBDBUS (Central Business Driving Bus Schedule) and HWFET (Highway Fuel Economy Test). This research presents a simulation for the fuel economy and the emission of heavy diesel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SHEV (Serial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Plug-in SHEV and plug-in PHEV.

Technology Development on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기술개발 동향)

  • Chun, H.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6
    • /
    • pp.155-164
    • /
    • 2012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는 가정이나 건물의 전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충전한 배터리의 전기동력으로 주행하다가 배터리 방전 시 일반 하이브리드카처럼 내연기관 엔진과 배터리의 전기동력을 동시에 사용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자동차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인 높은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고 해도 짧은 주행거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대안으로 전원을 직접 연결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42V Mild-Hybrid Vehicle (42V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에너지 관리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Baek-Haeng;Shin, Dong-Hyun;Song, Hyun-Sik;Kim, Byeong-Woo;Kim, Hee-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968-969
    • /
    • 2006
  •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안전한 자동차, 편리하고 편안한 자동차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기계/유압식 자동차 부품들을 전기장치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의한 가격경쟁력 강화에 힘입어 신규부품 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자동차 부품의 전기/전자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기에너지의 소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새로운 차량용 전원체계에 대한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90년대 중반 미국의 MIT/Industry Consortium 등을 중심으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자동차용 42V 전원체계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아울러 연비개선을 위한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능의 채용이 검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42V 전원체계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성능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관해 소개하고, 마일드 하이브리드 운용에 적합한 에너지 관리장치 개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Hybrid Electric Vehicle Technology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기술과 전망)

  • 남궁억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924-932
    • /
    • 1995
  • 국제 환경규제가 강화되어짐에 따라 초저공해 자동차인 ULEV 및 무공해 자동차인 ZEV의 개 발을 필수적이다. 캘리포니아주법규에 따르면 Maker의 NMOG(non meth-ane organic gas) 평 균치를 만족한다 하더라도 ZEV의 판매는 의무화되어 있다. 1989-1993 MY 기간중 연평균 판매 대수가 35,000대 이상인 Mater는 1998년 2% 적용대상이 되며, 2003년부터는 연간 3,000대 이상 판매되는 모든 Maker에 ZEV 10%가 적용된다. 이와 관련 2003년 이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나머지 75%(ULEV를 포함할 경우 25%)의 IC엔진이 탑재된 자동차를 판매하기 위해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자동차와는 달리 주행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엔진의 효율이 가장 좋은 RPM에서 발전기를 회전시킴으 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 도심지에서 전기자동차 모드(mode)로 주행하기 때문에 대도시의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이 극히 적기 때문에 미래의 도시형 자동차로서 각광 받을 수 있는 자동차로 생각된다.

  • PDF

HEV: A Review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기술동향)

  • Nah, Do-Baek;Shin, Hyo-S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9 no.1
    • /
    • pp.39-50
    • /
    • 2010
  • Hybrid Electric Vehicle(HEV)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PHEV) will replace Conventional Gasolene Engine Vehicle at a rapid rate to eliminate emission gases and improve fuel economy. This review describes Fuzzy Logic Control strategy and Optimization for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Recent progress on Electric Motor and Li-ion Battery for HEV and PHEV are given.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Korean HEV and PHEV technology based o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and patents registered are also performed.

Study on the Measuring Methods of Electric Continuity of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Hyang-Kon;Gil, Hyoung-Jun;Moon, Hyun-Wook;Choi, Chung-Seog;Choi,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9a
    • /
    • pp.273-27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vehicle)의 고전원 전기장치 및 전기배선 충전부의 인체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전기적 연속성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인체 감전 보호를 위한 기본 대책으로 충전부의 기본절연, 충전부 접근에 대한 보호(배리어, 인클로져 등)가 있다.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과 관련된 시험방법은 UNECE, ISO, Japan Attachment 등에서 언급하고 있다. 이들 기준에서 전기적 연속성은 $0.1{\Omega}$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 측정 방법에 있어 외국의 기준과 규격의 내용을 검토하고 전기적 연속성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Procedures of LLC Resonant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On-Board Charger (전기자동차 OBC용 LLC 공진형 컨버터의 설계절차)

  • Jung, Yong-Ch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1
    • /
    • pp.91-96
    • /
    • 2014
  • nowadays, many researche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the gas mileage in comparison with mass-produced hybrid electric vehicles. In this paper, the on-board charger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is studied for obtaining the high efficiency. The on-board charger consists of two phase interleaved PFC circuit and LLC resonant converter. The new design procedures of LLC resonant converter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se are very simple and powerful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e LLC resonant converter is designed and tested by using PSIM tool.

그린카 보급정책 동향 및 호남광역경제권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전략

  • Lee, Jun-Hang
    • KIPE Magazine
    • /
    • v.16 no.2
    • /
    • pp.25-31
    • /
    • 2011
  • 최근 10년동안 지구환경 문제는 인류가 하는 모든 활동에 있어 기본전제가 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해 자동차의 $CO_2$ 배출량을 줄이는 문제가 최근 수송기계 분야의 초미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문제와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 문제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큰 전환기를 맞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규제가 법제화되면서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기술은 그린카(친환경자동차) 기술로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린카는 전기자동차, 클린 디젤차, 연료전지차 정도로 대분류되며 전기자동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으로 분류된다. 이미 그린카의 양산이 수년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2~3년내로 각국의 major급 자동차 메이커에서 이에 대한 양산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의 그린카 정책동향과 국내 그린카 활성화 정책 및 현정부의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으로 추진중인 호남광역경제권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Patent Assignees Trend Analysis of Hybrid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특허 출원인 동향 분석)

  • Kw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5-336
    • /
    • 2011
  •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현대자동차가 575건으로 가장 많은 등록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의 TOYOTA MOTOR가 56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출원인별 IPC 분포를 통해 연구개발 역점분야를 살펴보면, 주요 상위 출원인은 하이브리드 관련 배치(B60K), 하이브리드 관련 제어(B60W), 전기장치(B60L)에 집중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TOYOTA MOTOR와 NISSAN MOTOR는 하이브리드 관련 제어(B60W), HONDA MOTOR는 하이브리드 관련 배치(B60K) 및 전동기(H02P)관련 연구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 PDF

Design of Charge and Discharge Monitor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ies of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충방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Lee, Jun-Ha;Lee, Kang-Ho;Choi, Jo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8
    • /
    • pp.157-161
    • /
    • 2010
  • Most of air pollution in a metropolis is the result of exhaust gas emissions from automotive vehicles, and the world-wide regulation against environmental pollution is becoming more strict. Moreover the demand on development and supply of an environment-friendly automobile is increasing and the market share about tha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in this time of high oil price. The secondary batterie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to store the electrical energy in hybrid electric vehicle. It needs to the higher power characteristics to emit the energy instantaneou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system to monitor reliably the charge and discharge states of the secondary batteries for hybrid electric vehicle. The material is about SW and HW module the software and hardware module mounted on the charge and discharge system and the monitoring system to control the charge and discharge performanc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