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이브리드보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rror Estimation about Selectivity of Approximate Range Queries in Multi-Dimensional Histogram (다차원 히스토그램에서 범위 질의의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 정지훈;홍석진;배진욱;안성준;송병호;이석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1-213
    • /
    • 2001
  • 히스토그램은 질의 최적화글 위해 사용되는 튿-계 정또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방대한 데이타에 대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스토그램을 통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결과는 항상 오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도에 대한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추정된 선택도의 오차 추정에 대한 기존 방법은 1차원 히스토그램만을 고려하여 하나의 애트리뷰트의 값에 따라 빈도의 분포를 반영하므로 애트리뷰트가 많은 다차원 히스토그램에 바로 적용시키는데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추정된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기법들을 다차원에 적용할 수 있게 확장한 M-Max, M-Sum 기법을 제안하고, 두 기법을 합친 하이브리드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M-Sum 기법과 하이브리드 기법이 M-Max 기법보다 정확한 오차 추정 기법임을 보이고, 또한 작은 기억 공간에서도 두 기법이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함을 보인다.

  • PDF

Flexural capacity evaluation of hybrid composite beam using high strength steel (고강도강재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 Kim, Dae-Hee;Lee, Kyung-Koo;Kim, Young-Gi;Min, Kyung-Cheol;Byeon, Tae-Woo;Joo, E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04a
    • /
    • pp.146-147
    • /
    • 2022
  • Exposed composite beams composed of H-beams and concrete slabs are generally used in building structures because of their excellent economics and flexural strength. However, deep beams used under large load often make difficulties in construction. In this study, an exposed composite beam with high strength steel (SM460) used in the bottom flange of built-up H-shaped beam, so-called S-Beam, was proposed in order to reduce beam depth. And its positive and negative flexural strength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S-Beam has excellent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 PDF

Study on the Cyclic Seismic Testing of U-shape Hybrid Composite Beam-to-Composite Column Connections (신형상 U형 하이브리드 합성보와 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 Kim, Sung Bae;Kim, Sang Seup;Ryu, Deog 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5 no.1
    • /
    • pp.47-59
    • /
    • 2013
  • This study that is a successive secondary study right after the primary bending strength test of a new form of U-shape hybrid composite beam is a cyclic seismic test of U-shape hybrid composite beam and column conncetion. Three specimens are built for the variables which are kinds of columns, depth of beam, continuity or discontinuity of upper plate of beam, and a number of steel bars of end-beam. Kinds of columns are a reinforcement concrete column and a ACT column of CFT shape, and beam depth are 300, and 500 mm. Detail of connection is bolt connection with using a short bracket that is commonly use. As the result, deformability of 2~4% is ensured the floor displacement angle. If it is the negative moment, the maximum moment shows that its capacity is above the nominal mo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의 성능 평가)

  • Wie, Sunghong;Jang, Jaesh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0
    • /
    • pp.1862-1872
    • /
    • 2017
  •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Central Mobility Management (CMM) protocols, IETF has been discussing about the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protocols that the centralized mobility functions of Home Agents (HA) are distributed to network edges closer to mobile users. The DMM protocol has some advantages of low-cost traffic delivery and high scalability. However, it faces several problems such as a high signaling cost and a complex address management. Especially, users moving at a high speed and with long-live sessions can make these problems worse. To reduce the high signaling cost for long-live sessions, we propose a novel hybrid DMM protocol allocating different mobility anchors according to the session dur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hybrid DMM protocol and show superior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signaling cost.

Information-Based Hybrid Modeling Framework on the Systematic use of Artificial Neural-Networks (구조모델 개선을 위한 정보기반 하이브리드 모델링 기법)

  • Kim, JunHee;Jamshid, Ghaboussi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4
    • /
    • pp.363-372
    • /
    • 2012
  • In this study, a new information-based hybrid modeling framework is proposed. In the hybrid framework, a conventional mathematical model is complemented by the informational methods. The basic premise of the proposed hybrid methodology is that not all features of system response are amenable to mathematical modeling, hence considering informational alternatives. This may be because (i) the underlying theory is not available or not sufficiently developed, or (ii) the existing theory is too complex and therefore not suitable for modeling within building frame analysis. The role of informational methods is to model aspects that the mathematical model leaves out. Autoprogressive algorithm and self-learning simulation extract the missing aspects from a system response. In a hybrid framework, experimental data is an integral part of modeling, rather than being used strictly for validation processes. The potential of the hybrid methodology is illustrated through modeling complex hysteretic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Modeling and Design of a Hybrid Filter using PSCAD/EMTDC (PSCAD/EMTDC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터 모델링 및 설계)

  • Cho, Young-Sik;Cha, Han-Ju;Kim, Bok-Ry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22-1223
    • /
    • 2011
  • 전력전자 소자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비선형부하 사용의 증가는 전력계통에 고조파 전류와 전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비선형 부하의 사용 증가가 예상되는 미래에는 점점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고조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인 수동필터에 의한 방법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설계의 어려움, 공진문제, 부품의 과부하, 필터성능이 시스템 임피던스에 의존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능동필터는 수동필터가 갖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는 있지만, 높은 가격과 낮은 신뢰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딜레마의 해결책은 수동필터와 능동필터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PSCAD/EMTDC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필터를 모델링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sign of a Branch Line Hybrid Coupler Using a Common DGS Structure (공통 결함접지구조를 이용한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 설계)

  • Lee, Jae-Hoon;Lee, Jun;Kim, Bo-Kyun;Lim, Jong-Sik;Ahn, Da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85-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공통 결함접지구조를 이용하여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회로를 소형화하여 설계한 결과를 제시한다.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회로는 가장 널리 쓰이는 전자파회로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통 결함접지구조를 이용하여 소형화한 커플러 회로는 크기가 소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커플러 구조와 유사한 정합, 격리 및 전력분배 특성을 보여준다.

  • PDF

DCT/DFT Hybrid Algorithm using Simple Element Inverse (단순 엘레멘트 인버스를 이용한 DCT/DFT 하이브리드 알고리즘)

  • Lee, Kwang-Jae;Park, Dae-Chul;Lee, Moon-Ho;Sin, Tae-Chol;Chen, Zh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6C
    • /
    • pp.594-599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representation of DCT/DFT matrices via one hybrid architecture. Based on a element inverse matrix factorization algorithm, we show that the DCT and DFT have a same recursive computational pattern, and we can develop an hybrid architecture by using some diagonal matrices.

Development of school affairs information alerts Hybrid App in Mobile Envire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사정보 알리미 하이브리드 앱 개발)

  • Kim, Seokhun;Yeom, Cho-rong;Song, Miyeong;Sok,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39-141
    • /
    • 2015
  • 최근 대학 모바일 구축 환경의 트랜드가 변화하면서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가진 하이브리드 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학생들을 위한 공지사항, 취업정보, 학사 정보, 식당 메뉴, 교통정도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에서 접근할 수 없었던 학사정보를 모바일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앱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Vibration Control of Intelligent Structures via ER Fluids and Piezoelectric Film Actuators (전기유동유체와 압전필름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지능구조물의 진동제어)

  • 박용군;최승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249-25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응용성이 큰 ER유체와 압전필름을 액튜에이터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지능구조물을 제안한 후 능동 진동제어를 실시하였다. 먼저 중공(hollow)의 샌드위치 형태 복합재료(glass/epoxy)보에 ER유체와 압전필름을 각각 삽입과 접착을 하여 하이브리드형 지능구조물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 매체의 액튜에이팅 특성을 고려하여, ER유체 액튜에이터(ERFA)는 전장부하 함수로 도출되는 구조물의 주파수응답을 특징으로 하였고, 압전필름 액튜에이터(PFA)는 신경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neuro sliding mode controller : NSC)를 적용하였다. 이 두 액튜에이터가 동시에 작동하는 능동 진동제어계를 실험적으로 구현한 후 과도응답과 강제 응답에 대한 진동제어 성능을 단일 액튜에이터 작동시와 비교 고찰하여 제시된 하이브리드 액튜에이팅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