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위 문화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3초

패션에 표현된 Goth 스타일 연구

  • 박은경;정현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28
    • /
    • 2003
  • 새 천년의 디지털 문화에서 가상의 시나리오와 판타지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패션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그 주된 흐름이 하위문화의 하나인 Goth 스타일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Goth 스타일의 실체와 기원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패션에 표현된 Goth적 요소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ing flow on Happiness)

  • 박승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99-3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보육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몰입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며, 교수몰입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ity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Scale)

  • 유효순;이채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0곳에서 표집된 교사 200명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40곳에서 표집된 교사 31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는 다양한 민족알기,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다양한 문화알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척도의 신뢰도(Cronbach's ${\alpha}$)는 .87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다양한 민족 알기' .82,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82, '다양한 문화 알기' .7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척도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RMSEA=.08, SRMR=.06, NNFI=.90, CFI=.92으로 나타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가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마돈나 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없음 (A Study on the Postmodern Identity in Madonna Costume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 김주영;양숙희
    • 복식
    • /
    • 제51권8호
    • /
    • pp.123-139
    • /
    • 2001
  • 본고는 공간, 시간, 계급, 종교 등 하위문화 텍스트의 병행인용 즉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통해, 20세기 대중 문화의 상징 마돈나 뮤직 비디오와 공연 등의 인체, 의상, 이미지 등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미디어 문화를 관통하는 주체적 여성 정체성과 미적 주관성을 이해하고자한다. 첫째, 상호공간텍스트성 복식은 스패니쉬룩. 태국룩. 게이샤룩, 테크노펑크룩, 테크노 카우걸룩 등의 동서양의 지리적 소외감을 통해 비권위적 다양한 시선을 제시함으로써, 다국적 자본주의와 함께 확장된 미적 체험을 하게 한다.; 둘째, 상호시간텍스트성 복식은 중세 엠파이어 드레스, 18세기 로코코시대의 robe'a la francaise, 미래적 제 3의 종 룩 등 동시적 몽환적 이미지를 통해 유희적 유토피아를 지향하였다.; 셋째, 상호계급텍스트성 복식은 그라피티룩, 펑크룩, 키치룩, 먼로 룩, 보깅(voguing), 에비타 룩 등 상하류층, 하위문화, 빈부, 권력의 유무를 병행인용하여, 좋은/나쁜 취향, 창녀/성녀 이분법을 해체하고 반부르조아적 저항과 물질주의를 찬양하는 탈계급적, 양면적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 넷째, 상호종교텍스트성 복식은 상징적 가부장인 카톨릭교 텍스트를 인용하여 펑키크리스찬 룩, 에로틱 크리스찬 룩 등의 선/악, 신성성/관능성, 미추, 정숙성/비정숙성의 이분법, 비장미를 해체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 무의식이 강조된 쾌락주의적, 반권위주의적 정체성을 주장한다. 섹슈얼리티에 있어, 시선, 권력, 쾌락의 주체가 됨으로써, 미적 범주에 있어 선악, 미추, 정숙성과 비정숙성의 이분법을 해체함으로써, 유동적 자아를 구성한 마돈나 의상의 포스트모던 정체성은 여성에게 확대된 가능성을 제공하며 내부로부터 해체된 열린 복식을 지향한다.

  • PDF

해양경찰의 하위문화가 조직갈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Maritime Police Subculture on Organizational Conflict)

  • 임유석;김종길;유영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88-693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을 진단하고 더불어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해양경찰조직의 지배적인 주류문화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하위문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해양경찰조직 자체가 가지고 있는 관료제적 가치와 민주적 가치와의 균형이나 대립 그리고 모순으로 인한 보편화된 갈등과 마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해양경찰의 하위문화가 조직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소주의가 기능적 갈등에 미치는 영향 중에는 피조사자의 거짓말과 경찰에 대한 비신뢰성이 강할수록 기능적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층적 갈등에서는 경찰업무에 대한 비협조와 비신뢰성이 강할수록 계층적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주의가 기능적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자경찰관들은 남자경찰관들에 비해 직무수행 능력이 저조하기 때문에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층적 갈등에서는 여성경찰관의 직무범위를 축소하고 직무수행능력이 저조하여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화거부주의가 기능적 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며, 상대적인 범죄통제 지향주의에서는 범죄의 통제를 위한 공격적인 태도와 범죄와 무관한 업무를 지양할 경우에 기능적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층적 갈등에서는 공격적인 태도와 범죄와 무관한 업무를 수행할 때에 계층적인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북을 활용한 조직 내 소통이 조직문화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Using Facebook on Organization Culture and Emotional Labor : Focusing on K Quasi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 김명옥;이미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52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준정부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페이스북 소통매체 활용정도가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조직문화 및 감정노동과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국내 K준정부기관 직원 총 1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한 결과, 조직 내 페이스북 소통매체 활용정도는 인지된 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 하위요인 중 감정표현의 빈도와 감정표현의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직이 아닌 일반 사무직 종사자, 연구원 및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을 조사한 최초 실증연구이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조직 내 효과적인 소통 방법 구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Efficacy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 박진경;최순옥;김희숙;서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32-6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 주민 문화간호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간호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문화간호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학년(p=.033), 형식적 다문화 교육 중 대학 전공과목(p=.035), 대학 교양과목(p=.009), 국민정체성의 하위영역 중 멤버십(p=.001), 북한이탈주민 문화인식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요소(p=.049), 의식적 요소(p=.008), 행동적 요소(p=.001)이었다. 연구결과는 간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과과정에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다문화 교육과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을 제시하며 간호 대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서 유능한 문화간호 수행자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맥락요인: 가족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Social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Family Income Class)

  • 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36-545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 소득계층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를 검토하고, 주요 사회맥락인 가족환경과 학교환경, 이웃환경, 이중문화적응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계층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1,265 사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은 소득계층에 따라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하위계층 청소년의 진로장벽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소득계층별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맥락요인 분석결과, 하위계층 청소년은 어머니의 관여부족과 학업적응이, 중위계층 청소년은 가족지지와 학업적응, 교우관계, 학교내 도움을 주는 어른 유무가, 상위계층 청소년은 어머니의 진로간섭과 학업적응이 유의미한 사회맥락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 진로장벽에 대한 개입방안과 추후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코스플레 하위문화의 외모 특성과 상징적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Cospla Subculture in Korea)

  • 남궁윤선;황선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4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cospla subculture in 1990s new generation of Korean youth, focused on activity that was reproducing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characters in animation, comic books and computer games, and to understand the representing process and meaning of appearance. The ethnographic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were used to approach such cultural form more closely from the youth generations perspective and their langu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though the cospla is originated from Japan, the local experience of Koreans make it the special youth subculture of Korea. 2. There are homological features and hierachical structure among group members of cospla subculture. The core values of Korean cospla are that they are realizing their ideal and elevating their own self-esteem. 3. Their appearance has connotation as symbolic resistance. The cultural activity of cospla is non-realistic, non-productive, but cosplayers conform to the social norm, too.

  • PDF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 김미정;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68-279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중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51, 개인차원의 환자안전 지식/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6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태도 3.91, 기술 3.47, 지식 3.24 순이었다.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3.85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투약 간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r=.40, p<.001),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r=.70,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r=.40, p<.001)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 중 최근 1년 이내 안전교육을 받은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어 환자안전 관련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