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위범주화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effect of semantic categorization of episodic memory on encoding of subordinate details: An fMRI study (일화 기억의 의미적 범주화가 세부 기억의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분석 연구)

  • Yi, Darren Sehjung;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8 no.4
    • /
    • pp.193-221
    • /
    • 2017
  • Grouping episodes into semantically related categories is necessary for better mnemonic structure. However, the effect of grouping on memory of subordinate details was not clearly understood. In an fMRI study, we tested whether attending superordinate during semantic association disrupts or enhances subordinate episodic details. In each cycle of the experiment, five cue words were presented sequentially with two related detail words placed underneath for each cue. Participants were asked whether they could imagine a category that includes the previously shown cue words in each cycle, and their confidence on retrieval was rat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cued recall tests on presented detail words after the session. Behavioral data showed that reaction times for categorization tasks decreased and confidence levels increased in the third trial of each cycle, thus this trial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nsight where a semantic category was believed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Critically, the accuracy of recalling detail words presented immediately prior to third trials was lower than those of followed trials, indicating that subordinate details were disrupted during categorization.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of the trial immediately prior to the completion of categorization, specifically the second trial, revealed significant activation in the temporal gyrus and inferior frontal gyrus, areas of semantic memory networks. Representative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activation patterns of the third trials were more consistent than those of the second trials in the temporal gyrus, inferior frontal gyrus, and hippocampus. Our research demonstrates that semantic grouping can cause memories of subordinate details to fade, suggesting that semantic retrieval during categorization affects the quality of related episodic memory.

Korean Dependency Parser Using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of Predicates (술어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파서)

  • Jang, Myung-Gil;Lee, Hyun-A;Park, Jae-Deuk;Park, Dong-In;Hwang, Do-Sa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452-463
    • /
    • 1996
  • 의존 문법을 사용한 의존 파싱에서 기본적인 단어(품사정보)들 사이의 의존 관계 검사에 의한 파싱 방법은 불필요한 의존 관계의 생성을 가져온다. 이러한 과생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싱 단계에서 보다 정교한 의존 파싱을 통해서 불필요한 의존 관계의 생성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의존 파싱에서 최소한의 의존 관계를 생성하기 위하여 후보 의존소가 지배가능경로 상에서 술어 지배소와의 의존 관계 검사 시에 술어의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하는 효율적인 의존 파싱 방법을 제안한다. 이것은 의존 파싱의 다음 처리 단계인 의존 제약의 적용에 훨씬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

  • PDF

Study on Named Entity Recognition in Korean Text (한국어 문서에서 개체명 인식에 관한 연구)

  • Lee, Kyung-Hee;Lee, Ju-Ho;Choi, Myung-Seok;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292-29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사전과 결합 단어 사전, 그리고 용언의 하위범주화 사전을 이용하는 규칙 기반의 한국어 개체명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각 규칙은 네 단계로 나누어 적용되는데, 첫번째 단계에서는 어절 내의 단어 정보를, 두번째 단계에서는 제한된 주변 문맥 정보를, 그리고 세번째 단계에서는 용언의 하위범주화 정보와 개체명과의 관계를 이응하고, 마지막으로 네번째 단계에서는 개체명 간의 관계 정보를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규칙 기반 개체명 인식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90.4%의 정화률과 83.4%의 재현율을 얻었다.

  • PDF

Optimization of Number of Training Documents in Text Categorization (문헌범주화에서 학습문헌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Shim,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4 s.62
    • /
    • pp.277-294
    • /
    • 2006
  • This paper examines a level of categorization performance in a real-life collection of abstract article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ests the optimal size of documents per category in a training set using a kNN classifier. The corpus is built by choosing categories that hold more than 2,556 documents first, and then 2,556 documents per category are randomly selected. It is further divided into eight subsets of different size of training documents : each set is randomly selected to build training documents ranging from 20 documents (Tr-20) to 2,000 documents (Tr-2000) per category. The categorization performances of the 8 subsets are compared.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eight subsets is 30% in $F_1$ measure which i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eight subsets the Tr-100 appears to be the most optimal size for training a km classifier In addition, the correctness of subject categories assigned to the training sets is probed by manually reclassifying the training sets in order to support the above conclusion by establishing a relation between and the correctness and categorization performance.

Korean Syntax Analysis Using Sentence Pattern Information (문형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구문 분석)

  • Han, Yong-Gi;Hwang, Yi-Gyu;Lee, Yong-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23-29
    • /
    • 1995
  • 대부분의 한국어 구문 분석은 용언과 명사구 사이의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하여 용언에 대한 명사구의 문법적 역할을 밝히는 방향으로 구문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이용된 용언의 하위 범주화 정보가 단지 자릿수 서술어나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 등으로 분류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구문 모호성이 많이 발생하고 틀린 문장이 구문적으로 옳기 때문에 옳은 문장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용언에 따른 문장 형태(문형)를 세분류하고 문장에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NP[case])와 수의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NP[case])를 분류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확장된 PATR II로 문법을 기술하여 동적인 파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형 정보는 한국어의 기본 구조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를 기계번역을 위한 한국어 문법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Unification based Chart Parsing for Korean (Chart와 단일화를 이용한 한국어 분석 기법)

  • Kwon, Hyuk-Chul;Chae, Young-Soog;Yun, A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15-20
    • /
    • 1989
  • 이 논문은 상대적으로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인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모든 가능한 문장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한국어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구절 구조에 의한 통사 표현 기능을 하위 범주화와 단일화에 의해 보완하는 기법을 이용하면서, bottom-up과 left-right에 의해 분석이 가능한 단일 과정 (one-path) 분석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본 논문의 특징이다. 그리고 하위 범주화와 서술어의 어미가 가진 양상 정보에 의존하여 한국어의 내포문 처리가 이루어져야함을 보여준다.

  • PDF

The Design?Marketing Strategy through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sauce)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디자인?마케팅 전략(장류제품을 중심으로))

  • Lee, Yu-Ri;Yang, Jong-Yeol;Park,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64-66
    • /
    • 2007
  • 범주화(categorization)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 및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 안에 유사한 하위 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장류제품전체와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의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류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장류제품이 한국인의 식탁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제품 중의 하나이고 또 현대화시대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의 변화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증연구는 전북지역과 서울지역의 소비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eganalysis based on image Categorization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계수를 이용한 영상의 범주화에 근거한 스테그분석의 성능 개선)

  • Park, Tae Hee;Eom, Il Kyu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6
    • /
    • pp.221-227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steganalysis method based on image categorization. In general, most steganalysis methods extract the statistical moments based features which contain the global natures of images regardless of their inherent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teganalysis method based on the statistical moments leads to degraded performance by applying to images with different complexity. In this paper, we decompose an 8-bit image into an upper 4-bit plane and a lower 4-bit plane, and categorize the image with two class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ecomposed sub-images. Two independent steganalyses can be performed for the categorized images. Since our method uses independent steganalysis technique according to the image category, it can reduce the drawback of the steganalysis methods utilizing the statistical moment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compared with well-known four steganalysis methods.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has higher detection rate than previous methods.

A Case Study on Adult Learners' Performance Experience of Convergence Program for Self-Confidence Improvement (성인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Park, Sun-Hee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4
    • /
    • pp.49-5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of adult learners' experience in which they performed a convergence program for the self-confidence improvement of disabled persons with brain lesion who were daycare center users. For the goal,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5-session profound interview with those disabled persons and then through this author's ob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all the data and, as a result, categorized three significant themes that best represented the above mentioned meaning, which are 'tension of beginning', 'joy of being in company with others' and 'I as the present being'. With those meaningful themes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field program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better connection with adult learners' major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