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역공간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oading and Loading Space in the Central Commercial Area (도심상업지역 가로에 있어서 하역의 실태분석과 하역주차공간 산정에 관한 연구)

  • 정헌영;신진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65-7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도심상업지역 중 특히 노상에서 하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교통상의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를 중심으로 하여 하역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하역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필요 하역주차공간을 산정해 그 활용방안에 대해서 고찰을 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시 도심상업지역의 점포에서 반.출입되는 화물의 수송형태는 공동수송보다 개별적으로 수송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도심상업지역의 시각별 순간노상주차현황을 보면 승용차의 비율이 높으나 화물의 반.출입에는 소형트럭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목적시설과 가까운 곳에 주차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역주차공간산정을 위해 대기행력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결과,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 도로길이에 따른 불법주차 발생비율과 필요한 하역주차공간과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하역주차공간산정을 위해 대기행렬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결과,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 도로길이에 따른 불법주차 발생비율과 필요한 하역주차공간과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한편, 무질서한 노상하역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주차공간의 적절한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또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노외 하역주차공간의 확보 및 화물의 공동집배송 등에 관한 여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location planning of the on-street loading/unloading bay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도심상업지역의 노상 하역공간 최적배치계획에 대한 연구)

  • Lee, Sang-Yong;Jung, Hun-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2
    • /
    • pp.57-67
    • /
    • 2008
  • Loading zone is necessary to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due to freight trucks coming into inner city. Currently truck drivers in metropolitan area are forced to illegally park their freight trucks on the roads close to the business facilities because there is no or few loading zones available in the CBD. This situation would bring into traffic congestion and even might block local roads in the CBD.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improvement plans in city logistics, and examines delivery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ight trucks and drivers in Seomyeon, the central downtown of Busan. Also it conducts a location planning for on-street loading/unloading bay using a technical method for arranging loading space. This research estimated the number of parking and stop bays for truck's operation using queueing theory based on truck-service rate and arrival rate, and found locations with the minimum resistance function values for freight movement in arranging on-street loading/unloading bays.

Development of an 3D Simulator for Port Loading Equipment (항망 하역 장비 3차원 시뮬레이터 개발)

  • 김동영;최한수;김대준;이재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42-744
    • /
    • 1999
  • 효율적인 항만 운영을 위해서는 항만 하역 장비의 자동화와 하역 장비의 효과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하역 장비를 제작하고 그 운영을 실제로 현장에서 직접 시도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본 논문은 VR 기술을 항만 하역 장비의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것으로, 기존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단점인 현실감 부족을 개선하고 실제 하역 장비의 모형을 만들어 시뮬레이션에 이용했다. 사용자는 실제 하역 장비들의 하역 과정을 3차원 공간에서 표현된 컴퓨터 화면을 통해 현장과 유사한 현실감을 느끼면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하역 장비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향후로는 실제 하역 장비의 이동과 위치 추정 및 감시, 작업 통제 등이 가능한 하역 장비 운영을 위한 실시간 통합 운영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PDF

Research on the Design and Economic Analysis for the Operation of Cargo Batch Loading and Unloading Systems (일괄 하역장비 운영을 위한 하역작업장 설계 및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ang, Moo-Hong;Lee, Suk;Chu, Yaung-Gil;Choi, Sang-Hei;Won, Seung-Hwan;Cho, Sung-Woo;Kim, Woo-S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1
    • /
    • pp.1-10
    • /
    • 2017
  • The dynamic nature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to improve productivity and safety within logistics centers, has necessitated various studies to support efficient and safe working conditions for workers. However, accidents in the loading dock occur frequently as workers and forklift trucks operate within the same space. This research introduces cargo batch loading and unloading systems, which enable increasing productivity and safety through the use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in the loading dock. To assist efficient operation of this new system, four pieces of general-purpose equipment or three pieces of dedicated equipment are deemed to be essential. Moreover, the floor area of the loading dock is designed to accommodate $256.28m^2$ and $207.00m^2$ for the general-purpose and dedicated system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space allocated for equipment and additional space. The design of the loading dock considers the area of the loading dock as well as the cargo batch loading and unloading systems. Economic analysis, such as NPV, IRR, and PBT,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sensitivity analysis on key variables.

A Simulation Model for an ALV System at a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의 ALV 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 Bae, Jong-Wook;Choi, Sang-Hee;Kim, Chang-Hyun;Park, Soon-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7 no.4
    • /
    • pp.29-39
    • /
    • 2008
  • Recently, an ALV (Automated Lifting Vehicle) is studied as an efficient transporter, which can reduce the waiting time during ship operation in a container terminal. There are little of studies on an ALV system considering dynamic factors after analysing the cooperation between equipments. The performance of an ALV depends on self-loading & unloading of an ALV, vehicle’s interference, and occupancy of an available transfer point under dynamic environment. So,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of a container terminal with an ALV system. Therefore the simulation model with operational rules that be apt for an ALV system must be developed. Also the model ha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operations and vehicle traffic. Supposing an container terminal with perpendicular layout, this study analyses the process of container handling operation and proposes operational rules such as the ALV dispatching, routing algorithm and so on for a model. We developed a simulation model for a container terminal with an ALV system using object-oriented simulation software, Anylogic.

  • PDF

Vehicle Loading Model Considering Routing Sequence in Shipbuilding Material (조선기자재 산업에서의 방문 순서를 고려한 차량 적재 모형)

  • Lee, Jong-Ho;Shin, Jae-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8
    • /
    • pp.711-716
    • /
    • 2007
  • When the freight is loaded into a container loading rate must be considered. There are many studies on loading more freights into limited space. But the problem, which is needed to consider the routing sequence is different. A large size of freights, such as shipbuilding materials, am be rehandled or cannot be possible to unload.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consider routing sequence, whereupon I present the container loading model which consider the routing sequence and loading rate and its solution.

A Development of Preventable System for the Falling Ore in the Unloader (원료공장 언로다 낙광 방지 시스템 개발)

  • 허윤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525-2528
    • /
    • 2003
  • 본 논문은 제철소 원료공장에서 선박으로부터 철광석, 석탄 등의 원료를 언로다 내부의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 시, 선박과 부두와의 공간이 발생하여 이 공간으로 원료가 낙광 하여 해양오염이 발생하고 원료의 유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낙광방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선박과의 거리 인식 및 PLC 제어기를 이용한 자동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언로다 본체에 낙광방지판과 이를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형태의 구동기와 낙광방지판을 연결하는 링크부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거리 감지 센서 3대로부터 선박과의 최소 거리를 구하고 이를 PLC 제어기를 이용하여 목표 거리와의 오차를 구한 다음, 오차의 증감에 따라 구동기인 에어 실린더의 이동량을 구하여 낙광방지판을 선박과 최대한 밀착시켜 하역 작업을 하고, 떨어진 낙광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다.

  • PDF

A Development of Preventable System for the Falling Ore in the Unloader (제철소 원료공장 낙광 방지 시스템 개발)

  • Hur, Yone-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b
    • /
    • pp.304-306
    • /
    • 2003
  • 본 논문은 제철소 원료공장에서 선박으로부터 철광석, 석탄 등의 원료를 언로다 내부의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 시, 선박과 부두와의 공간이 발생하여 이 공간으로 원료가 낙광 하여 해양오염이 발생하고 원료의 유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낙광방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선박과의 거리인식 및 PLC제어기를 이용한 자동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언로다 본체에 낙광방지판과 이를 구동하는 에어실린더형태의 구동기와 낙광방지판을 연결하는 링크부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거리 감지 센서 3 대로부터 선박과의 최소 거리를 구하고 이를 PLC 제어기를 이용하여 목표 거리와의 오차를 구한 다음, 오차의 증감에 따라 구동기인 에어 실린더의 이동량을 구하여 낙광방지판을 선박과 최대한 밀착시켜 하역 작업을 하고, 떨어진 낙광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Automobile Export Ports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수출항만 효율성 비교 분석)

  • Kim, Hwa 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4
    • /
    • pp.73-82
    • /
    • 2017
  • Korea is the fifth largest producer of automobiles in the world, and this industry accounts for the highest portion of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an especially important industry occupying second place in the top 10 export items in Korea. Korea exports about 3 million units of cars produced in the country and abroad, based on new cars and excluding second hand cars. Japan, along with Korea, represents a high portion of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and it exports more than 4 million cars to the rest of the world. In particular, both Korea and Japan export automobile and used cars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lmost all of them by PCC(Pure Car Carrier) or PCTC(Pure Car Truck Carrier). Therefore, automobile export ports are located near automobile factories, and are being used in export to foreign countries. However, there are inefficient problems, such as poor port facilities, yard space shortage for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and lack of proficiency of cargo handling companies. As a result, there are delays in cargo operations, or ships waiting have occur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automobile export ports in Korea and Japan.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automobile export port, we used CRS and VRS models from DEA. The input and output parameters were set as length of quay, yard area and throughput of cars, and DMUs are 25 ports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measurements, two Korean ports (Gwangyang and Ulsan) and three Japanes ports (Kanda, Omaezaki, Kanmon-Shimonoseki) showed high efficiency in both model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nhancing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automobile export ports in Korea and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