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안선 변화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Study of Riverline Change around Sannam Wetland in the Hangang River Estuaty using LANDSAT Image Processing (LANDSAT 위성사진을 활용한 한강하구 산남습지 인근 하안선 변화 연구)

  • Youn, Sukzun;Lee, Samhee;Jang, Chang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2
    • /
    • pp.154-162
    • /
    • 2021
  • The naturally opened Han river estuary is a place where the flows of the Han river, Imjin river, Yaesung river meet with West Sea of Korea, so the hydrodynamic mechanism(Impact-Response) structure of Han river estuary is complex. Continuous observation and measurement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estuary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estuary environment and river management facilities. However, the Sannam wetland(the study area) is in the military operation area. Therefore, Sannam wetland has the limited access under the control from military office. In 2020, there had a natural disaster due to flooding in August and COVID-19, and it made a survey hard. The noncontact survey technique, the analysis of LANDSAT images at Sannam wetland, was applied to analyze riverbed fluctuation and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around Sannam wetland. LANDSAT images obtained from EarthExplorer, USGS and analyzed by QG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area and the distance near Sannam wetland. As a result, an erosion was happened on the downstream of the study area, and the upstream of the study area did not have any serious sediment transport.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LANDSAT images, this noncontect survey technique is applicable to manage the study area. From the analysis of LANDSAT images, it is assumed that the tidal effect is greater than the inflow from the upstream. The pattern change of tidal response causes the damage of the river facilities near the Hangang river estuary.

Numerical analysis of lateral geomorphology changes by channel bed deposition and bank erosion at the river confluence section (합류부 구간에서의 하상퇴적과 하안침식에 의한 평면적 하도변화 수치모의)

  • Ji, Un;Jang, Eun Ky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5
    • /
    • pp.391-398
    • /
    • 2016
  • The confluence section of rivers forms complex flow pattern due to inflow discharge variation at the mainstream and tributary. Due to complex flow characteristics, bed change and bank erosion at the local section produce lateral geomorphology changes in rivers. In this study, bankline change by bank erosion and bed change were simulated using CCHE2D of 2-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lateral changes in the confluence section of South Han River and Geumdang Stream. As a result, bankline at the left-side channel of the mainstream was largely changed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confluence compared to the upstream section. Also, bank erosion in the tributary was hardly occurred and bankline at the left-side tributary and right-side main stream moved to riverside land due to decreased velocity and deposition.

A study on the change and cause of the channel in the midstream of singwang river and naeng river in pohang - Compar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yphoon hinnamnor with the past - (포항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 - 과거 및 태풍 힌남노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 Seonggi An;Chanjoo Lee;Woo-Chul Kang;Jongmin Kim;Gyeonghyeon Min;Byungsu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61
    • /
    • 2023
  •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중소하천의 확폭(Widening) 및 하안침식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홍수 피해 관점으로만 분석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리학적, 지형학적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82-2022년의 지도 및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을 분석하여 포항시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고,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의 내습 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광천 항사리 지점의 경우, 하천 우안에 제방이 축조되지 않았던 1982년에는 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1992년 제방 축조 이후 우안 충적지가 하도에서 분리되며 하폭이 감소하였다. 2011년의 하도는 대부분의 면적이 식생으로 덮여 하천의 흐름이 잘 관찰되지 않으나, 2021년에 식생 제거로 하도가 식별되지만 하폭은 과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시의 6시간 누적 강우량은 315.3 mm 로 1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확폭이 발생하였다. 단면에서 보면 좌안 활주사면은 5 m 가량의 퇴적고를 보였고, 우안 공격사면은 평균 23.3 m 측방으로 침식되었다. 그 결과 1982년 하폭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문덕리 지점(공장지대)과 냉천 용산리(아파트)의 경우에도 각각 평균 14 m, 18 m 의 하안침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여 년 전 축조된 기존 제방이 유실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해 과거의 하폭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2년 홍수에 의한 하도 변화와 같은 지형학적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설계 시 과거 지도상의 하도 범위 및 기왕홍수로 인한 하안선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