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수시설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9초

GIS를 이용한 하수관망해석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a GIS-based Sewer-network Analysis System)

  • 이정훈;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9-79
    • /
    • 1998
  • 현대사회는 도로, 상 하수도, 가스, 전화 등 여러 가지 사회기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 중에서도 하수도시설은 지역 주민의 생활환경보호와 공공수역의 수질 보전을 위하여 가능한 최적의 상태로 관리되어야 한다. 기존의 일부 지자체 및 기업체에서는 이러한 하수도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수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제약점은 관망의 관리기능만을 제공할 뿐 관망에 부하되는 하수량에 대한 분석기능은 제공치 않으며, 일부 제공된 분석기능은 모든 관거를 획일적인 조건에서 분석하는 관계로 실제업무의 적용에는 현실적으로 타당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수시설물에 대한 관망분석을 도시계획도를 기본으로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각각의 하수관에 부하되는 하수량을 파악학 수 있음은 물론 우수량의 변화 및 인구밀도의 변화에 따라 부하되는 하수량의 변화에 대한 모의실험의 지원과 도시의 팽창 및 신도시의 건설에 따른 하수도 시설설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통수능 부족관거의 검색을 통하여 민원발생시 적절한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하며, 관련 업무의 효율성증대 및 대민서비스 향상에 기석도가 크리라 판단된다.

  • PDF

하수도 시스템 유무에 따른 강우유출특성 분석 - 팔당호 유역을 대상으로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Runoff according to Sewer System in Paldang Watershed)

  • 강동한;사자드 라자 우말;김극태;이창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8
    • /
    • 2016
  • 토지이용이 혼재되고 하수관거 시스템이 미흡한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 유역에서 토지 이용 및 하수관거 형태에 따른 강우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팔당호 유역 7개 시·군에서 공공 하수관거 시스템 지역 48개소, 개인하수처리시설 지역 28개소에 대한 강우 유출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개인하수처리시설 지역의 토지 이용은 산림과 논의 비율이 높았으며 SS, TN, TP EMCs와 초기세척강도가 공공하수처리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기 강우 차집 시스템을 설치하여 초기강우 유출수 43%를 처리할 경우 59%의 TP 유출부하량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된 지역에서 강우량 및 강우지속시간과 영양염류 유출 부하량은 양의 상관관계(R>0.6)를 나타내어 팔당호의 부영양화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개인하수처리지역에 대한 우선적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에서 혐기성소화공정으로부터 용출되는 용존성질소($NH_3-N$)의 처리 필요성 연구 (The Study of the Need to Remove Soluble nitrogen ($NH_3-N$) Generated from Anaerobic digestor Retrofitted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안세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3호
    • /
    • pp.68-75
    • /
    • 2014
  • 하수슬러지를 혐기성 소화하는 과정에서 용출되는 용존성질소는 다시 수처리시설로 반송되어 질산화 효율이 떨어지는 동절기 법적 방류수 질소 수질기준에 영향을 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GPS-X)를 이용하여 A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용존성질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화조가 있는 처리시설에서의 총 반송수와 1차침전지 유입수 용존성질소 농도는 소화조가 없는 시설에서의 농도보다 각각 214.1 mg/L, 6.2 mg/L 높게 산출되었다. 슬러지 처리시설에서의 반송수를 처리하는 반송수처리시설(부상분리조)을 설치하는 경우 총반송수 용존성질소 농도는 반송수처리시설이 없는 경우보다 6.0 mg/L 높게 나타났으며 1차침전지 유입수 용존성질소 농도를 0.7 mg/L 낮게 산정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수슬러지를 혐기성소화하여 에너지자립화율을 향상시키는 사업에서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여액과 상등액의 용존성질소($NH_3-N$)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머신러닝 기반의 하수처리장 예측 모델 평가 및 개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 Models for Wastewater Treatment Plant)

  • 심규대;김효상;장근수;김동균;김영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9-499
    • /
    • 2023
  • 최근 컴퓨터 성능 향상과 새로운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됨에 따라, 각 분야별 연구자들이 이를 활용한 연구를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으며, 하수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막대한 양의 운영자료가 축척됨에 따라 머신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가속화 되고 있다. 기존 하수처리장의 물리학적 모델은 적용된 영향 인자에 여러 가지 가정이 고려되어 모델 정확도가 부정확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의 수집된 운영자료 및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 모델 정확도를 향상하는 선행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A 하수처리장의 부지 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운영자료가 중앙제어실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NN (Neural Network), SVM (Support Vector Machine), RF (Random Forest) 등과 같은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을 적용하였고, 하수처리장 운영자료를 적용할 경우 어느 모델이 가장 높은 성능이 나타나는지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금회 연구는 A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여러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각 모델의 예측정확도를 서로 평가함으로써, 머신러닝 모델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장 예측 모델 최적화를 진행할 경우, 향후 비교적 짧은 시간에 하수처리장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비수용성 위생용품 사용에 따른 물재생센터 개선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Regeneration Center by Using Non-water-soluble Sanitary Products: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City)

  • 김충곤;배윤환;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2호
    • /
    • pp.39-44
    • /
    • 2023
  • 본 연구는 비수용성 위생용품의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뇨 및 하수처리시설의 물재생센터 처리과정중 비수용성 위생용품 관련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물재생센터의 개선방안은 전처리설비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향후 설비교체시 하수처리시설의 경우에는 현실에 맞는 각종 제진기 설치를 제안하며, 분뇨처리시설은 조목스크린과 협잡물종합처리기 연계 또는 협잡물종합처리기 단독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분뇨처리시설은 우선적으로 협잡물종합처리기 전단에 미세스크린을 설치하여 비수용성 물질을 분리하여야 하며 협잡물처리기의 유지관리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충청남도 마을하수처리시설의 최적 설치방안 (Alternatives for Optimum Installation of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Chungchongnam-do Province)

  • 이상진;정종관;임봉수;허재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2-472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plans for installation of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facilities installed in Chungchongnam-do Province. About 5% of all installation was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of wastewater and related environment problems and the other case was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of construction or residence. In wastewater caused by 250 and 300 persons, facilities capacity do not exceed about $50m^3/d$, caused by 2,500 and 3,000 persons, $500m^3/d$. Advanced sewage treatment process were first needed in the discharge area where affected the water environment greatly. However, in carrying out the water quality pollutant of the total amount management system in the other areas, they should be driven only over the scale of pollutant quota object facilities standard. Rural sewage must be included in the special accoun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sewage treatment cost should be collected to manage. Installation type uses integrating joint treatment method in case the distance among villages is short or one treatment facility independently.

내수침수 저감을 위한 측구 저류조의 적정규모 산정 (Calculation of the Appropriate Size of Gutter Storage System to Reduce Urban Inundation)

  • 이성호;이재준;박희섭;이후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9-359
    • /
    • 2022
  • 빈번하게 발생되는 설계빈도 이상의 국지성 호우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저지대의 경우 우수의 집중 및 하수관거의 통수능 부족으로 인한 우수의 배수 불량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침수피해의 규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노후관거 개량 및 통수능 확보를 위한 하수관거 신설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으나 하수관거 개량 및 신설 또는 지하저류조 설치와 같은 사업들은 많은 예산이 필요하여 지자체의 규모에 따라 예산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해당 사업을 완료하기 위한 사업기간이 오래 걸리므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침수저감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사업에 비해 예산이 적게 소모되며, 큰 설치부지를 요구하지 않는 유출저감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부의 노면수를 배수하기 위한 시설인 측구를 우수의 저류를 위한 저류조로 활용한 측구 저류조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에서 침수저감을 위한 적정규모 산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빈도 30년의 강우를 적용하여 일반적인 지하저류조를 설치하였을 경우와 측구 저류조를 설치하였을 때의 침수저감효과를 비교하고 지하저류조와 비슷한 저감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적정규모 산정과 측구 저류조의 배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하수슬러지 촤의 수증기 가스화반응특성 (A kinetic study of steam gasification of sewage sludge)

  • 장용원;송병호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9-244
    • /
    • 2002
  • 하수슬러지는 산업의 발달 및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증가하는 폐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폐수 처리량과 함께 슬러지의 발생량은 1997년 이후 매년 3%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질환경 개선 사업의 확대로 인하여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매련 증가하고 있으며, 농축산 산업의 발달로 농촌지역의 농수산 폐수처리장의 시설용량의 증가로 슬러지 발생량 증가는 가속되어 2005년에는 연간 1000만톤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