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수도

Search Result 3,92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valuation of sewerage facilities design rainfall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otal rainfall (총강우량 비교를 통한 하수도시설물 설계강우의 적절성 평가)

  • Yu, Byeong-Wook;Woo, Seung;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7-117
    • /
    • 2019
  • 최근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와 도시화로 인해 내수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각 도시에서는 하수도 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하수도시설물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활용되는 설계강우가 실제강우의 특징을 모두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수도 시설 설계 시에는 설계강우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제강우와 비교하여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강우와 설계강우의 총 강우량을 비교하여 하수도시설물 설계강우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국내 대표도시 7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제강우는 과거 침수피해 기간에 대한 기상청 관측 강우자료를 활용하였다. 비교평가를 위해 실제강우 기반의 설계강우를 산정하였으며, 국내 하수도 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설계강우 산정기법을 활용하였다. 적절성 평가는 총 강우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우량주상도와 총 강우량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우량주상도 비교 결과 설계강우에 비해 실제강우는 단기간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강우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첨두 강우강도에 근접한 강한 강우가 연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총 강우량 비교 결과 설계강우의 총 강우량이 실제강우의 총 강우량 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으며, 대부분 지속시간이 6시간 이하의 단기 집중호우 기간에 속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각 도시별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시 설계강우 산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RCSTP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Installed Treatment Process in Bong-Hwa Gun (봉화군에 도입된 마을하수도 하수 특성 및 처리 공법 분석)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453-460
    • /
    • 2013
  • Rural area sewage distribution rate is 40 % less than urban area. Previous research results announced that one of the reason in water resource pollution was caused of low rural area sewage distribution rate. Analysis on operation result of 11 RCSTP in Bong-hwa area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An-dong Dam and Im-ha Dam. Based on operation result,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in Bong-hwa and treatment efficiency of installed treatment process was conducted. The wastewater influent of Bong-hwa contained high organic matter and nutrient than those of urban area. Treatment process showed totally stable treatment efficiency. But, The treatment efficiency for nutrient showed high fluctuation. This result means which is need to operation condition control of nutrient treatment when operating RCSTP.

Investigation and Maintenance of Sewage Pipeline to Prevent Water Seepage (내수침수 방지를 위한 하수관로 조사 및 유지관리)

  • Kim, Jae Gu;Jo, Deo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9-109
    • /
    • 2023
  • 지구 온난화 등 기상이변으로 추정되는 단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내수침수가 홍수재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내수침수의 원인으로는 하수관로의 통수능력 부족(39%), 저지대 침수(37%), 내수배제불량(16%) 및 기타(8%)로 조사된 바 있으며, 이중 하수관로의 경우 용량 및 통수능 부족, 구배불량, 토사퇴적에 의한 배수 불량 등으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의 조사가 우선 되어야 한다. 하수관로의 문제로 인한 내수침수의 원인으로 첫째 하수관로 내·외부 불량으로 인한 통수능 저하로 측구 및 빗물받이에 토사 등 장애물, 관로내부 장애물, 관로내부 불량(뿌리침임, 영구장애물, 관붕괴, 관파손, 관변형, 내피생성, 토사퇴적 등)이 있으며, 두 번째로 하수관로 구배불량과 마지막으로 외수위(또는 해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침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의 문제점은 많은 부분이 불탐지역으로 조사가 매우 어려워서 대안 없이 방치되는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탐지역의 조사를 위한 장비의 개발 및 정밀조사를 통해서 하수관로를 진단하고 내수침수 예방을 위한 대책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계단부 관로조사용 내시경 VR장비, 준만관 조사용 부유식 VR장비, 가스 및 안전위험 지역 조사용 지하 드론 장비를 개발하여 시험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 하수관로 체계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하수관로 토탈 솔류션(nPASS) 시스템으로 내수침수대응 및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수관로의 선진화를 통한 내수침수예방의 시작은 불탐지역 하수관로 조사를 통한 정확한 원인 파악이며, 조사 및 축적되는 빅데이타를 기반으로 하수관로 토탈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urban sewer system in Seoul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osoung;Sim, Jea Bum;Ahn, Joo Young;Yoo, Mi 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4-424
    • /
    • 2021
  • 서울시 전역의 하수관로는 4개의 처리구역, 16개의 배수구역, 163개의 배수분구, 748개의 소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지선관로와 간선관로가 상이한 설계빈도로 계획되어 가장 작은 관리단위인 소구역에서도 일정한 방재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구역을 동일한 토출구를 갖는 유역으로 재정의하여 서울시 전역을 799개의 소구역으로 재분할한 후, 소구역 단위로 하수관로 방재성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은 SWMM, 도시침수모형은 2DIS를 활용하였다. 도시유출모형에서는 113,286개의 관로와 106,097개의 맨홀을 적용하였으며, 수리시설물은 서울시 관내에 위치한 31개의 모든 빗물저류조와 121개의 빗물펌프장 중 가용 가능한 117개의 빗물펌프장을 적용하였다. 하수관로의 외수위 경계조건은 하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방류하천의 기점홍수위를 반영하였다. 도시침수모형에서는 5m 단위의 고해상도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를 적용하여 2차원 침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799개의 소구역에 대한 방재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에서는 799개의 소구역을 대상으로 소구역 정보, 하수관로 정보, 수방시설물 정보, 방재성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소구역 정보는 해당 소구역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해당 소구역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하수관로 정보에서는 관로 및 맨홀을 선택하여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방시설물 정보에서는 빗물펌프장, 빗물저류조, 강우관측소, 하천수위관측소, 관로수위관측소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방재성능 정보에서는 시나리오별 침수결과를 제공하며, 포인트 단위 침수취약지역을 표출한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은 하수도 정책 입안과 하수도 관련 사업 추진 시 데이터 기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stimation of Ammonia Emission from Sewage Treatment Plant (하수처리장에서의 암모니아 배출 특성)

  • 김천두;전의찬;사재환;노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29-330
    • /
    • 2003
  •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문화 수준의 향상과 소득 증대에 따라 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 소비량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다량의 하수를 배출하게 되었고, 하수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하수처리장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 현재 전국의 하수처리장은 172개소이며 처리 용량은 18,399.83 천ton/일이며, 하수처리율은 70%에 달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하수처리율을 2005년까지 85%로 높이기 위한 계획을 수립ㆍ추진 중에 있다. (중략)

  • PDF

하수처리 프로세서 제어를 위한 감시제어 시스템

  • 김현기;오성권;황희수;우광방
    • 전기의세계
    • /
    • v.39 no.6
    • /
    • pp.67-75
    • /
    • 1990
  • 하수처리 프로세스의 과제로는 우수침수, 수질보존, 자원의 유효이용이 그 주요내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상, 우량, 하천정보 시스템의 구성, 지식공학응용 우수펌프 운전제어, 하수의 고도처리기술 등의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하수도는 생활환경의 개선, 침수의 방지, 공공 용수 지역의 수질보존의 측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하수도를 자원으로써 이용하는 관점으로부터 시서르이 공간이용, 처리수 및 슬러지의 다목적 활용도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하수도 plant의 전기, 계장 기술을 구성하는 요소 기술은 전기(E), 계장(I), computer(C) 관계하는 기술을 종계로써 하고, 시스템설계로부터 시공까지의 engineering기술을 횡계로 한 통합 시스템 기술이다. 하수도 분야에 있어서의 감시제어 시스템은 종래의 계층화된 수직분산 방식에 덧붙여 계층마다 기능을 나누어 수평분산방식이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수직분산, 수평분산의 감시제어 시스템으로 이행하고 있다.

  • PDF

Installation of Wastewater reuse System for Supply of Agricultural Use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 공급시스템 시범설치)

  • Lee, Kwang-Ya;Kim, Hae-Do;Chung, Kw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62-666
    • /
    • 2007
  • 하수처리수를 농업용 목적으로 재이용하기 위한 기술을 실제 현장에 보급하기 위해 하수처리수가 주 수원공인 양수장에 하수처리수 재처리시스템인 $\ulcorner$농업용수 재이용공급시스템$\lrcorner$을 설치하였다. 본 양수장은 1992년 준공되었으며 양수장 유입구 상류 200m지점에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가 위치해 있어 직접적으로 하수처리수가 양수장에 유입되어 농경지에 관개수를 공급하고 있었다. 본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연간 사용량을 조사하여 적정 처리유량 및 운전시간을 설계하였고 유입수 수질분석을 바탕으로 하수재이용 공급시스템을 설치하여 관개목적에 적합한 수질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공급 기간 동안 수질변동 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현재 농촌지역은 주변상황으로 인해 하수처리수를 관개용수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수처리장이 계속 증설되고 있는 한 기존의 농업수리시설물은 하수처리수의 영향이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깨끗한 용수가 위협을 받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 도모가 가능한 $\ulcorner$농업용수 재이용 공급시스템$\lrcorner$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Variability on Urban Runoff using SWMM Modeling According to the Sewer information Error (도시유역 하수관로 관망정보 오차가 SWMM 모형의 유출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도림천 대상유역 -)

  • Hwang, Sung-Hwan;Kim, Min-Seok;Son, Hong-Mi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18
    • /
    • 2015
  • 현재 국내 도시유역의 유출분석을 위한 많은 모형들 중에서 SWMM 모형은 지표면의 양상, 침투율, 하수관망 체계를 고려한 유출분석이 가능하고, 계산과정에서 부등류를 해석함으로써 하류관로의 배수위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도시유출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시설물인 하수관로는 유지관리가 어려운 시설물 중 하나이다. 지하에 위치한 하수관망도는 상부 외압에 의한 토양의 유동과 미세한 토류의 변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유동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육안을 통한 조사가 어려운 지하시설물이기 때문에 하수관로 정보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맨홀은 하수관거의 제원이 변화된 지점, 흐름방향 및 경사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 등에 위치하고 있어 하수관로 정보를 관리하는 있다. 지하시설물인 하수관로는 관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지반침하 등으로 관거의 평균경사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로 상류 및 하류 관저고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유역의 모든 관로에 대한 영향을 객관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도시적인 해석을 토하여 관거정보의 오차에 따라서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들을 정리하여 향후, 하수관로 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하수관망 정보의 정밀도 문제를 검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f odor Release from Combined Sewer (합류식 하수도의 악취발생 실태 연구)

  • Gil, Kyung-Ik;Shin, Geon-Cheol;Im, Ji-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6
    • /
    • pp.185-1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and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Monitorings are conducted in specific areas that hav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In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sulfur, complex odor and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And in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complex odor,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 is affected by the changes on floating population and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Also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The major odor-causing substances are found to be hydrogen sulfide($H_2S$) and methyl mercaptan. To reduce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mprovement of effluent from the septic tank and reduction of sulfur compounds have to be done.

The Effect of Sewer Pipe Retrofit on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in Rural Area (농촌 지역의 하수관거 정비사업이 하수처리장 운영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gjung;Lee, Jiwon;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2
    • /
    • pp.147-151
    • /
    • 2019
  • Recently, rural areas are rapidly developing, while existing infrastructure is inadequate and aging compared to developing rural area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se is the sewer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ural area of Gyeonggi A city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 sewer maintenance business on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analysis items were pollutant treatment efficiencies, the changes of inflow sewage amount, sewage concentration, influnet load, and C / N ratio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wage am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development, and the sewage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and the load of the sewage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lso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inflow of unidentified water such as infiltration water and influent water in the sewage pipe was improved due to improvement of sewage pipe,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ffected the increase of C / N ratio and the improvement of TN and TP removal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ewerage maintenance project in the rural area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 operation of the sew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