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부층

Search Result 1,03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Underlying Layer Modeling on Curling Behavior of Concrete Slabs on Grade under Environmental Loads (하부층 모델링에 따른 지반 위 콘크리트 슬래브의 환경하중 하의 컬링 거동 분석)

  • Kim, Seong-Min;Shim, Jae-Soo;Yoon, Do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09-220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differences i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underlying layer modeling methods when analyzing the curling behaviors of the concrete slabs on grade under environmental loads. The models of the slab on grade system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d a three-dimensional(3D) model, a model composed of 3D slab and springs for underlying layers, and a model composed of 2D slab and springs for underlying layers. First, when the underlying layer consisted of one layer, the curl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els were compared. Then, the underlying layers that consisted of two different materials and thicknesse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nsionless spring model for the underlying layer gave very accurate results when the underlying layer consisted of one layer. However, when the underlying layers consisted of two layers, the spring model for the underlying layers could overestimate the displacements and underestimate the maximum stress with a large elastic modulus of upper underlying layer, a small elastic modulus of under underlying layer, and thick underlying layers.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Curling Behavior of Concrete Slabs on Grade under Temperature Loading and Underlying Layers' Effects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하중 하의 컬링 거동 및 하부층 영향 실험적 분석)

  • Kim, Seong-Min;Park, Hee-Beom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71-180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ling behavior of concrete slabs on grade under temperature loading through the laboratory tes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pport conditions of underlying layers on the curling behavior of the slab on grade systems. For the laboratory tests, the concrete slabs were fabricated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s were installed. The temperature loading was applied intentionally and the time histories of the vertical displacements of the slab at several different positions were measured. One-layered underlying layers were made using different materials and different thicknesses. Two-layered underlying layers were also made to have the same composite stiffness each other, but the material of the upper layer was designed to be different The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rend of the displacement time histories of the slab wa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temperature gradient time histo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ling behavior of the slab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 regions of curling up and curling down. The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splacements at the center and comer decreased as the stiffness of the underlying layer became larger, and the upper layer's material of the underlying layers affected the curling behavior of the slab.

  • PDF

Parameters Estimation and Analysis for Leaky Aquifer System (누수대수층에 대한 수리상수 추정과 해석)

  • 김민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3
    • /
    • pp.123-128
    • /
    • 1998
  • Leaky aquifer (two-aquifer) system in this study consist of an upper unconfined and a lower confined aquifer with a leaky layer between them. It is assumed that water is withdrawn from the confined aquifer of the aquifer system, the upper unconfined aquifer will be affected by the leaky aquife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aquifer. In order to analyze the leaky aquifer, the determin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is needed. In this paper, hydraulic parameters are suggested by improved SM (slope-matching) method. To know variation of groundwater head in leaky aquifer systems, an numerical scheme is made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To verify the numerical scheme, its solution is compared to analytical one. The solution of them agrees well in one-dimensional system at steady-state condition. And heads of groundwader are computed upper and lower aquifer in two-dimensional system.

  • PDF

Evalu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ulti-Functional Asphalt Pavements for Surface Course (다기능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역학적 특성 평가)

  • Lee, Kwan-Ho;Ham, Sang-Min;Kim, Seong-Kyum;Lee,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2-29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수성(저소음)포장을 포함하는 2-Layer 아스팔트 포장의 상부층과 하부층의 역학적인 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슈퍼페이브 배합설계로 2-Layer 아스팔트 포장의 상 하부층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시편 상부층의 최대공칭치수는 4.75mm이고 하부층의 최대공칭치수는 13mm이다. 이 시편에 대한 기본 물성 시험 실시 후 마샬 안정도 시험에 대한 안정도와 흐름값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상부층과 하부층의 자유단 공진주 시험을 통해 탄성계수(E)를 측정하였고, 비파괴 시험법인 슈미트해머(Schmidt hammer)를 이용해 반발경도를 측정한 후 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일축압축시험으로 측정된 압축강도로 탄성계수($E_{50}$)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역학적 시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으로 강도(qu)와 탄성계수 ($E_{50}$)의 상관관계와 추정식으로 구한 강도와 일축압축강도 시험으로 얻어진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자유단 공진주 시험의 탄성계수(E)값과 일축압축시험의 결과로 얻어진 탄성계수($E_{50}$)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Unconformity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 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 박용안;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4
    • /
    • pp.332-340
    • /
    • 1995
  • To study stratigraphy of tidal basin deposits, related unconformity and source of late Holocene tidal sediments in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8 vibracore sediments have been analyzed. The uppermost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late Holocene Namyang intertidal deposit overlies three different stratigraphic sequences (1) oxidized reddish brown muddy deposit (Yongduri Member), (2) oxidized yellow deposit (Kanweoldo Formation) and (3) the pre-Cambrian gneiss complex unconformably. Accordingly, three unconformities between those different sequences are recognized. The Namyang tidal deposits (late Holocene) with several meter thickness are mostly coarsening upward sequence suggesting transgressive phase during a continuous rise of sea level. The tidal deposit vibracored down to 4.5 m in depth contains clastic glauconite sands (2% in average) from 2.5 m to the vibracore bottom. These glauconite sands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of Namyang Bay tidal sedimentation from offshore continental shelf of the Yellow Sea along the course of late Holocene sea-level rise.

  • PDF

A Study on the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at Sport Center on a Tall Building Apartment (초고층 빌딩 스포츠 센타의 충격성 진동으로 기인하는 소음진동 영향성 평가 및 저감대책)

  • 박해동;김강부;강현승;이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6-201
    • /
    • 2003
  • 철골조 초고층아파트 내부의 스포츠 시설 운영시 이를 사용하는 시설의 종류와 운동양상에 따라 아파트 상하부층에 소음진동의 민원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초고층 아파트 내부에 스포츠 시설의 배치는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의 주지만 철골조의 특성상 충격성 진동원이 발생하는 스포츠 시설은 상하부층인 아파트에 소음진동의 연향으로 인해 이를 방지하는 설계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아파트의 충간 소음진동문제는 이를 발생시키는 상부거주자의 예절과 충간 소음진동 저감기술이지만 아파트 내부의 동일층을 경계로 위치한 스포츠 시설은 시설의 사용성에 반해 하부층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적으로 저감하여야 한다. 입주한 초고층아파트에 발생하는 소음진동문제를 풀기 위하여 스포츠 시설 하부층 아파트의 소음진동 기준을 선정하고 스포츠 시설의 주된 진동원인 런닝머신의 하중식을 산정하고 충간 소음진동 저감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Regional Soil Depth Effects in Estimating Palmer Severity Drought Index (Palmer 가뭄지수산정에 있어서 지역별 토양심도영향 분석)

  • Kang, Boo-Sik;M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2-1475
    • /
    • 2009
  • SPI(Standard Precipitation Index)가 기상학적 가뭄을 표현하는 지수인 반면,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는 가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문기상학적 요소인 강수량, 기온뿐만 아니라 유효토양수분량과 일조시간 등의 자료에 근거한 물수지 분석에 의해 산정된다. 특히 PDSI 지수는 토양습윤조건의 민감한 영향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PDSI에서 토양수분과 관련된 요소들을 다룰 때, 토양수분저장량은 토양을 상부와 하부의 2개 층으로 나누어 상부 층은 1inch(25.4mm)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고 하부층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유효용량이 결정되는 것으로 하부층의 수분은 상부 층의 수분이 모두 제거 될 때까지 손실되지 않으며 하부 층 손실량은 초기수분함유량과 산정된 잠재증발량(PE) 및 토양유효용량(AWC)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산정방법에서 토양의 유효용량에 따른 물수지 방정식을 통해 각 잠재량들을 구하는 과정은 기후학적으로 필요한 값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PDSI 지수 산정 시, 모든 지역에서 상하부토양심도를 지역적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10inch(25.4cm)로 일정하게 사용함으로써 유효 토양수분함량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여 토양심도의 지역적 분포에 근거한 토양수분함량을 산정한 후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PDSI 지수를 산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의 PDSI 지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Replacement Depth in 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중간 모래층이 있는 연약지반내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 산정에 관한 연구)

  • Chung, Hyung-Sik;Bang, Chang-Ku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4 no.4
    • /
    • pp.61-71
    • /
    • 2003
  • On the soft soil consisted of silty clay, the compulsion replacement method is useful for revetment and its safety is very much affected by compulsion replacement depth. Usual method calculating the compulsion replacement depth on silty clay is considered the bearing capacity of soft soil with undrained shear strength increase from ground surface and weight of revetment. But according to soil deposit, there are some cases of 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or clayed silt, which affect the compulsion replacement depth. In this paper, the compulsion replacement depth on 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is analyzed by layered weighted average bearing capacity considering influence effect of Perloff et al.(1967) and compared with numerical method(FLAC). In the result, the calculated depth from numerical method is nearest to layered weighted average bearing capacity in case that contact width under revetment is $0.2B_o$(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0.5B_o$(only soft soil) and the effect of contact width under revetment is less than undrained shear strength, thickness and location of inter sand layer. Also the compulsion replacement depth is as much as the inter sand thickness($d_2/B_o$) is thinner, the inter sand layer location($d_1/B_o$) is farther,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is less.

  • PDF

A Study on the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at Supports Center on a Tall Building Apartment (초고층 빌딩의 헬스장 구조소음 및 진동 대책)

  • 박해동;백재호;이홍기;전종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527-532
    • /
    • 2003
  • 아파트의 층간소음저감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콘크리트 건물의 단일층을 경계로 한 소음저감을 위한 공기음의 투과손실을 증가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철골조 초고층아파트 스포츠 시설 운영시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공기음의 대책과 구조음의 대책을 두단계에 걸쳐 수립하였다. 초고층 아파트 내부에 스포츠 시설의 배치는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의 주지만 철골조의 특성상 충격성 진동원이 발생하는 스포츠 시설은 상하부층인 아파트에 소음진동의 연향으로 인해 이를 방지하는 설계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아파트의 충간 소음진동문제는 이를 발생시키는 상부거주자의 예절과 충간 소음진동 저감 기술이지만 아파트내부의 동일층을 경계로 위치한 스포츠 시설은 시설의 사용성에 반해 하부층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적으로 저감하여야 한다. 입주한 초고층아파트의 스포츠 시설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 민원문제를 풀기 위하여, 하부층 민원인이 느끼지 못하는 수준의 소음과 진동 허용치를 상호 결정하고 이를 만족하기 위한 차음 및 구조소음 설계를 수행한 사례이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quifer Distribution and Groundwater Flow at the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도시지역의 대수층 분포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김병우;정상용;조병욱;성익환;강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4-118
    • /
    • 2004
  • 울산지역의 대수층 분포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에 관해 연구하기 위해 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였다. 울산지역의 시추자료 1,783개 지점과 지하수위자료 총 1,171개 지점에 대하여 2년간(2002년~2003) 자료를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지역의 표고 충적층 하부경계 심도, 충적층, 하부경계 심도, 충적층 층후, 풍화대 층후, 충적층-풍화대 층후, 대수층 단면, 지하수위 그리고 지하수유동 분석을 하기 위해 베리오그램 분석한 결과 풍화대 하부경계 심도에 지수형모델(exponential model), 나머지 지하수위를 포함한 성분들은 모두 구상형모델(shperical model)이 가장 적합하게 나타났다. 울산지역 대수층의 경우 산악지역은 얕은 충적층과 풍화대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남구는 충적층, 북구는 풍화대 발달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울산지역의 충적층과 풍화대 층후 분포특성이 울산단층을 따라 층후가 두껍게 나타났다. 지하수 유동은 고지형의 북구와 동구 산악지역에서 바다에 인접한 내륙지역으로 지하수 유동특성을 보였으며, 울산의 4개구는 산악지역, 태화강, 동천강, 울산단층 그리고 충적층과 풍화대가 잘 발달된 대수층을 따라 지하수유동 특성이 잘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