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부구조

검색결과 1,947건 처리시간 0.03초

피동형 격납건물 냉각계통 내 돔 효과의 수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 전지한;박홍준;이은철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298-303
    • /
    • 1997
  • 실제의 격납건물의 구조는 하부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과 상부 돔 형태와 굴뚝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부 원통형의 구조만을 고려한다면, 고온의 철제 벽면과 콘크리트 벽면 사이의 gap 크기에 비해서 원통의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2차원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돔 및 굴뚝 영역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돔 단면직경이 감소하고 굴뚝 영역도 유동단면적이 작은 원통의 구조를 가져 2차원 무한평판의 가정에 많은 무리가 따른다. 앞에서 명시한 세 가지의 격납건물 형태에 있어서 ASPWR의 경우는 굴뚝을 포함한 영역까지도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나(돔에서의 열전달 단면적이 하부의 열전달 단면적에 비해 매우 작다는 가정을 한다면) 나머지 AP600과 HWRF의 격납건물에 있어서는 상부까지도 무한평판 가정을 사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유체해석 코드인 FLUENT V4.3을 이용하여 실제 격납건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무한평판 구조에 대한 가정이 과도한 열전달량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Virtual Active Node를 위한 XML 기반의 MIB 관리 구조 (XML Based MIB Management Architecture for Virtual Active Node)

  • 이정환;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463-465
    • /
    • 2002
  • 급증하는 인터넷 관련 기술들과 사용자들을 현재의 네트워크 기반 구조로 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서비스들을 요구하고 현재의 망은 그러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구조들이 정의되어 있진 않은 실정이다. 새로운 네트워크 하부 구조를 정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새로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될 프로토콜의 적용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액티브 네트워크의 개념이다. 사용자 기반의 네트워크환경을 제공하는 액티브 네트워크는 실행 환경과 노드 운영체제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바로 이 실행 환경을 이용해 노드 사용자들은 가상 액티브 노드를 만들어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가상 액티브 노드를 위한 MIB의 관리 구조에 대해서 제안하였으며 마크업 언어인 XML을 적용하여 기존의 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인 SNMP와도 호환성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MIB 표현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 PDF

일반교량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기본설계 (Basic Design for Earthquake Resistance of Typical Bridges)

  • 국승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2013
  • 일반교량은 상부구조, 연결부분, 하부구조 및 기초로 구성되어 있고 내진성능은 하부구조와 연결부분의 파괴메카니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내진설계는 구조부재의 설계강도, 즉 설계단면을 결정하는 기본설계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두 가지 기본설계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기존 설계방식으로 내진설계편이 제시한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새로 도입된 연성도 내진설계 방식으로 설계자가 응답수정계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교량을 대상으로 두 설계방식을 같이 적용하는 기본설계를 수행하고 내진성능 확보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보완사항을 제시하였다.

3 차원 고체요소모델을 활용한 해상풍력터빈 하부구조의 위상최적화 (Topology Optimization of Offshore Wind-Power Turbine Substructure Using 3D Solid-Element Model)

  • 김원철;정태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3호
    • /
    • pp.309-314
    • /
    • 2014
  • 기계나 토목 구조물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방법들을 이용하여 얻었다. 예를 들면 전력송전탑이나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이외의 다른 구조물들도 조직적으로 만든다. 한편 컴퓨터 그래픽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진화된 구조해석 및 최적설계기법들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 풍력 터빈을 위한 자켓 구조물의 구조형상을 위상최적화 기법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번 연구는 실제작동하중상태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다 하중으로 종속시켰으며, 최적화 목적 함수는 주어진 경계조건아래 컴플라이언스로 정의하였다. 최적화는 고유진동수와 체적을 구속함수로 사용하였으며, 1 단계 모델의 결과는 2 단계 구조를 위한 외형을 빠르게 볼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로 사각뿔대의 3D 모델은 위상최적화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누수대수층에 대한 수리상수 추정과 해석 (Parameters Estimation and Analysis for Leaky Aquifer System)

  • 김민환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3-128
    • /
    • 1998
  • 본 연구에서 고려한 누수대수층 구조는 상부의 자유면대수층과 하부의 피압대수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 사이에 누수층(leaky layer)이 있다. 상부 지하수 수위의 하강에 따른 피해 방지와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 상부와 하부의 지하수 수두 변화가 동시에 파악되어야 한다. 누수대수층 구조의 피압대수층(하부)에서 양수를 할때 자유면대수층(상부)은 하부와 상부 대수층을 구분하는 누수층의 영향을 받게 된다. 누수층을 해석하기 위해서 이 층에 대한 수리상수의 결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수리상수를 결정하기 위한 개선된 SM(slope-matching)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누수대수층 구조에서 상부와 하부의 지하수 수두를 예측하기 위해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수치모형을 구성하였다. 수치모형의 검증을 위해 1차원 누수대수층 구조에 대한 해석해를 이용하여 정상류 상태에서 수두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잘 일치하고 있으며 2차원 누수대수층의 하부층인 피압대수층에서 양수를 할 때 상부 대수층과 하부 대수층에서 지하수 수두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 PDF

치과용 레이저 선택가공 금속체의 도재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 관찰 (Evaluation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Process Step of Fused Porcelain to SLM Method)

  • 김치영;정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36-242
    • /
    • 2010
  • 심미보철의 금속-도재관은 금속소재의 하부구조에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제작된다. 최근 새로운 기술인 SLM법을 이용하여 하부구조를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도재관의 하부구조를 주조법과 SLM법으로 제작하고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도재소성단계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변화를 측색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재의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는 불투명도재 소성한 시편군(CN1, CC1, CT1, SC1, ST1)이 몸체도재소성 시편군(CN2, CC2, CT2, SC2, ST2)과 광택소성 시편군(CN3, CC3, CT3, SC3, ST3)과 색차(${\Delta}E$=30이상)를 나타냈다(p<0.05). 그리고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관찰은 주조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CN, CC, CT)와 SLM법을 제작된 하부구조(SC, ST)간의 색차(${\Delta}E$=1.5이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재의 소성단계에서는 몸체도재소성에서 색조가 표현되며, SLM법으로 제작된 금속-도재관의 색조는 임상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디지털 도서관 구축현황 (Current Status of Digital Library Programs in USA)

  • 최호남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32-53
    • /
    • 1995
  •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하부구조에 있어서 가장 으뜸가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대학도서관의 디지털 도서관 추진형태는 정보기술 하부구조 구축, 본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 중심의 설계로 집약된다. 본 고에서는 미국의 미시건대학교, 카네기멜론대학교, 버지니아공과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도서관 구축실태와 현황을 고찰하였다.

  • PDF

변위가 발생한 매립부 지반에 대한 연구

  • 김성욱;이현재;원지훈;서동주;이종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03-306
    • /
    • 2002
  • 변위가 발생한 해안도로 옹벽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반암과 매립부 지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질구조선의 발달은 관찰되지 않고 지표에서 기반암의 거동은 낙석의 형태로 나타난다. 기반암은 생교란작용의 유무에 따라 상, 하부지층이 구분되며 하부 지층은 신선한 상태로 이완된 불연속면은 나타나지 않는다. 변위는 옹벽의 이음부에 집중되며 옹벽의 운동방향은 우향이동과 좌향이동이 반복되며 최초 변위 발생지점 (시 점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장력에 의한 확장 (벌어짐)이 우세하며 종점부에서 회전운동이 수반된다. 이음부의 확장과 회전은 최초 발생 지점에서 응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매립부 지반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상부의 매립층은 높은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것에 반해 하부는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이는 매립부의 하부지반이 해수면 이하에 위치하여 해수와 같은 유체의 영향을 받으나, 상부는 유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최초 변위가 발생한 지점의 매립부 지반은 하부와 같이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GPR 탐사에서 최초 변위 발생 지점에서 매질의 이완 내지 공동으로 추정되는 구조가 관찰된다.

  • PDF

지진하중에 의한 방수제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Lake Dike Structures under Earthquake Loading)

  • 신은철;강현회;김태진;채영수;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53-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방수제 구조물 및 하부지반에 대하여 1/100 축소모형의 비율을 갖는 토조를 제작, 설계지진 가속도 0.154g의 진동하중 적용시 진동대 모형실험을 통하여 구조물의 거동특성과 내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시공순서를 재현하여 완성 후 진동대 모형토조 하부에 설정된 지진하중을 발생시켜 지진에 의한 하부지반과 방수제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즉,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 변위, 구조물 하부지반에 작용하는 간극수압 변화, 하부지반 및 방수제 구조물의 최대가속도 변화량 측정 등 계측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내진 안정성을 판단하였다.

하부구조의 강성변화에 따른 대공간구조물의 지진거동 (Seismic Response of Large Space Structure with Various Substructure)

  • 김기철;강주원;고현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81-90
    • /
    • 2010
  • 대공간구조물은 일반 라멘구조와는 다른 동적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동적특성에 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형태의 대공간구조물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내진설계를 위해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한 연구결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공간구조물의 기본적인 동적특성을 내재한 트러스-아치구조물을 대상으로 양단의 기둥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 트러스-아치구조물의 지진응답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양단 기둥 길이의 차이에 따라, 가속도 응답이 수평방향에 비해 수직방향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하부구조물의 강성이 다른 경우에 대공간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수직방향 응답에 대한 고려가 더욱 많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