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Process Step of Fused Porcelain to SLM Method

치과용 레이저 선택가공 금속체의 도재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 관찰

  • 김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
  • 정인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 Received : 2010.10.07
  • Accepted : 2010.12.22
  • Published : 2010.12.28

Abstract

The porcelain fused metal was made through the progressive fused process of porcelain on substructure of metal material. The substructure was made using novel SLM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olor change of porcelain using spectrophotometer equipment according to porcelain fused step and production methods after conducting the process of casting and SLM method of the substructure. The color change by step was indicated that fused opaque porcelain groups(CN1, CC1, CT1, SC1, ST1) had color difference(${\Delta}E$=30) by comparison with fused body porcelain groups(CN2, CC2, CT2, SC2, ST2) and fused glazing porcelain groups(CN3, CC3, CT3, SC3, ST3) (p<0.05). and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substrates(CN, CC, CT) made by the casting method and the substrates(SC, ST) made by the SLM method. so, the color change was expressed by fused change of porcelain, a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lor of porcelain fused metal made by the SLM method can be applied clinical trials.

심미보철의 금속-도재관은 금속소재의 하부구조에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제작된다. 최근 새로운 기술인 SLM법을 이용하여 하부구조를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도재관의 하부구조를 주조법과 SLM법으로 제작하고 도재를 단계별로 소성하여 도재소성단계와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변화를 측색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재의 소성단계에 따른 색조변화는 불투명도재 소성한 시편군(CN1, CC1, CT1, SC1, ST1)이 몸체도재소성 시편군(CN2, CC2, CT2, SC2, ST2)과 광택소성 시편군(CN3, CC3, CT3, SC3, ST3)과 색차(${\Delta}E$=30이상)를 나타냈다(p<0.05). 그리고 제작방법에 따른 색조관찰은 주조법으로 제작된 하부구조(CN, CC, CT)와 SLM법을 제작된 하부구조(SC, ST)간의 색차(${\Delta}E$=1.5이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재의 소성단계에서는 몸체도재소성에서 색조가 표현되며, SLM법으로 제작된 금속-도재관의 색조는 임상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소영, 임주환, 조인호, “도재전장주조관에 사용되는 도재의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8, No.1, pp.73-84, 2000.
  2. S. F. Rosentil, M. F. Land, and J. Fujimoto,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Mosby Co., p.392, 1988.
  3. 이명호, 전영찬, “내부금속관 형태에 따른 도재전장금관의 파절강도와 도재색조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0, No.1, pp.103-124, 1992.
  4. M. E. Razzoog, B. R. Lang, M. M. Russell, K. B. May, "A comparison of the color stability of conventional and titanium dental porcelain," J Prosthet Dent, Vol.72, No.5, pp.453-456, 1994. https://doi.org/10.1016/0022-3913(94)90113-9
  5. 김웅철, 이병기, 이태정, 김치영, 치과도재기공학, 신흥인터내셔날, 1997.
  6. 송용억, “레이저를 이용한 금속 시제품의 쾌속조형 기술현황” 대한용접접합학회, Vol.17, No.3, pp.8-12, 1999.
  7. S. J. Chu, and D. P. Tarnow, "Digital Shade analysis and verification," Pract Proced Aesthet Dent, Vol.13, No.2, pp.129-136, 2001.
  8. 김이경, “수종 도재 색조 선택 시스템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색조 재현성 평가”, 단국대학교대학원, 치의학석사학위논문, 2003.
  9. 이승희, 티타늄 표면 코팅 후 색상이 도재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5.
  10. 백은주, 배태성, 송광엽, 박찬운, “도재수복물의 온도에 따른 색조안정성과 표면조도의 평가”,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29, No.3, pp.87-99, 1991.
  11. J. L. Shotwell, and M. E. A. Razzog, “Color stability of long-term soft denture liners,” J prosthet Dent, Vol.68, pp.836-383, 1992. https://doi.org/10.1016/0022-3913(92)90213-T
  12. M. Eldiwany and K. H. Fridel, "Color stability of light-cured and post-cured composites," Am J Dent, Vol.8, pp.179-181, 1995.
  13. W. J. O'Brien, C. L. Groh, and K. M. Boenke, "A new, small-color-difference equation for dental shades," J Dent Res, Vol.69, pp.1762-1764, 1990. https://doi.org/10.1177/00220345900690111001
  14. W. T. Wozniak, "Proposed guidelines for the acceptance program for dental shade guides," American dental association, Chicago, pp.1-2,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