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동화력발전소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Distribute Control System Translator for Fossil Power Plant Simulator (화력발전소 시뮬레이터용 분산제어시스템 변환기 개발)

  • Kim, Jong-Hyun;Kim, Sung-Ho;Cho,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c
    • /
    • pp.546-548
    • /
    • 1999
  • 화력발전소 운전원 훈련용 시뮬레이터 개발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로직과 MMI(Man Machine Interface) 화면등의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수반되는 일이지만 일일히 코딩을 하여만 실제 제어기능 및 화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동화력발전소 운전원 훈련용 시뮬레이터에서는 제어시스템 개발의 생산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어시스템 제어로직변환기를 개발하여 실제 발전소에서 사용중인 제어 로직파일을 제어 모델로 변환하여 시뮬레이터에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하동화력발전소의 분산제어시스템인 Simens Teleperm-ME에 적합한 제어 로직 변환기의 개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환기를 통한 제어시스템의 모델링 방법은 첨단 제어 시스템의 기존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되어 제어기술자의 훈련 및 제어로직 개발 그리고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운전원 훈련효과를 제고할 수 있고 실제 제어시스템과 완벽한 호환성을 유지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정확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 PDF

Capacity Estimation and System Design of Current Power Generation at the Discharge Channel of Hadong Thermal Power Plant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 조류식 발전량 산정 및 시스템 설계)

  • Kang, Keum-Seok;Kim, Ji-Young;Lee, Dae-Soo;Lee, Kwang-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509-512
    • /
    • 2006
  • 국내 대형 기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약 150cms로 (100Mwe 당 약 5cms) 약 3,000kW 이상의 수력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다. 발전소 방수로는 흐름조건이 비교적 균일하고, 파랑 내습이 없으며 부유사 해조류, 부유물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자연 해양조건보다 조류력 발전에 매우 유리하나 수심이 낮고, 순환수 계통에의 영향으로 다수의 수차를 설치하기는 어려운 조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공수로의 균일하고 양호한 흐름조건에 적합한 보다 경제적인 수차를 개발하고, 발전량을 증대하기 위한 수차 배치 기술, 수차 및 발전기 지지구조물의 설계 기술, 계통 연결기술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제작하여 수차의 성능 및 전체 발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장 특성 분석, 형식 선정, 발전량 산정 등의 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집중안전 포커스 - 한국남부발전(주) 하동화력본부

  • Hyeon, Cheon-Il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80
    • /
    • pp.15-17
    • /
    • 2012
  • 한국남부발전(주) 하동화력본부(이하 하동화력본부)는 2011년 대한민국 안전대상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하며 우수 안전관리 사업장 중 하나로 떠올랐다. 허나 이곳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본부장 이하 전 직원이 '현장위주의 안전관리, 안전경영시스템 확립, 소방방재시스템 강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거듭해 올해 역시 대한민국 안전대상 국무총리상을 거머쥐었다. 전년도 수상이 우연이 아님을 입증하는 동시에 명실 공히 항구적인 안전문화가 정착돼 있음을 대내외에 명백히 알린 것이다. 이처럼 하동화력본부가 우수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이는 바로 노사가 일체가 되어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전력을 다했기 때문이다. '노사화합'은 안전과 더불어 하동화력본부의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실제 2012년도 노사문화우수기업 공공기관부문에 선정됐을 정도다. 끈끈한 노사 협력을 바탕으로 우수 안전사업장의 반열에 당당히 올라선 곳, 근로자들의 얼굴에 미소가 가득해 행복발전소라고 불리는 곳. 경남 하동에 위치한 하동화력본부를 찾아가 봤다.

  • PDF

Impingement of Fish on Traveling Screens at Hadong Power Plant (하동화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에 충돌사망하는 어류에 관한 연구)

  • Huh, Sung-Hoi;Choo, Hyun-Gi;Baeck, Gun Wo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8 no.3
    • /
    • pp.251-265
    • /
    • 2006
  • To investigate the impingement of fish on the traveling screens, fishes were collected from the traveling screens at Hadong Power Plant through the year of 1999. A total of 84 fish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Leiognathus nuchalis, Engrauli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and Takifugu niphobles. These four species accounted for 78.2%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52.0% of total biomass collected.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high in April and August,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 in April and July. However,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showed low values in winter.

Development of Turbine By-pass Valves Control for the Hadong Power Plant Simulator (하동화력발전소 시뮬레이터 터빈바이페스밸브제어 개발)

  • 마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6-46
    • /
    • 1999
  • 터빈 바이패스 밸브는 발전소의 사고시 발전기가 계통으로부터 분리될 때 터빈을 보호하기 위해 고온고압 에너지를 가진 증기를 안전하게 바이패스하여 발전소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주요설비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증기온도 제어에 관측기를 가진 상태변수 제어기 등 고급제어가 사용되며 하동화력 시뮬레이터에 사용되는 터빈 바이패스 밸브제어의 개발과정을 서술한다. 디지털제어의 개발은 우선 제어모듈을 분석한 후 각 기능별 제어모듈을 개발하여 충분히 시험한 수 이것을 이용하여 제어로직을 모델링한다. 제어 모델링이 완료되면 발전소 다아나믹 모델과 연계를 위해 각 변수의 이출력(I/O)을 설정한다. I/O에 의해 제어로직과 발전소의 다이나믹 모델을 접속한 후 최종 튠닝(Turning)을 통하여 개발을 마무리하게 된다. 터빈 바이패스 밸브 바이패스 제어의 개발 의의를 살펴보면 각종 제어기능에 따른 모듈의 개발과 이의 적용을 통해서 실제 제어로직의 설계가 가능하며 또한 동적모델과 연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확장된 제어의 개발도 가능하게 된다.

  • PDF

Estimation of Development Capacity Applicable to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at the Discharge Channel of Hadong Thermal Power Plant (하동화력 방수로 조류식발전 개발규모 산정 및 수리특성 분석)

  • Kim, Ji-Young;kang, Keum-Seok;Lee, Dae-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21-124
    • /
    • 2006
  • 국내외에 아직 적용 실적이 없는 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조류식발전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에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여 현장시험이 진행 중이며, 이를 확장하여 상업용 발전을 위한 총 개발 규모를 산정하고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의 형상 설계, 가이드 베인을 이용한 출력 조정을 통하여 방수로의 수류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시 방수로의 수류특성 수치계산 결과로 판단할 때 발전출력에 의한 에너지 회수뿐만 아니라 조류식발전구조물의 단면축소 효과 및 수두손실이 방수로의 수위 변화에 상당한 규모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 이전의 유속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발전량을 산정한 경우 소수력발전 단가 적응시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시 유속 증가 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 등을 이용하여 발전량 증대를 꾀하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eling on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of Hadong area by ISCST (ISCST에 의한 하동 지역의 대기오염 확산 모델링)

  • 천성남;박민석;백점인;이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7-398
    • /
    • 2001
  • 대형 석탄화력 발전소에서는 발전소 가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주변 오염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권장 모델중 하나인 ISCST-3를 이용하여 하동화력본부 주변의 확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최고 농도 발생 지점을 조사하였고 환경 기준치와의 비교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장에서의 실제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국내 지형 및 농촌지역에의 ISC-3의 적용성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Investigation 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s in the Vicinity of Samcheonpo and Hadong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국내 삼천포와 하동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특성 조사)

  • Song, Chang-Woo;Han, Hyeop-Jo;Lee, Jong-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2
    • /
    • pp.141-158
    • /
    • 2019
  • The quantity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around coal-fired power plants located in Samcheonpo and Hadong, Gyeongnam Province, were determined. The analytical results for 48 and 61 soils in Samcheonpo and Hadong, respectively,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Cu, Hg, Ni, Pb, and Zn were below the warning criteria regulated by Korean Soil Conservation Act; however, Cd in 38 and 13 soils in Samcheonpo and Hadong, respectively, exceeded the criterion.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geoaccumulation index and the enrichment factor, the soils were extremely contaminated with Cd and such high loading of Cd to the soils was due to anthropogenic source(s). Sequential extraction of the soils, however, showed that heavy metals including Cd existed as hardly extractable phases, which represented a low bioavailability of the heavy metals. Our results indicated that Cd contamination around the coal-fired power plants was due to artificial source(s) and may unlikely deteriorate nearby ecosystems.